방송통신기사

덤프버전 :

분류




방송통신기사
放送通信技士
Engineer Broadcasting Communication
중분류
212. 방송·무선
관련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행기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1. 개요
2. 시험 방식
3. 시험 과목
3.1. 필기
3.1.1. 1과목
3.1.1.1. 디지털 전자회로(개정 전, ~2022년)
3.1.1.2. 방송통신일반(개정 후, 2023년~)
3.1.2. 2과목(방송통신기기)
3.1.3. 3과목(방송미디어)
3.1.4. 4과목(방송통신 시스템)
3.1.5. 5과목(컴퓨터일반 및 방송설비 기준)
3.2. 실기
3.2.1. 필답형
3.2.2. 작업형
3.2.2.1. 1과제(설계 및 측정이론)
3.2.2.2. 2과제(측정기 운용)
3.2.2.3. 3과제(방송신호 측정)



1. 개요[편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 시험 및 그 자격증을 의미한다. #

방송국에서 방송 제작용 기기에서 제작된 방송 정보가 송신소로 송출되기 전까지의 단계에 해당하는 기기들의 운용,유지보수, 시스템 구성의 업무, 방송기기 관련업체에서 방송기기 설계, 제조,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를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을 양성하고자 양성하고자 2002년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하위 자격인 방송통신산업기사/기능사는 1979년 제정)

전기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보안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인공지능학과, 반도체학과정보대학 4학년이 되면 응시 가능하다. 연 2회(제1회, 제4회) 실시된다.

무선설비기사보유자와 동일하게, 방송국이나 연주소의 무선종사자로 선임될 수 있다.


2. 시험 방식[편집]


여느 기사와 마찬가지로 필기 시험을 본 후, 응시 자격조건이 되는 경우에 한해서 실기시험을 치루는 방식이다.

필기 시험의 경우엔 5과목(방송통신일반, 방송통신기기, 방송미디어공학, 방송통신시스템, 전자계산기 및 방송설비기준)에서 각각 20문제씩 총 100문제가 출제되며, 각 과목당 40점이상을 취득하고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취득하면 합격이다.

실기 시험의 경우는 복합형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이루어진다.

필답형(50점) + 작업형(50점)으로 평가하며, 두 영역을 합산하여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3. 시험 과목[편집]



3.1. 필기[편집]



3.1.1. 1과목[편집]



3.1.1.1. 디지털 전자회로(개정 전, ~2022년)[편집]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변복조회로, 발진회로, 논리회로에 대한 이론들을 물어보는 과목이다.

전자, 통신 분야 기사 필기 시험에 공통적으로 있는 과목이다.

무선설비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를 취득한지 2년 내에 면제받을 수 있다.

2023년부터 방송통신일반으로 대체된다.


3.1.1.2. 방송통신일반(개정 후, 2023년~)[편집]



3.1.2. 2과목(방송통신기기)[편집]


방송설비, 라디오, TV, CATV, 지상파TV, 위성방송, 방송측정기기에 대한 이론들을 물어보는 과목이다.

계산문제가 그다지 많지 않으며 이해 위주의 과목이기 때문에 그다지 어려운 과목은 아니다.


3.1.3. 3과목(방송미디어)[편집]


음향이론, 영상이론, 조명이론, 방송콘텐츠,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론들을 물어보는 과목이다.

계산문제는 거의 없으며, 암기위주의 과목으로 암기력이 약하다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이다.


3.1.4. 4과목(방송통신 시스템)[편집]


방송기술에 관련된 통신이론들에 대해서 물어보는 과목으로 방송통신기기 내용과 어느정도 겹치는 과목이다. 산업기사는 응시하지 않는다.


3.1.5. 5과목(컴퓨터일반 및 방송설비 기준)[편집]


컴퓨터구조론[1]과 방송통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법규들에 대해서 물어본다. 각각 10문제씩 출제된다.


3.2. 실기[편집]


실기시험은 방송기술 실무에 대해 복합형(필답형과 작업형)으로 이루어진다.

각 영역당 필답형(50점) + 작업형(50점)으로 평가하며, 두 영역을 합산하여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3.2.1. 필답형[편집]


필답형은 문제당 배점 2~6점으로 10~15문제 랜덤으로 출제되며, 단답형 및 서술형으로 구성된다.

별도의 답안지 없이 시험지가 곧 답안지이며, 답은 흑색이나 청색 중 한가지 색의 볼펜으로만 작성해야 한다.

다행히 필답치고는 전기기사, 산업안전기사에 비해 공부량(암기량)은 적은편이다.

어느 정도의 필기 개념과 10개년도 과년도 기출을 분석하면 무난하게 풀 수 있다.


3.2.2. 작업형[편집]


오로지 경기도 광주 ICT폴리텍 대학에서만 응시가능하다.

작업형은 총 3과제로 진행되며, 배점은 1과제 20점,2과제 20점,3과제 10점이다.


3.2.2.1. 1과제(설계 및 측정이론)[편집]

1과제는 한 장소에 동시에 진행되며, 아래 4가지 소과제를 필답형과 유사하게 시험지에 풀이해야 한다. 제한시간은 30분.
1) (디지털 방송시스템 구성) 지상파, 위성방송, 유선방송 등 제시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 블록도의 빈 칸(압축기, 다중화기 등)에 장비명 작성, 전송률, 대역폭 작성
2) (디지털 방송시스템 측정) 지상파, 위성방송, 유선방송 등 제시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신호(비디오, 오디오, 주파수 등)의 측정위치 및 측정장비 작성
3) (디지털 방송시스템 설정) 지상파, 위성방송, 유선방송 등 제시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요구하는 신호(비디오, 오디오 등)의 총 전송률, 패킷 전송률, 데이터 전송률 등 계산
4) (방송신호 측정이론) 제시된 휘도신호(Y) 및 컬러신호(Cb, Cr)를 바탕으로 벡터스코프 또는 웨이브폼모니터를 그리고 계산과정 서술

지상파 등 방송시스템별 구성방식, 신호의 특성 및 측정장비의 기능, 전송률 계산법을 모두 이해하고 있어야 문제를 풀 수 있다. 즉, 알면 고득점을 챙겨갈 수 있으나 모르면 손도 못 댄다.


3.2.2.2. 2과제(측정기 운용)[편집]

2과제는 방송측정기기인 'SDI 분석기'와 'MPEG분석기' 조작 및 '실무면접'이다. 제한시간은 40분.

1) 패턴신호발생기로 송출하는 8컬러바 신호를 SDI분석기(웨이브폼모니터)를 이용하여 Amplitude, Jitter, Fall Time, Rise Time 측정
2) 임의의 디지털방송 동영상(TS파일)을 MPEG분석기로 분석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방식, PAT 값, PMT 값 기술, Null Packet 계산, PAT와 PMT 분석창에서 CRC_32 등 측정하여 작성

모든 과정에서 측정한 값이 의미하는 사항 또는 감독위원이 질문하는 사항을 답변하는 구술면접이 병행된다.

독방에서 고가의 장비를 다루고, 면접까지 보다보니 매우 긴장될 수 있다. 면접은 주로 측정값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물어보므로 단순 측정기를 보고 값을 적는다는 생각보다는 그 값의 단어 뜻을 어느 정도 알아가야 면접을 제대로 볼 수가 있다.


3.2.2.3. 3과제(방송신호 측정)[편집]

3과제는 스펙트럼 분석기 조작 및 계측 영역이다. 제한시간은 20분.

감독관이 신호발생기로 8VSB 신호를 송출하면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주파수대역, 중간주파수, 파일롯 신호 주파수 및 전력값, 주파수의 최대 전력, 채널 전력과 신호 감쇄 후 감쇄값을 측정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4:47:08에 나무위키 방송통신기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통신분야 기사에 공통으로 출제되며, 전자기사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