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임하사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편집]


선임부사관(先任副士官). 선임하사(先任下士).

군의 일정 부대 단위 내 부사관들 중 최고 선임자를 뜻하는 단어로, 대부분의 육군·해군 부대에서 중사 계급이 역임했기 때문에 중사=선임하사라는 인식이 강하다. 최선임 부사관을 선임하사라 불렀던 이유는 부사관의 이전 명칭이 하사관이었기 때문이다. 즉, 선임하사에서 하사는 계급이 아니라 '하사관'을 뜻한다. 약칭은 선하.


2. 대한민국 육군[편집]


육군의 경우 '하사'라는 말 때문에 오해가 있을 수 있는데, 선임하사의 계급은 하사일 수도 있고, 중사상사일수도 있다. 분대의 최고 선임자인 분대장, 중대내 부사관 최고 선임자인 행정보급관[1]의 사이에 있는 선임자 직책으로 볼 수 있겠는데, 원칙적으로 분대장 또한 부사관에게 주어지는 직책이지만 부사관 꺼림으로 인한 인원부족 현상으로 인해 병의 최고 선임자가 맡고 있는 현실로 현재는 부소대장이라는 호칭으로 바뀌어 거의 사라진 호칭이다. 가끔 잘 모르는 병들이 부소대장을 선임하사라 부르기도 하지만, 그것을 원사나 상사 등 선임부사관들이 본다면 해당부사관에게 병들 교육 다시 하라는 핀잔을 주기도 한다.

하사를 단 분대장에게도 종종 선임하사(분대 선임하사)라고 잘못 불려졌던 일화가 있다.[2]

같은 육군이라도 육군특수전사령부에서는 '선임담당관'이라고 부른다. 특전사의 최소편제는 중대로, 12명의 장교 및 부사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대의 최선임 부사관을 선임담당관, 지역대의 최선임 부사관을 행정보급관으로 부르고 있다.


3. 대한민국 해군[편집]


해군에서는 CPO(원사, 상사) 이상이 직별장을 맡고 있는 배의 중사들의 직책이다. 주로 함정에서 선임하사라는 표현을 쓰고 육상부대에서는 잘 쓰지 않고 그냥 중사라고만 한다. 간혹 줄여서 선임이라고도 부른다. 각 직별에서 가장 기수, 계급이 높은 부사관을 직별장이라고 하는데, CPO가 해당 직별에 없으면 중사들 중 최선임자가 직별장이 되고 그 아래 중사들이 선임하사를 하게 된다.[3] 보통 이런 배는 중사도 1명뿐이라 그 직별엔 선임하사가 없이 바로 직별장-직별부사관(하사)으로 간다.

CPO 직별장들처럼 한 직별에 중사가 여럿 있으면 제1갑판선임부사관, 제2갑판선임부사관 식으로 기수에 맞춰 서열을 정한다.

최근 일부 함 및 부대에서는 선임하사나 제2직별장과 같은 명칭이 또다른 계급화를 일으킨다고 보고 사용을 자제하려고 하는 곳도 있다.


3.1. 대한민국 해병대[편집]


해군처럼 선임하사=중사이며 직책에 따라 부소대장님이나 담당관님이라 호칭하기도 한다. 보통 보병, 포병, 기갑, 통신, 공병 등의 전투부대들이 주로 선임하사라 부른다. 소대장을 맡는 소위 계급에게는 이 계급의 사람들도 충분히 어렵다. 계급 상으로만 낮지 관록으로는 10년이 넘어가기 때문. 그래서 이 계급 사람들에게 잘 보이려 노력한다. 물론 이는 고급 부사관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고급 부사관들에게 찍히면 고대로 대대장에게 말이 들어가서 피곤해진다. 예전에는 소대 선하와 중대 선하가 따로 나뉘어 있었다.


4. 대한민국 공군[편집]


주로 선임부사관, 줄여서 선부 라고 부른다. 2008년경 까지만 해도 선임하사라는 표현이 일부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더이상 쓰는 사람이 없다.

부서의 장[4]을 제외한 부사관 중 최 선임 부사관을 선임부사관으로 호칭한다. 보통 하는일은 자신의 주업무[5] + 후배 부사관과 병사들의 관리 + 부서 내의 행정업무 처리... 부사관/병 인원이 많은 부서라면 나름 힘이 있는 자리지만[6] 사령부 참모부서는 부사관과 병이 각각 1명 뿐인 부서도 널려있다(...)


5. 대중매체에서[편집]


  • 동작그만 : 김진호[7]
  • 전우 - 강민호
  • 푸른거탑 - 김하나
  • 신병 - 임성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7:26:56에 나무위키 선임하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 인사계, 중대 선임하사(약칭 중대선하)[2] 동작그만 400회에서 유 열 병장이 이창훈 하사 분대장에게 선임하사라고 호칭했다.[3] 만약 중사도 없으면 하사가 직별장. 참수리급 고속정이 그 예시.[4] 중대 아래의 각 반 반장은 보통 준사관 또는 상~원사나 6급~5급 군무원이 보임된다.[5] 하지만 관례상 선임부사관이 되면 주업무에서 열외하여 중대 내 행정업무만 하게 해주는 경우도 있다. 단 행정업무가 회계정리와 같은 업무만 있는 것이 아니고 병사들 관리와 부서 내 행사준비, 부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사역업무 등 의외로 할 일이 많으므로 무작정 좋아하는 부사관은 없다. 단 주업무를 수행하는 병력이 부족하면 선임부사관이 주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6] 단 선임부사관의 짬이 타 부서에 비해 모자란다면 그야말로 사역차출 1순위가 된다.하지만 감독관의 짬이 엄청나면 선임부사관은 올레[7] 동작그만 초창기부터 종영시까지 선임하사로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