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해헬리콥터

덤프버전 :


1. 개요
2. 특징
3. 소해헬리콥터의 종류
4. 소해함과의 비교
5. 한국 해군의 소해헬리콥터 도입사업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소해헬리콥터는 소해함과 마찬가지로 바다에 설치된 적의 기뢰를 제거해 아군의 해상 작전 수행능력을 상승시키는 임무를 담당하는 무기체계이다.


2. 특징[편집]


대잠헬기와는 다목적 헬기를 개수한 해상작전용 헬기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외에는 큰 연관점은 없다. 대잠헬기는 대 잠수함 작전을 위한 무기체계고, 소해헬기는 기뢰를 제거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대잠헬기가 바다의 대전차팀이라면, 소해헬기는 EOD인 셈.

항공소해장비가 헬기 탑재형 대잠장비보다 크기가 커서 일반적으로 소해헬기는 대잠헬기보다 체급이 크다. 예를 들면, 가장 큰 대잠헬기는 AW-101 멀린 헬기[1]인데, 미군이 운용하는 MH-53 소해헬기는 이것보다 더 크다. 반면에 MH-53 헬기는 너무 커서 대잠헬기로 운용되지 않는다. 그나마 미군이 MH-60 소해형을 개발중이지만 RAMICS라는 계류기뢰 제거장비[2]의 개발이 기술력 부족으로 좌초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RAMICS 자체는 한번 취소되었으나 NAMMO와 미 해군 합작하 개발중인 30mm 초공동포탄이 개발중인 상황이라 부활할 가능성은 있다. 또한 별개로 ALMDS(기뢰탐색장치)와 AMNS-AF(기뢰무력화체계)는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다.[3]

소해헬기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군에게 소해헬기의 베이스가 되는 체급의 헬기의 도입가와 유지비는 큰 부담이 되며, 때문에 대부분의 해군들은 소해헬기 없이 소해함만으로 소해작전을 실시하는 형편이다.


3. 소해헬리콥터의 종류[편집]


미 해군MH-53를 소해헬기로 운용한다. MH-60 소해형의 개발이 지연되었던 관계로 앞으로도 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해상자위대 역시 이 기종을 운용중이며, 현재는 AW-101에 소해장비를 인티그레이션하는 방식으로 MH-53을 대체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4. 소해함과의 비교[편집]


  • 장점
    • 기뢰에 대해 안전하다.
소해함이 항상 기뢰 폭발로 사고가 날 것을 염두에 두고 작전해야하는 반면, 소해헬기는 공중에 떠서 소해작전을 하므로 기뢰에 보다 안전하다.
  • 기동성이 높다.
헬기는 수상함보다 훨씬 빠르다. 때문에 기뢰부설지역까지 빠르게 날아가 작전할 수 있다.
  • 단점
    • 작전수행기간이 떨어진다.
헬기의 체공시간이 배의 항행기간보다 짧은 것은 당연하므로 작전수행기간도 떨어진다. 때문에 소해헬기는 탑재모함에 탑재되어 운용되기도 한다.
  • 기상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헬기는 고정익기나 함정보다 더 악천후에 취약하다. 뭐 지나치게 기상조건이 나쁘면 함정이고 고정익기고 전부 피항/결항해야 하고, 소해작업은 악천후가 심하면 진행하기 어려운 임무이긴 하다.
  • 비싸다.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매우 큰 단점이다. 이 단점 하나 때문에 대한민국을 포함해서 소해헬기를 운용조차 못하는 나라도 많다.

5. 한국 해군의 소해헬리콥터 도입사업[편집]


2008년에 2012년 도입을 목표로 4대의 소해헬기를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했지만# 가장 저렴한 MH-60이 상술한대로 신형 소해장비의 개발이 좌초되었고, 다른 후보인 AW-101이 너무 비싼 탓에 때문에 사업이 2018년까지 지연되었다.#

파일:IMG_20191023_221826.jpg
그렇게 한참을 기다린 결과 이젠 해외 도입을 접고 수리온을 개조해서 써먹을 모양인 걸로 보인다. 2019 MADEX에서 개념도가 공개 되었다.

개발이 2021년 3월 결정되었다.

2021년 12월 23일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했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5:00:53에 나무위키 소해헬리콥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소해도 한다.[2] 계류기뢰는 원래 물 속에 소해구를 집어넣어 계류기뢰와 바다 밑바닥의 추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끊어 기뢰를 수면으로 올라오게 한 뒤 기관포로 파괴하는 절차로 제거한다. RAMICS는 물 속에서도 탄속이 줄어들지 않는 초공동탄을 개발해 계류기뢰의 케이블을 제거하는 절차를 생략하면서도 기뢰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였다.[3] 이 때문에 LCS의 소해작전능력 확보에 차질을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