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우리말/목록/테마별/동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순우리말/목록

1. 개요
2. 목록


1. 개요[편집]


순우리말을 테마별로 분류한 문서이다.
흔히 순우리말로 잘못 아는 한자어·외래어가 있으며, 순우리말인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말도 있다. 순우리말 목록에 넣을 때에는 이에 주의하기 바람.




2. 목록[편집]


  • 가리맛: 작두콩가리맛조갯과의 하나. *《옛》 가리맏, 가리맛 《출전》 蟶 가리맏 뎌ᇰ - 훈몽자회(상)(1527)
  • 가오리
  • 가마우지: 가마우짓과의 가마우지, 민물가마우지, 쇠가마우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가마오디, 가마오지, 가마우디 《참조》 가마우지(샘)
  • 강치: 바다사자를 일반적으로 이르는 말.
  • 개구리: 양서강 개구리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개고리, 개골이, 개구리, ᄀᆡ고리, ᄀᆡ구리 《참조》 개구리(샘)
  • 개호주: 범의 새끼
  • : ((일부 속담에 쓰여)) ‘고양이’를 이르는 말. *《옛》
  • 거머리: 거머리강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거머리, 검어리, 검얼이, 거마리, 거말이 《참조》 거머리(샘)
  • 거미: 동물. *《옛》 거믜, 검의 《참조》 거미(샘)
  • 거북: 파충강 거북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거붑, 거북, 거복 《참조》 거북(샘)
  • 거위1: 오릿과의 새. *《옛》 거유, 게유, 거위 《출전》 鵝 거유 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거위(샘)
  • 거위2: 회충과의 기생충. *《옛》 것위, 거ᇫ위, 거ᅀᅱ 《출전》 【地龍糞거ᇫ윗 ᄯᅩᇰ水和塗之】 거ᇫ위 ᄯᅩᇰ을 므레 ᄆᆞ라 ᄇᆞᄅᆞ라 - 구급간이방(3)(1489), 蚯 거ᅀᅱ 구 蚓 거ᅀᅱ 인 蛐 거ᅀᅱ 곡 蟮 거ᅀᅱ 션 - 훈몽자회(상)(1527)
  • 게: 십각목의 갑각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게 《출전》 【又方治食蟹中毒諸方】 ᄯᅩ 게 먹고 毒 마ᄌᆞ닐 고튜ᄃᆡ - 구급방언해(하)(1466), 螃 게 바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게(샘)
  • 고라니: 사슴과의 하나. *《옛》 고라니 《출전》 麅 고라니 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고라니(샘)
  • 고래: 포유강 고래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고래
  • 고슴도치: 고슴도칫과의 하나. *《옛》 고솜돝, 고솜돋, 고솜돗, 고솜돗ㅎ, 고솜돗치, 고솜도치, 고숨도치 《어원》 고솜+돝+-이 《출전》 【頭髮猬皮各等分】 머리 터럭과 고솜도ᄐᆡ 가ᄎᆞᆯ ᄀᆞᆮ게 ᄂᆞᆫ호아 - 구급방언해(하)(1466), 蝟 고솜돋 위 - 훈몽자회(1527) 《참조》 고슴도치(샘)
  • 고슴돛: 고슴도칫과의 하나. *《옛》 고솜돝, 고솜돋, 고솜돗, 고솜돗ㅎ 《어원》 고솜+돝 《참조》 고슴도치(샘)
  • 고양이: 고양잇과의 하나. *《옛》 괴, 고양이, 괴양이 《어원》 괴+-앙이 《참조》고양이(샘)
  • : 포유강 식육목 곰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고마, 곰 《참조》 곰(샘)
  • 괭이: ‘고양이’의 준말.
  • : ((일부 속담에 쓰여)) ‘고양이’를 이르는 말. *《옛》 《출전》 貓 괴 묘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고양이(샘)
  • 구더기: 파리의 애벌레. *《옛》 구더기
  • 까마귀: 까마귓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가마괴
  • 까치: 까마귓과의 새. *《옛》 가치 《출전》 伽闍山 苦行애 六 年을 안ᄌᆞ샤 마리 우희 가치 삿기 치니 - 월인천강지곡(1447)
  • 꾀꼬리: 까마귓과의 새. *《옛》 곳고리, 굇고리, 괴ᄭᅩ리, 괻고리, ᄭᅬᄭᅩ리, ᄭᅬㅅ고리, ᄭᅬᆺ고리, ᄭᅬᆺᄭᅩ리, ᄭᅬᄭᅩ리 《참조》 꾀꼬리(샘)
  • 꿩: 꿩과의 새. *《옛》 ᄭᅯᇰ, ᄭᅯᆼ, 꿩 《참조》 꿩(샘)
  • 나귀: 말과의 포유류. *《옛》 라귀, 나귀, 나괴 《참조》 나귀(샘)
  • 나비: 나비목의 곤충 가운데 낮에 활동하는 무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나ᄇᆡ, 나뵈, 나븨, 나뷔 《출전》 蛺 나ᄇᆡ 협 蝶 나ᄇᆡ 뎝 蛾 나ᄇᆡ 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나비(샘)
  • : ‘원숭이’의 방언(제주). *《옛》 《출전》 獼 납 미 猴 납 후 猢 납 호 猻 납 손 - 훈몽자회(상)(1527)
  • 너구리
  • 너새: 느싯과의 겨울새. *《옛》 너새 《참조》 너새(샘) / '너새'는 '너'와 '새'가 결합한 것인데, '너'는 "너새"의 의미인 '너ᅀᅵ'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너ᅀᅵ'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너새'의 의미로 나타난다({너ᅀᅵ} 爲鴇 1446 훈해 56). - 우리말샘 역사정보(너새)
  • 노루: 사슴과의 포유류. *《옛》 노로 《출전》 노로為獐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능소니: 곰의 새끼. 곰 역시 순우리말이다.
  • 다라미: ‘다람쥐’의 방언(전남, 평안, 함경). *《옛》 ᄃᆞ라미, ᄃᆞ람이 《출전》 鼯 ᄃᆞ람이 오 - 왜어유해(1780?) 《참조》 19세기 이전에 “다람쥐”의 의미로 쓰인 단어는 ‘다ᄅᆞ미’와 ‘다라미’가 있었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다람쥐)
  • : 꿩과의 새. *《옛》 ᄃᆞᆰ, ᄃᆞᆯ, ᄃᆞᇃ, 닭 《참조》 닭(샘)
  • 담비: 포유강 족제빗과의 검은담비, 노란목도리담비, 담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담뵈, 담뷔, 담븨 《출전》 【天爲拯民 天才是出 藪中蜜狗 卄發盡獲】 天爲拯民ᄒᆞ샤 天才ᄅᆞᆯ ᄂᆞ리오시니 藪中 담뵈ᄅᆞᆯ 스믈 살 마치시니 - 용비어천가(32장)(1447), 獾 담뵈 환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담비(샘)
  • 대릉이: 천산갑
  • 도로래: 땅강아지. *《옛》 도로래 《출전》 螻 도로래 루 蛄 도로래 고 - 훈몽자회(상)(1527)
  • 도롱뇽: 양서류의 일종. 어감상 한자어 같으나 아니다.
  • 도요: 도요샛과를 이르는 말.
  • 동고비
  • : ((일부 속담에 쓰여)) ‘돼지’를 이르는 말. *《옛》 , 돋 《출전》 彘 돋 톄 豚 삿기 돈 - 훈몽자회(상)(1527)
  • 돼지: 멧돼짓과의 포유류. *《옛》 되아지, 되야지, 도야지 《참조》 돼지(샘) / ‘되아지’는 기원적으로 ‘돝’에 관형격 조사 ‘-ᄋᆡ’, “새끼”를 뜻하는 ‘아지’가 결합한 ‘*도ᄐᆡ아지’에서 변화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실제 문헌에는 ‘*도ᄐᆡ아지’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 ‘되아지’는 ‘망아지, 송아지, 강아지’와 마찬가지로 본래 “새끼”를 가리키는 어휘였으나 19세기부터 이미 의미가 확장되어 ‘돝’을 대신하여 쓰이게 되었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돼지)
  • 두꺼비: 두꺼빗과의 양서류. *《옛》 둑겁, 둑거비, 둑겁이, 둑구비, 둑게비 《참조》 두꺼비(샘)
  • 두껍: ‘두꺼비’의 준말. *《옛》 둑겁 《출전》 둑겁집 蟾家 - 한불자전(1880)
  • 두루미: 두루밋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두루미, 두로미 《참조》 두루미(샘)
  • 두루치: 상어
  • 두터비: ‘두꺼비’의 방언(평북). *《옛》 두텁, 두터비, 둣터비, 두텁이 《참조》 두꺼비(샘)
  • 두텁: 두꺼비. *《옛》 두텁 《출전》 두텁為蟾蜍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따오기: 저어샛과의 겨울 철새. *《옛》 다와기, 다오기 《참조》 따오기(샘)
  • : 맷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매 《출전》 奮은 매 ᄂᆞᆯ애 티ᄃᆞ시 가ᄇᆡ얍고 ᄲᆞᄅᆞᆯ씨오 - 월인석보(10)(1459)
  • 매미: 매밋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ᄆᆡ야미, ᄆᆞ얌이, ᄆᆡ얌이, ᄆᆡ암이, 매암이 《출전》 蜩 ᄆᆡ야미 됴 蟬 ᄆᆡ야미 션 螓 ᄆᆡ야미 진 螗 ᄆᆡ야미 다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매미(샘)
  • 머구리: ‘개구리’의 방언(함경). *《옛》 머구리 《출전》 蟼 머구리 겨ᇰ 黽 머구리 며ᇰ 蛙 머구리 와 蟈 머구리 국 - 훈몽자회(상)(1527)
  • 메추라기: 꿩과의 겨울 철새. *《옛》 모ᄎᆞ라기, 모ᄎᆞᄅᆞ기, 몯ᄎᆞᄅᆞ기, 못ᄎᆞᄅᆞ기, 묘차락이, 뫼ᄎᆞ라기, 뫼ᄎᆞ락이, 뫼초라기, 묏초락이, 뫼쵸라기 《출전》 鷸 모ᄎᆞ라기 암 鶉 모ᄎᆞ라기 슌 - 훈몽자회(1527), 鶉 모ᄎᆞ라기 - 시경언해(5)(1613) 《참조》 메추라기(샘)
  • 무소: 포유류의 코뿔솟과에 속하는 수마트라코뿔소, 인도코뿔소, 흰코뿔소, 검은코뿔소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코뿔소. *《옛》 므쇼, 무쇼, 무소 《참조》 무소(샘)
  • 물뚱뚱이: 하마
  • 물족제비: 수달
  • 미르: 용
  • 바다삵: 비버과의 동물을 이르는 말.
  • 바다족제비: 해달
  • 바더리: 말벌과의 벌. *《옛》 바ᄃᆞ리 《출전》 螉 蠮螉細腰蜂 바ᄃᆞ리벌 - 사성통해(1517), 蠮 바ᄃᆞ리 예 螉 바ᄃᆞ리 오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바더리(샘)
  • 바람개비: 쏙독샛과의 새. *《옛》 ᄇᆞᄅᆞᆷ가비 《출전》 鷁 ᄇᆞᄅᆞᆷ가비 ᄋᆡᆨ - 신증유합(상)(1576) 《참조》 바람개비(샘)
  • 박쥐
  • 뱀: 파충강 뱀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ᄇᆞ얌, ᄇᆡ암, ᄇᆡ얌, 바얌, 배암 《출전》 ᄇᆞ얌為蛇 - 훈민정음 해례본(1446) 《참조》 뱀(샘)
  • 뱁새: 휘파람샛과의 하나. *《옛》 볍새, 뱝새 《출전》 볍새(샘)
  • 범: 고양잇과의 포유류. 호랑이. *《옛》 범 《출전》 범為虎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참조》 범(샘)
  • 비두리: 비둘기. *《옛》 비두리 《출전》 鳩 비두리 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비둘기(샘) / 현대 국어 ‘비둘기’의 옛말인 ‘비두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현대 국어와 같은 ‘비둘기’ 형태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17세기까지 ‘비두리’와 ‘비둘기’가 공존하였다. 이후 18세기에 와서 ‘비두리’는 사라지고 ‘비둘기’만 남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비둘기)
  • 비둘기: 비둘기목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비두리, 비둘기, 비ᄃᆞᆰ이, 비ᄃᆞᆯ기, 비돌기, 비들기 《참조》 비둘기(샘)
  • 사다새: 좁게는 펠리컨을 넓게는 사다샛과를 이르는 말.
  • 사마귀: 사마귓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사슴: 사슴과에 속하는 포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사ᄉᆞᆷ, 사슴 《출전》 사ᄉᆞᆷ為鹿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麋 사ᄉᆞᆷ 미 鹿 사ᄉᆞᆷ 록 麀 사ᄉᆞᆷ 우 麛 삿기 미 - 훈몽자회(상)(1527) 《참조》 사슴(샘)
  • 살쾡이: 고양잇과의 포유류. *《어원》 삵+괴+-앙이 《참조》 살쾡이(샘)
  • 삵: 살쾡이. *《옛》 ᄉᆞᆰ, ᄉᆞᆰㄱ, ᄉᆞᆯ, ᄉᆞᆷ, 삵 《출전》 狸 ᄉᆞᆰ 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삵(샘)
  • 소: 솟과의 포유류. *《옛》 , 소 《참조》 소(샘)
  • 소리개: → 솔개. *《옛》 쇠로기, 쇼로기, ᄉᆈ로기, 소로개, 소루개, 소리개 《출전》 솔개(샘)
  • 솔개: 수릿과의 새. *《옛》 쇠로기, 쇼로기, ᄉᆈ로기, 소로개, 소루개, 소리개, 솔개 《참조》 솔개(샘)
  • 수리: 수릿과의 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수리 《출전》 鷲는 수리오 峯ᄋᆞᆫ 묏부리오 - 월인석보(4)(1459)
  • 아시: 봉황
  • 아롱범: 표범
  • 약대: 낙타
  • 여우: 갯과의 포유류. *《옛》 여ᅀᆞ, 여ᇫㅇ, 엿ㅇ, 여ᅀᅳ, 여ᄋᆞ, 여으, 여오, 여우 《출전》 여ᇫ의갗為狐皮 - 훈민정음 해례본(종성해)(1446), 狐 여으 호 - 훈몽자회(상)(1527) 《참조》 여우(샘)
  • : 염소의 옛말. *《옛》 《출전》 羔 염 고 羊 염 양 - 광주천자문(1575) 《참조》 염소(샘)
  • 염소: 솟과의 동물. 산양(山羊). *《옛》 염쇼, 염소 《어원》 염+소(쇼) 《출전》 羖 염쇼 고 - 신증유합(상)(1576) 《참조》 염소(샘)
  • 오리: 오릿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올히, 올이, 오리 《출전》 鳧는 올히라 - 월인석보(8)(1459), 鴨 올히 압 鳧 믓올히 부 - 훈몽자회(상)(1527) 《참조》 오리(샘)
  • 올빼미: 올빼밋과의 새. *《옛》 옫바미, 옷바미, 옷밤이, 올밤이, 올빰이 《출전》 鵂 옷바미 휴 鶹 옷바미 류 - 신증유합(상)(1576) 《참조》 올빼미(샘)
  • 왜가리
  • 이리: 갯과의 포유류. 늑대. *《옛》 일히, 일희, 이리 《참조》 이리(샘)
  • 자라: 자랏과의 하나. *《옛》 쟈래, 쟈라, 자라 《출전》 黿 쟈래 원 鼈 쟈래 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자라(샘)
  • 제비: 제빗과의 새. *《옛》 져비, 졔비 《출전》 져비為燕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참조》 제비(샘)
  • 쥐: 쥣과의 포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쥐
  • 크낙새
  • 털실쥐: 친칠라
  • 토끼
  • 하루살이: 하루살이목의 굽은꼬리하루살이, 무늬하루살이, 밀알락하루살이, 별꼬리하루살이, 병꼬리하루살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ᄒᆞᄅᆞ사리 《출전》 蜉 ᄒᆞᄅᆞ사리 부 蝣 ᄒᆞᄅᆞ사리 유 - 훈몽자회(상)(1527) 《참조》 하루살이(샘)
  • 해오라기: 왜가릿과의 새. *《옛》 하야로비, 해야로비, ᄒᆡ아로비, 하야로비, 해아로비, ᄒᆡ오라비, ᄒᆡ오락이, ᄒᆡ우라비 《참조》 해오라기(샘)
  • 황새: 큰새라는 뜻의 한새에서 변형된 단어이다.
  • 후투티
  • 힝둥새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2:18:24에 나무위키 순우리말/목록/테마별/동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