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작품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1. BWV 번호
1.1. 목록
1.1.1. 성악곡/교회음악(BWV 1-524)
1.1.2. 건반음악(BWV 525-994)
1.1.3. 독주 악기를 위한 작품들
1.1.4. 실내악/관현악(BWV 1014-1071)
1.1.5. 대위법 실험 작품(BWV 1072-1080)
2. BC 번호



1. BWV 번호[편집]


  • 바흐의 작품 목록은 장르별 구분에 따라 BWV[1]로 정리되어 있다.
  • 아래 주요 작품목록은 BWV 번호 순서대로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 중요한 작품, 인지도가 있는 작품은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Bach-Werk-Verzeichnis의 약자로 말 그대로 바흐의 작품번호라는 뜻이다.[2] 1950년 볼프강 슈미더가 바흐의 작품을 정리하면서 붙였다. 바흐의 작품은 한동안 사장되다시피 했다가 늦게 발굴되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작곡년도를 확인하기 힘든 작품이 꽤 있었고 그래서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목록과 달리 연도순으로 정리되지 않고 장르별로 묶어서 정리하였다.[3]

슈미더는 BWV 1번은 칸타타부터 1080번 푸가의 기법까지 작품번호를 붙였는데 이후 바흐의 곡이 계속 발굴되어 현재는 1126번(합창곡 '우리의 주님을 찬양하라')까지 붙어 있다. 기타 미완성으로 남아 있는 작품이나 바흐의 작품인지 의심스러운 경우, 바흐 자필 사본이긴 하지만 바흐의 작품이 아닌 경우 등등 공식 작품목록에 올리기 어려운 경우는 BWV-Anh로 따로 분류하는데 현재 189번까지 번호가 붙어 있다. 이 BWV-Anh계열 작품은 바흐의 작품으로 확인될 경우 공식 목록에 올라갈 것이다.

악기 약어표
S, A, T, B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솔로)
S
현악기 4부 [4]
Vl
솔로 바이올린
Va
솔로 비올라
Vc
솔로 첼로
Ob
오보에



1.1. 목록[편집]



1.1.1. 성악곡/교회음악(BWV 1-524)[편집]




칸타타 BWV147 전곡
마태오 수난곡 중 Erbarme dich, mein Gott

  • 1-224: 칸타타(Cantatas) - BWV 200번까지는 교회칸타타, 201~224는 세속 칸타타이다.
#181818
||||||||||||||||<width=100%><tablebgcolor=#F5F5F5> {{{#FF91AF ■}}}일부분만 현존  /   {{{#FF9899 ■}}}소실  /   {{{#7FFFD4 ■}}}세속적 용도의 칸타타  /   {{{#C4D8E2 ■}}}미완성   /  {{{#D0DB61 ■}}}타 작곡가 작품으로 판명 ||
||<width=7%><rowbgcolor=#B284BE> '''BWV''' ||<width=43%> '''제목''' ||<width=3%> '''조성''' ||<width=17%> '''초연''' ||<width=33%> '''편성''' ||<width=1%> '''기타''' ||<width=1%> '''음원''' ||
|| 1 || '''[[이 얼마나 아름답게 빛나는 샛별인가]]'''[br]''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 F || 1725년 3월 25일  || SATB, 합창, 2 Hn, 2 Odc, 2 Vl , S || [[https://www.youtube.com/watch?v=8yvM2boSiTY|#]] || ||
|| 2 || '''아 하느님이시여, 하늘에서 굽어보소서'''[br]''Ach Gott, vom Himmel sieh darein'' || g || 1724년 6월 18일 || ATB, 합창, 2 Ob, 4 Tbn, S || || ||
|| 3 || '''아 하느님, 제 마음에 괴로움이 많사오니'''[br]''Ach Gott, wie manches Herzeleid'' || A || 1725년 1월 14일 || || || ||
|| 4 || '''그리스도가 죽음의 포로가 되어도'''[br]''Christ lag in Todes Banden'' || e || || || || ||
|| 5 || '''나 어디로 피할 것인가'''[br]'' Wo soll ich fliehen hin'' || g || || || || ||
|| 6 || '''저녁이 되니 저희와 함께 머무소서'''[br]''Bleib bei uns, denn es will Abend werden'' || c || || || || ||
|| 7 || '''우리 주 그리스도께서 요르단강에 오셨도다'''[br]''Christ unser Herr zum Jordan kam'' || e || || || || ||
|| 8 || '''사랑하는 하느님이시여, 저는 언제 죽나이까'''[br]''Liebster Gott, wenn werd ich sterben?'' || E || || || || ||
|| 9 || Es ist das Heil uns kommen her || E || || || || ||
|| 10 || Meine Seel erhebt den Herren || g || || || || ||
|| 11 || Lobet Gott in seinen Reichen || D || || || || ||
|| 12 || '''흐느낌, 슬픔, 근심, 두려움'''[br]''Weinen, Klagen, Sorgen, Zagen'' || F || || || || ||
|| 13 || '''나의 한숨, 나의 눈물'''[br]''Meine Seufzer, meine Tränen'' || d || || || || ||
|| 14 || '''하느님께서 우리 편에 계시지 아니하셨더라면'''[br]''Wär Gott nicht mit uns diese Zeit'' || G || || || || ||
|| 15 || Denn du wirst meine Seele nicht in der Hölle lassen || C || || || || ||
|| 16 || '''주여, 당신께 영광이 있으소서'''[br]''Herr Gott, dich loben wir'' || a || || || || ||
|| 17 ||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br]''Wer Dank opfert, der preiset mich'' || A || || || || ||
|| 18 || '''비와 눈이 하늘로부터 내림과 같이'''[br]''Gleichwie der Regen und Schnee vom Himmel fällt'' || g || || || || ||
|| 19 || '''하늘에 전쟁이 있으니'''[br]''Es erhub sich ein Streit'' || C || || || || ||
|| 20 || O Ewigkeit, du Donnerwort || F || || || || ||
|| 21 || '''내 속에 근심이 많을 때에'''[br]''Ich hatte viel Bekümmernis'' || c || || || || ||
|| 22 || '''예수께서 열두 제자를 데리시고'''[br]''Jesus nahm zu sich die Zwölfe'' || g || || || || ||
|| 23 || Du wahrer Gott und Davids Sohn || c || || || || ||
|| 24 || Ein ungefärbt Gemüte || F || || || || ||
|| 25 || Es ist nichts Gesundes an meinem Leibe || F || || || || ||
|| 26 || Ach wie flüchtig, ach wie nichtig || || || || || ||
|| 27 || Wer weiß, wie nahe mir mein Ende? || || || || || ||
|| 28 || Gottlob! nun geht das Jahr zu Ende || || || || || ||
|| 29 || '''주여, 감사드리나이다'''[br]''Wir danken dir, Gott, wir danken dir'' || D || [[1731년]] [[8월 27일]] || 3 Tr, Tim, 2 Ob, Org || [* 신포니아(1악장)가 바이올린 파르티타 E장조 (bwv 1006의 편곡이다.] || ||
|| 30 || Freue dich, erlöste Schar || D || || || || ||
||<rowbgcolor=#7FFFD4> 30a || '''즐거운 비더라우여'''[br]''Angenehmes Wiederau'' || D || 1737년 9월 28일 || 3 Tr, Tim, 2 Ob, 2 Fl, Obd || || ||
|| 31 || Der Himmel lacht! Die Erde jubilieret || C || || || || ||
|| 32 || Liebster Jesu, mein Verlangen || e || || || || ||
|| 33 || Allein zu dir, Herr Jesu Christ || a || || || || ||
|| 34 || O ewiges Feuer, o Ursprung der Liebe || D || || || || ||
|| 34a || O ewiges Feuer, o Ursprung der Liebe || D || || || || ||
|| 35 || Geist und Seele wird verwirret || d || || || || ||
|| 36 || Schwingt freudig euch empor || D || || || || ||
||<rowbgcolor=#FF9899> 36a || Steigt freudig in die Luft || || || || || ||
|| 36b || Die Freude reget sich || D || || || || ||
|| 36c || Schwingt freudig euch empor || D || || || || ||
|| 37 || Wer da gläubet und getauft wird || A || || || || ||
|| 38 || Aus tiefer Not schrei ich zu dir || e || || || || ||
|| 39 || Brich dem Hungrigen dein Brot || g || || || || ||
|| 40 || Darzu ist erschienen der Sohn Gottes || F || || || || ||
|| 41 || Jesu, nun sei gepreiset || C || || || || ||
|| 42 || Am Abend aber desselbigen Sabbats || D || || || || ||
|| 43 || Gott fähret auf mit Jauchzen || C || || || || ||
|| 44 || Sie werden euch in den Bann tun || g || || || || ||
|| 45 || Es ist dir gesagt, Mensch,was gut ist || E || || || || ||
|| 46 || Schaut doch und sehet, ob irgend ein Schmerz sei || d || || || || ||
|| 47 || Wer sich selbst erhöhet, der soll erniedriget werden || g || || || || ||
|| 48 || Ich elender Mensch, wer wird mich erlösen || g || || || || ||
|| 49 || Ich geh und suche mit Verlangen || E || || || || ||
|| 50 || Nun ist das Heil und die Kraft || D || || || || ||
|| 51 || Jauchzet Gott in allen Landen! || C || || || || ||
|| 52 || Falsche Welt, dir trau ich nicht || F || || || || ||
|| 53 || Schlage doch, gewünschte Stunde || || || || || ||
|| 54 || Widerstehe doch der Sünde || || || || || ||
|| 55 || Ich armer mensch, ich Sündenknecht || || || || || ||
|| 56 || Ich will den Kreuzstab gerne tragen || || || || || ||
|| 57 || Selig ist der Mann || || || || || ||
|| 58 || Ach Gott, wie manches Herzeleid || || || || || ||
|| 59 || Wer mich liebet, der wird mein Wort halten || || || || || ||
|| 60 || O Ewigkeit, du Donnerwort || || || || || ||
|| 61 || Nun komm, der Heiden Heiland || || || || || ||
|| 62 || Nun komm, der Heiden Heiland || || || || || ||
|| 63 || Christen, ätzet diesen Tag || || || || || ||
|| 64 || Sehet, welch eine Liebe hat uns der Vater erzeiget || || || || || ||
|| 65 || Sie werden aus Saba alle kommen || || || || || ||
|| 66 || Erfreut euch, ihr Herzen || || || || || ||
|| 66a || Der Himmel dacht auf Anhalts Ruhm und Glück, serenata || || || || || ||
|| 67 || Halt im Gedächtnis Jesum Christ || || || || || ||
|| 68 || Also hat Gott die Welt geliebt || || || || || ||
|| 69 || Lobe den Herrn, meine Seele || || || || || ||
|| 69a || Lobe den Herrn, meine Seele || || || || || ||
|| 70 || Wachet! betet! betet! wachet! || || || || || ||
|| 70a || Wachet! betet! betet! wachet! || || || || || ||
|| 71 || Gott ist mein König || || || || || ||
|| 72 || Alles nur nach Gottes Willen || || || || || ||
|| 73 || Herr, wie du willst, so schicks mit mir || || || || || ||
|| 74 || Wer mich liebet, der wird mein Wort halten || || || || || ||
|| 75 || Die Elenden sollen essen || || || || || ||
|| 76 || Die Himmel erzählen die Ehre Gottes || || || || || ||
|| 77 || Du sollt Gott, deinen Herren, lieben || || || || || ||
|| 78 || Jesu, der du meine Seele || || || || || ||
|| 79 || Gott, der Herr, ist Sonn und Schild || || || || || ||
|| 80 || 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 || || || || ||
|| 80a || Alles, was von Gott geboren || || || || || ||
|| 80b || 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 || || || || ||
|| 81 || Jesus schläft, was soll ich hoffen? || || || || || ||
|| 82 || Ich habe genug || || || || || ||
|| 83 || Erfreute Zeit im neun Bunde || || || || || ||
|| 84 || Ich bin vergnügt mit meinem Glücke || || || || || ||
|| 85 || Ich bin ein guter Hirt || || || || || ||
|| 86 || Wahrlich, wahrlich, ich sage euch || || || || || ||
|| 87 || Bisher habt ihr nichts gebeten in meinem Namen || || || || || ||
|| 88 || Siehe, ich will viel Fischer aussenden || || || || || ||
|| 89 || Was soll ich aus dir machen, Ephraim? || || || || || ||
|| 90 || Es reißet euch ein schrecklich Ende || || || || || ||
|| 91 || Gelobet seist du, Jesu Christ || || || || || ||
|| 92 || Ich hab in Gottes Herz und Sinn || || || || || ||
|| 93 || Wer nur den lieben Gott läßt walten || || || || || ||
|| 94 || Was frag ich nach der Welt || || || || || ||
|| 95 || Christus, der ist mein Leben || || || || || ||
|| 96 || Herr Chirst, der einge Gottes Sohn || || || || || ||
|| 97 || In allen meinen Taten || || || || || ||
|| 98 || Was Gott tut, das ist Wohlgethan || || || || || ||
|| 99 || Was Gott tut, das ist wohlgetan || || || || || ||
|| 100 || Was Gott tut, das ist wohlgetan || || || || || ||
|| 101 || Nimm von uns, Herr, du treur Gott || || || || || ||
|| 102 || Herr, deine Augen sehen nach dem Glauben! || || || || || ||
|| 103 || Ihr werdet weinen und heulen || || || || || ||
|| 104 || Du Hirte Isral, höre || || || || || ||
|| 105 || Herr, gehe nicht ins Gericht || || || || || ||
|| 106 || Gottes Zeit ist die allerbeste Zeit (Actus tragicus) || || || || || ||
|| 107 || Was willst du dich betrüben || || || || || ||
|| 108 || Es ist euch gut, daß ich hingehe || || || || || ||
|| 109 || Ich glaube, lieber Herr, hilf meinem Unglauben || || || || || ||
|| 110 || Unser Mund sei voll Lachens || || || || || ||
|| 111 || Was mein Gott will, das g'scheh allzeit || || || || || ||
|| 112 || Der Herr ist mein getreur Hirt || || || || || ||
|| 113 || Herr Jesu Christ, du höchstes Gut || || || || || ||
|| 114 || Ach, lieben Christen, seid getrost || || || || || ||
|| 115 || Mache dich, mein Geist, bereit || || || || || ||
|| 116 || Du Friedenfürst, Herr Jesu Christ || || || || || ||
|| 117 || Sei Lob und Ehr dem höchsten Gut || || || || || ||
|| 118 || O Jesu Christ, mein's Lebens Licht || || || || || ||
|| 119 || Preise Jerusalem, den Herrn || || || || || ||
|| 120 || Gott, man lobet dich in der Stille || || || || || ||
|| 120a || Herr Gott, Beherrscher aller Dinge || || || || || ||
|| 120b || Gott, man lobet dich in der Stille || || || || || ||
|| 121 || Christum wir sollen loben schon || || || || || ||
|| 122 || Das neugeborne Kindelein || || || || || ||
|| 123 || Liebster Immanul, Herzog der Frommen || || || || || ||
|| 124 || Meinem Jesum laß ich nicht || || || || || ||
|| 125 || Mit Fried und Freud ich fahr dahin || || || || || ||
|| 126 || Erhalt uns, Herr, bei deinem Wort || || || || || ||
|| 127 || Herr Jesu Christ, wahr' Mensch und Gott || || || || || ||
|| 128 || Auf Christi Himmelfahrt allein || || || || || ||
|| 129 || Gelobet sei der Herr, mein Gott || || || || || ||
|| 130 || Herr Gott, dich loben alle wir || || || || || ||
|| 131 || Aus der Tiefen rufe ich, Herr, zu dir || || || || || ||
|| 132 || Bereitet die Wege, bereitet die Bahn || || || || || ||
|| 133 || Ich freue mich in dir || || || || || ||
|| 134 || Ein Herz, das seinem Jesum leben weiß || || || || || ||
|| 135 || Ach Herr, mich armen Sünder || || || || || ||
|| 136 || Erforsche mich, Gott, und erfahre mein Herz || || || || || ||
|| 137 || Lobe den Herren, den mächtigen König der Ehren || || || || || ||
|| 138 || Warum betrübst du dich, mein Herz || || || || || ||
|| 139 || Wohl dem, der sich auf seinen Gott || || || || || ||
|| 140 || '''깨어나라고 우리를 부르는 소리'''[br]''Wachet auf, ruft uns die Stimme'' || || || || [* 이 칸타타에 나오는 합창 〈시온은 파수꾼의 노래를 듣고〉(Zion hört die Wächter singen)가 유명하다.] || ||
|| 141 || Das ist je gewißlich wahr || || || || || ||
|| 142 || Uns ist ein Kind geboren || || || || || ||
|| 143 || Lobe den Herrn, meine Seele || || || || || ||
|| 144 || Nimm was dein ist, und gehe hin || || || || || ||
|| 145 || Ich lebe,  mein Herze,  zu deinem Ergötzen || || || || || ||
|| 146 || Wir müssen durch viel Trübsal in das Reich Gottes eingehen || || || || || ||
|| 147 || '''마음과 입과 행동과 삶으로'''[br]''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 || || || [* 1716년 바이마르에서 작곡되었는데 1723년 라이프치히 취임을 위한 방문 기념으로 큰 규모로 개작하였다. 1716년에 작곡된 원곡은 BWV 147a로 따로 표기하는데, 현재는 147a는 거의 연주되지 않는다.][* 이 칸타타에 나오는 합창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Jesus bleibet meine Freude, Jesus, Joy of Man's Desiring)이 유명하다.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子供の落書き帳]]의 원곡. 일반에는 [[조지 윈스턴]]이 피아노로 편곡한 〈Joy〉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Willem van Twillert의 오르간 연주) (Alon Goldstein의 피아노 연주) (킹스 컬리지 합창단) (George Winston 편곡 "Joy") 사실 이 곡은 순수한 바흐의 작품은 아니고, 바흐가 다른 음악가의 선율을 빌려 온 것이다.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에서는 실사장면에서 쓰였다. 이 외에도 [[KTX]] 시발역 출발 안내방송의 BGM으로도 쓰이는 중인데, 여기서는 [[Depapepe]]의 기타 편곡 버전이 쓰였다.][* 일본에서도 [[키하 40계 동차]], [[485계 전동차]], [[583계 전동차]] 차내 차임음으로 사용했다.] || ||
|| 147a ||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 || || || || ||
|| 148 || Bringet dem Herrn Ehre seines Namens || || || || || ||
|| 149 || Man singet mit Freuden vom Sieg in den Hütten der Gerechten || || || || || ||
|| 150 || Nach dir, Herr, verlanget mich || || || || || ||
|| 151 || Süßer Trost, mein Jesus kömmt || || || || || ||
|| 152 || Tritt auf die Glaubensbahn || || || || || ||
|| 153 || Schau, lieber Gott, wie meine Feind || || || || || ||
|| 154 || Mein liebster Jesus ist verloren || || || || || ||
|| 155 || Mein Gott, wie lang, ach lange || || || || || ||
|| 156 || Ich steh mit einem Fuß im Grabe || || || || || ||
|| 157 || Ich lasse dich nicht, du segnest mich denn || || || || || ||
|| 158 || Der Friede sei mit dir || || || || || ||
|| 159 || Sehet, wir gehn hinauf gen Jerusalem || || || || || ||
|| 160 || Ich weiß, daß mein Erlöser lebt || || || || || ||
|| 161 || Komm, du süße Todesstunde || || || || || ||
|| 162 || Ach! ich sehe, itzt, da ich zur Hochzeit gehe || || || || || ||
|| 163 || Nur jedem das Seine || || || || || ||
|| 164 || Ihr, die ihr euch von Christo nennet || || || || || ||
|| 165 || O heilges Geist - und Wasserbad || || || || || ||
|| 166 || Wo gehest du hin || || || || || ||
|| 167 || Ihr Menschen, rühmet Gottes Liebe || || || || || ||
|| 168 || Tü Rechnung! Donnerwort || || || || || ||
|| 169 || Gott soll allein mein Herze haben || || || || || ||
|| 170 || Vergnügte Ruh, beliebte Seelenlust || || || || || ||
|| 171 || Gott, wie dein Name, so ist auch dein Ruhm || || || || || ||
|| 172 || Erschallet, ihr Lieder, erklinget, ihr Saiten || || || || || ||
|| 173 || Erhöhtes Fleisch und Blut || || || || || ||
|| 174 || Ich liebe den Höchsten von ganzem Gemüte || || || || || ||
|| 175 || Er rufet seinen Schafen mit Namen || || || || || ||
|| 176 || Es ist ein trotzig und verzagt Ding || || || || || ||
|| 177 || Ich ruf zu dir, Herr Jesu Christ || || || || || ||
|| 178 || Wo Gott, der Herr, nicht bei uns hält || || || || || ||
|| 179 || Siehe zu, daß deine Gottesfurcht nicht Heuchelei sei || || || || || ||
|| 180 || Schmücke dich, o liebe Seele || || || || || ||
|| 181/1 || Leichtgesinntebtergeister || || || || || ||
|| 182/1 || Himmelskönig, sei willkommen || || || || || ||
|| 182/2 || Himmelskönig, sei willkommen || || || || || ||
|| 183 || Sie werden euch in den Bann tun || || || || || ||
|| 184 || Erwünschtes Freudenlicht || || || || || ||
|| 185 || Barmherziges Herze der ewigen Liebe || || || || || ||
|| 186 || argre dich, o Seele, nicht || || || || || ||
|| 187 || Es wartet alles auf dich || || || || || ||
|| 188 || Ich habe meine Zuversicht || || || || || ||
|| 189 || Meine Seele rühmt und preist || || || || || ||
|| 190 || Singet dem Herrn ein neus Lied! || || || || || ||
|| 190a || Singet dem Herrn ein neus Lied! || || || || || ||
|| 191 || Gloria in excelsis Deo || || || || || ||
|| 192 || Nun danket alle Gott || || || || || ||
|| 193 || Ihr Tore zu Zion || || || || || ||
|| 194 || Höchsterwunschtes Freudenfest || || || || || ||
|| 195 || Dem Gerechten muß das Licht immer wieder aufgehen || || || || || ||
|| 196 || Der Herr denket an uns || || || || || ||
|| 197 || Gott ist unsre Zuversicht || || || || || ||
|| 197a || Ehre sei Gott in der Höhe || || || || || ||
|| 199 || Mein Herze schwimmt im Blut || || || || || ||
|| 200 || Bekennen will ich seinen Namen || || || || || ||
||<rowbgcolor=#7FFFD4> 201 || '''포이부스와 판의 대결'''[BR]''Der Streit zwischen Phoebus und Pan''[* 《빨리빨리 불어라, 회오리바람아''Geschwinde, ihr wirbelnden Winde''》] || D || 1729년 가을 || || || ||
||<rowbgcolor=#7FFFD4> 202  || '''사라져라, 슬픔의 그림자여'''[br]''Weichet nur, betrübte Schatten'' || || || || || ||
||<rowbgcolor=#7FFFD4> 203  || '''배신자인 너 사랑이여'''[br]''Amore traditore'' || || || || || ||
||<rowbgcolor=#7FFFD4> 204  || '''나는 만족하노라'''[br]''Ich bin in mir vergnügt'' || || || || || ||
||<rowbgcolor=#7FFFD4> 205 || '''만족한 아에올루스'''[BR]''Der zufriedengestellte Aeolus''[* 《부수어라, 터뜨려라, 무덤을 파괴하라''Zerreißet, zersprenget, zertrümmert die Gruft''》] || || 1725년 8월 3일 || || || ||
||<rowbgcolor=#FF9899> 205 || '''적들이다, 나팔을 불어라'''[BR]''Blast Lärmen, ihr Feinde'' || || 1734년 2월 19일 || || || ||
||<rowbgcolor=#7FFFD4>  206 || '''살랑이는 파도여, 다가오라'''[BR]''Schleicht, spielende Wellen'' || || 1736년 10월 7일 || || || ||
||<rowbgcolor=#7FFFD4> 207 || '''합쳐져라, 어지러이 분산되던 현악기 소리여'''[br]''Vereinigte Zwietracht der wechselnden Saiten'' || || || || || ||
||<rowbgcolor=#7FFFD4> 207a || '''크고 힘찬 나팔소리를 드높이 울려라'''[br]''Auf, schmetternde Töne der muntern Trompeten'' || || || || || ||
||<rowbgcolor=#7FFFD4> 208 || '''나의 기쁨은 오직 즐거운 사냥뿐'''[BR]''Was mir behagt, ist nur die muntre Jagd'' || || || || || ||
||<rowbgcolor=#FF9899> 208a || '''나의 기쁨은 오직 즐거운 사냥뿐'''[BR]''Was mir behagt, ist nur die muntre Jagd'' || || || || || ||
||<rowbgcolor=#7FFFD4> 209 || '''진정한 슬픔이 무엇인지를 그는 모르네'''[br]''Non sa che sia dolore'' || || || || || ||
||<rowbgcolor=#7FFFD4> 210 || '''오 행복한 이날, 꿈에 그리던 날이여'''[br]''O holder Tag, erwünschte Zeit'' || || || || || ||
||<rowbgcolor=#FF91AF> 210a || '''오 사랑스런 멜로디여'''[br]''O angenehme Melodei'' || || || || || ||
||<rowbgcolor=#7FFFD4> 211 || '''떠들지 말고 조용히 해요'''[br]''Schweigt stille, plaudert nicht'' || || || || || ||
||<rowbgcolor=#7FFFD4> 212 || '''우리는 새 영주님을 모시노라'''[br]''Mer hahn en neue Oberkeet'' || || || || || ||
||<rowbgcolor=#7FFFD4> 213  || '''갈림길에 선 헤라클레스'''[BR]''Hercules am Scheidewege''[* 《살피자, 지키자''Laßt uns sorgen, laßt uns wachen''》] || F || 1733년 9월 5일 || || || ||
||<rowbgcolor=#7FFFD4> 214 || '''북소리 울려라, 나팔소리 퍼져라!'''[br]''Tönet, ihr Pauken! Erschallet, Trompeten!'' || || || || || ||
||<rowbgcolor=#7FFFD4> 215 || '''축복받은 작센이여, 너의 행운을 찬양하라'''[br]''Preise dein Glücke, gesegnetes Sachsen'' || || || || || ||
||<rowbgcolor=#FF91AF> 216 || '''기뻐하라 플라이센 주여'''[br]''Vergnügte Pleißenstadt'' || || || || || ||
||<rowbgcolor=#FF9899> 216a || '''아폴론과 메르쿠리우스'''[br]''Apollo et Mercurius''[* 《선택받은 플라이센 주여''Erwählte Pleißenstadt''》] || || || || || ||
|| 217 || Gedenke, Herr, wie es uns gehet || || || || || ||
|| 218 || Gott der Hoffnung erfülle euch || || || || || ||
|| 219 || Siehe, es hat überwunden || || || || || ||
|| 220 || Lobt ihn mit Herz und Munde || || || || || ||
|| 221 || Wer sucht die Pracht, wer wünscht den Glanz || || || || || ||
|| 222 || Mein Odem ist schwach || || || || || ||
|| 223 || Meine Seele soll Gott loben || || || || || ||
|| 224 || Reißt euch los, bekränkte Sinnen || || || || || ||

  • 225-231: 모테트(Motet) - 225-230 6곡의 모테트는 합창음악 분야의 걸작이다.
    • Jesu, meine Freude(예수는 나의 기쁨) BWV 227 - 6곡의 모테트 중에서도 가장 길고 가장 유명하고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바흐의 팬이라면 반드시 들어봐야 할 명작이다.[5]
  • 232-243: 미사곡 및 가톨릭 전례음악[7]
    • 미사 B단조 BWV 232[6]
    • Missa Brevis in F major(F 장조 미사 브레비스), BWV 233
    • Missa Brevis in A major(A 장조 미사 브레비스), BWV 234
    • Missa Brevis in g minor(g 단조 미사 브레비스), BWV 235
    • Missa Brevis in G major(G 장조 미사 브레비스), BWV 236
    • Sanctus in C major(C 장조 상투스), BWV 237
    • Sanctus in D major(D 장조 상투스), BWV 238
    • Sanctus in d minor(d 단조 상투스), BWV 239
    • Sanctus in G major(G 장조 상투스), BWV 240
    • Sanctus in D major(D 장조 상투스), BWV 241
    • Christie Eleison in g minor(크리스테 일레이손, g 단조), BWV 242
    • Magnificat in D major(마니피캇), BWV 243
  • 244-247: 수난곡[9]
    • 마태수난곡 BWV 244
    • 요한수난곡 BWV 245
    • 마르코 수난곡 BWV 247[8]
  • 248-249: 오라토리오
    •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WV 248[10]
    • 부활절 오라토리오 BWV 249
  • 250-438: 코랄(합창곡)
    • 3 Wedding Chorales(3개의 혼례용 코랄), BWV 250-252
  • 439-524: 독창곡(가곡, 찬송가, 아리아 등)


1.1.2. 건반음악(BWV 525-994)[편집]






환상곡과 푸가 g단조, BWV 542, 연주 칼 리히터
토카타와 푸가 d단조, BWV 565, 연주 칼 리히터[11]
푸가 g단조, BWV 578
파사칼리아와 푸가 c단조, BWV 582




코랄 전주곡, BWV 645
코랄 전주곡, BWV 668
BWV 731, 연주 알베르트 슈바이처
BWV 767, 연주 칼 리히터
  • 525–771: 오르간 음악
    • 토카타 D단조(Toccata in D minor) BWV 538
    • 환상곡과 푸가 G단조(Fantasie and Fugue in G minor) BWV 542 - 대푸가(Fugue the Great)라고도 불린다. 그만큼 장대한 규모와 복잡한 구조를 지닌 작품. 프란츠 리스트에 의해 피아노로 편곡되었다.(S.463)
    • 전주곡과 푸가 A단조(Prelude and Fugue in A minor) BWV 543
    • 전주곡과 푸가 E플랫 장조 "성 안느"(Prelude and Fugue in E-flat Major, "St. Anne") BWV 552
    • 토카타와 푸가 D단조(Toccata and Fugue in D minor) BWV 565 - 바흐의 오르간곡뿐만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오르간곡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일 것이다. 오르간곡에 아무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이 곡의 맨 앞소절인 띠로리~ 띠리리리리리리~ 하는 부분을 들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다만 인기를 떠나서 작품성 측면에서만 보면 바흐의 오르간 작품 가운데 이 565에 못지 않거나 오히려 능가하는 작품들이 많다.
    • 작은 푸가 G단조(Fugue in G minor) BWV 578 - 같은 조성인 BWV 542가 대푸가라고 불리우는 것에 비견해서 작은 G단조 푸가라고 불리우는 곡. 근데 들어보면 아기자기한 맛이 있긴 하다 그렇다고 fuguette보다는 규모가 꽤 있는 작품. 대신에 전주곡 같은 건 없고 푸가 하나만 있다.
    • 파사칼리아와 푸가 C단조(Passacaglia and Fugue in C minor)BWV 582: 디트리히 북스테후데와 마찬가지로 바흐도 오르간을 위한 파사칼리아는 딱 1곡만 작곡했다. 대중적인 인기 측면에서는 토카타와 푸가 D단조(BWV 565)에 밀리지만 음악적으로는 바흐의 작품 뿐만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오르간곡 가운데 가장 뛰어난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런 음악성때문에 BWV 565 못지 않게 피아노나 관현악 편곡 등으로 많이 연주된다. 작곡 연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1706~1713년 사이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 바흐의 나이는 대략 21~28세이다. 이 역사적인 명작을 20대 초중반에 썼다는 것이 정말 놀랍다. 이 작품은 특히 주제가 상당히 인상적인데, 바흐가 직접 창작한 주제는 아니고 앙드레 레종(André Raison)(1640경-1719)의 오르간 미사(Christe: Trio en passacaille from Messe du deuxieme ton of the Premier livre d'orgue)에서 차용한 것이다.

  • 코랄 전주곡 1집: 소 오르간곡집(Little Organ Book) BWV 599-644
  • 코랄 전주곡 2집: 쉬블러 코랄(Schübler Chorales) BWV 645-650
  • 코랄 전주곡 3집: 라이프치히 코랄 전주곡 (Leipzig Chorale Preludes) BWV 651-668
  • 코랄 전주곡 4집: 독일 오르간 미사(German Organ Mass, part of Clavier-Übung III) BWV 669–689[12]
  • 코랄 전주곡 5집: 키른베르거 코랄 전주곡(Kirnberger chorale preludes) BWV 690–713
  • 이외의 코랄 전주곡들(Miscellaneous chorale preludes) BWV 714–765
    • 코랄 전주곡 "친애하는 예수님, 저희가 여기 있습니다(Liebster Jesu, wir sind hier)", BWV 731[13]
  • 코랄 파르티타들(Chorale partitas) BWV 766–768
  • 캐논 변주곡 "하늘로부터 땅으로 내가 왔도다"(Canonic Variations on "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 BWV 769[14]
  • BWV 1090-1120 뉴마이스터 코랄(Neumeister Chorale)[15]



영국 모음곡 BWV 808
파르티타 BWV 829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 BWV 903
  • 772–994: 하프시코드 음악
    • 인벤션과 신포니아[16] (Inventions and Sinfonias) BWV 772–801
    • 영국 모음곡(English Suites) BWV 806–811
    • 프랑스 모음곡(French Suites) BWV 812–817
    • 건반악기를 위한 파르티타(Partitas for keyboard) BWV 825–830
    • 프랑스 서곡(French Overture) BWV 831
    •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1(The Well-Tempered Clavier I) BWV 846–869
    •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2(The Well-Tempered Clavier II) BWV 870–893
    •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 d 단조 BWV 903
    • 토카타(Toccatas) BWV 910-916
    • 이탈리아 협주곡 F장조 BWV 971 [17]
    • 협주곡 d단조 Adagio BWV 974 [18]


협주곡 d단조 Adagio BWV 974
협주곡 d단조 Adagio 중 2악장[19], BWV 974

  • 골드베르크 변주곡 G장조 BWV 988
  • 친애하는 형의 이별에 붙이는 카프리치오(Capriccio sopra la lontananza del suo fratello dilettissimo) BWV 992[20]


1.1.3. 독주 악기를 위한 작품들[편집]


#181818
||<width=7%><#B284BE> '''BWV''' ||<#B284BE> '''BC'''  ||<width=43%><#B284BE> '''제목''' ||<#B284BE><width=3%> '''조성''' ||<#B284BE><width=17%> '''작곡 년도/초연 날짜''' ||<#B284BE><width=33%> '''편성''' ||<#B284BE><width=1%> '''기타''' ||<#B284BE><width=1%> '''음원''' ||
||<rowbgcolor=#F5F5F5> 995 || || '''모음곡'''[br]''Pièces pour la Luth à Monsieur Schouster'' || g || 1727년~1731년  || 류트 ||  || ||
||<rowbgcolor=#F5F5F5> 996 || || '''모음곡'''[br]''Praeludio con la Suite'' || e || 1710년~1717년  || 류트 ||  || ||
||<rowbgcolor=#F5F5F5> 997 || || '''모음곡'''[br]''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 c || 1727년~1731년  || 류트 ||  || ||
||<rowbgcolor=#F5F5F5> 998 || || '''전주곡, 푸가와 알레그로'''[br]''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 g || 1727년~1731년  || 류트 ||  || ||
||<rowbgcolor=#F5F5F5> 999 || || '''전주곡'''[br]''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 c || 1727년~1731년  || 류트 ||  || ||


  • 995–1013: 류트, 바이올린, 첼로, 플루트 독주를 위한 음악[23]
    • 류트를 위한 모음곡 BWV 995-1000[21]
    •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BWV 1001-1006 [22]
    • 무반주 첼로 모음곡 BWV 1007-1012
    • 무반주 플루트를 위한 파르티타 a단조 BWV 1013


1.1.4. 실내악/관현악(BWV 1014-1071)[편집]


  • 1014-1040: 실내악(건반악기 반주가 있는 소나타, 트리오 소나타)
    • 바이올린과 쳄발로를 위한 소나타 1~6번 BWV 1014-1019
  • 1027-1029: 비올라 다 감바와 쳄발로를 위한 협주곡
    • 비올라 다 감바와 쳄발로를 위한 협주곡 1번 G장조 BWV 1027
    • 비올라 다 감바와 쳄발로를 위한 협주곡 2번 D장조 BWV 1028
    • 비올라 다 감바와 쳄발로를 위한 협주곡 3번 G장조 BWV 1029[24]
  • 1041–1071: 관현악곡(협주곡, 모음곡)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A단조 BWV 1041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E장조 BWV 1042[25]

바이올린 협주곡 2번 E장조 BWV 1042, 1악장 Allegro
  •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d단조 BWV 1043 [26]
  • 플루트, 바이올린, 하프시코드를 위한 3중 협주곡 a단조 BWV1044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BWV 1046-1051 [27]
  • 건반악기를 위한 협주곡 BWV 1052-1065[28]
  • 하프시코드 협주곡 1번 d단조 BWV1052 [29]
  • 하프시코드 협주곡 2번 E장조 BWV1053 [30]
  • 하프시코드 협주곡 3번 D장조 BWV1054 [31]

하프시코드 협주곡 3번 D장조 BWV1054
  • 하프시코드 협주곡 4번 A장조 BWV1055
  • 하프시코드 협주곡 5번 f단조 BWV1056 [32]


하프시코드 협주곡 5번 f단조(피아노 협주곡버전) 전곡, BWV1056
하프시코드 협주곡 5번 f단조(피아노 협주곡버전) 중 2악장 Largo, BWV1056
  • 하프시코드 협주곡 6번 F장조 BWV1057 [33]
  • 하프시코드 협주곡 7번 g단조 BWV1058 [34]
  • 하프시코드 협주곡 8번 d단조 BWV1059 [35]
  • 2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1번 c단조 BWV1060
  • 2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2번 C장조 BWV1061
  • 2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3번 c단조 BWV1062
  • 3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1번 d단조 BWV1063
  • 3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2번 C장조 BWV1064
  • 4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a단조 BWV1065 [36]

4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a단조 BWV1065
  • 관현악 모음곡 1~4번 BWV1066~9
    • 관현악 모음곡 1번 C장조 BWV1066: 오보에2, 바순, 바이올린 2부, 비올라, 통주저음
    •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BWV1067: 플루트, 바이올린 2부, 비올라, 통주 저음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전곡, BWV1067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중 7번 바디네리, BWV 1067
  • 플루트의 활약이 큰 편으로 이 중 '폴로네즈'는 그룹 로스 차코스가 안데스의 악기로 연주하게 편곡하였는데, 분위기가 어둡다.들어보기
  • 마지막 곡인 '바디네리'(Badinerie) 역시, 클래식 음악에 관심 없는 사람이라도 어디선가 들어 본 적이 있을 유명한 곡이다.#
  • 관현악 모음곡 3번 D장조 BWV1068: 오보에2, 바순, 트럼펫3, 팀파니, 바이올린 2부, 비올라, 통주저음


관현악 모음곡 3번 D장조 전곡, BWV1068
관현악 모음곡 3번 D장조 중 2번 아리아, BWV 1068
  • G선상의 아리아가 이 곡의 아리아에서 나왔다.[37]
  • 관현악 모음곡 4번 D장조 BWV1069: 오보에3, 바순, 트럼펫3, 팀파니, 바이올린 2부, 비올라, 통주저음
  • 4개의 곡 중 규모가 가장 크다.


1.1.5. 대위법 실험 작품(BWV 1072-1080)[편집]




2. BC 번호[편집]


=== 세속적 칸타타, 음악 드라마(Dramma per musica)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2:27:46에 나무위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작품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WV(=Bach Werke Verzeichnis / Bach Works Catalogue)는 독일어 Bach(바흐) Werke(작품) Verzeichnis(총목록)의 약자다. BWV는 존재하는 바흐 작품에 대한 작품 목록으로 1950년에 Wolfgang Schmieder에 의해 출판되었다. 각 작품에는 예를들어 "Orchestral Suite No. 3 in D Major, BWV 1068"과 같이 BWV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과거에는 종종 슈미더를 위하여 "S" 번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 BWV 번호를 "슈미더 작품 목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BWV 번호는 모짜르트의 작품번호인 쾨헬 번호와는 달리 연대순(더 오래된 작품일수록 낮은 번호를 부여하는)은 아니다. 대규모 곡에는 한 번호만을 부여하며 각 악장들에는 번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하지만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과 같은 경우는 여러 "악장"이라는 보다는 "모음"이므로 각 곡에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BWV 106/1" 혹은 "BWV 232.12"과 같은 경우는 대규모 작품의 해당 악장을 의미한다. 즉 BWV 106의 1악장 혹은 BWV 232의 12번째 악장을 의미한다. 작품 200번까지는 교회 칸타타를 위한 번호이며, BWV 이전에 부여하였으며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칸타타 번호"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예를들어 BWV78의 경우 "Cantata, Jesu, der du meine Seele, BWV 78" 혹은 "Cantata #78 by J. S. Bach, Jesu, der du meine Seele" 와 같이 호칭할 수 있다. 현재까지 발견되어 부여된 최종 BWV 번호는 BWV 1126 "Lobet Gott, unsern Herrn" 이다.[2] 이후 작곡가의 이름 뒤에 WV를 붙여 작품목록을 만든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으로 헨델의 HWV, 텔레만의 TWV, 륄리의 LWV가 있다. [3]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쾨헬 번호프란츠 슈베르트도이치 번호등과 같은 작품번호는 대체로 연도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베토벤의 경우 스스로 작품을 관리하여 공식출판된 작품은 모두 작품번호(op.)가 붙어 있다. 다만 공식출판되지 않았거나 미완성으로 남아 있던 곡들이 그의 사후에 WoO나 Hess 번호 등으로 따로 정리되었다.[4] 즉 2 바이올린, 비올라, 통주저음[5] 바흐가 라이프치히 칸토르로 부임한 직후 라이프히치 명문가 중 하나인 크리스토퍼 빙클러의 부인 수잔나 소피아 빙클러의 장례식을 위해 작곡된 일종의 진혼 모테트이다. 한편으로 1723년 7월 라이프치히 우체국장의 부인인 요하나 마리아 키에스 (Johanna Maria Kees)의 장례식에서 연주되었다는 설도 있다. 현재는 두 장례식에서 모두 연주되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6] 만년에 작곡된 미사곡으로, 평생동안 바흐가 작곡한 곡들의 토막들이 곳곳에서 다시 사용되고, 변용되고, 융합되어 하나의 장대한 서사시를 완성한다.[7] 바흐 당시 라이프치히의 루터파 예배당에서는 라틴어 가톨릭 전례도 종종 거행되었다. 다만 미사용 전례음악은 전체 미사(Missa Longa)가 아니라 키리에와 글로리아로만 구성된 소위 짧은 미사(Missa Brevis)가 사용되었다. 바흐가 라이프치히에서 작곡한 미사곡도 대부분 미사 브레비스 또는 상투스(Sanctus, 거룩하시도다)이다. 다만 232의 B단조 미사는 미사 브레비스가 아니라 미사 롱가로서 기존에 작곡되었던 곡들을 다수 포함시켰다. 바흐는 이 미사곡 뿐만 아니라 규모가 큰 종교음악(수난곡/오라토리오)을 작곡할 때에는 거의 예외없이 기존에 작곡된 칸타타나 코랄 등을 많이 차용하여 전체 곡을 구성하였다.[8] 이 마르코 수난곡이 1731년 3월 23일에 초연되고 1744년에 재연됐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 악보는 분실되고 피칸더(Picander, 본명은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헨리치Christian Friedrich Henrici)가 쓴 대본만 남아있다. 기록을 볼 때 이 곡은 다른 수난곡과 달리 기존의 곡을 조합해서 만든 일종의 패러디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학자들은 칸타타 54번의 아리아와 칸타타 198번 전체,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합창, 바흐가 자기 작품에 인용했던 카이저(Reinhard Keiser)의 곡 등 기존의 곡을 인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늘날에는 대본에 기초하여 여러 곡으로 이 마르코 수난곡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학자와 연주자에 따라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9] 이 목록에는 루가 수난곡 BWV 246도 있으나 이 곡은 바흐의 작품이 아니다.[10] 형식상으로는 6부로 구성된 오라토리오이긴 한데 실제로는 6개의 칸타타를 모아놓은 칸타타 모음곡에 가깝다. 물론 각 칸타타는 음악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코 따로 노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규모가 큰 바흐의 종교음악이 항상 그렇듯이 이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도 기존의 곡들을 많이 차용하였는데 특히 BWV 213-215의 세속칸타타 3곡을 많이 인용했으며 6부의 경우 현재는 악보가 분실된 칸타타 BWV 248a에서 많은 곡이 차용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외에도 여러 작품에서 차용한 선율들이 많은데, 예를 들면 마태 수난곡의 O Haupt voll Blut und Wunden(오, 피와 상처가 가득한 머리여)나 Wo ist der neugeborne König(새로 태어나신 왕은 어디 계신가)의 주 선율이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11] 1969년 도쿄 실황녹음[12] 이 독일 오르간 미사는 바흐의 오르간곡 중에서도 가장 복잡하고 음악적으로 심오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형식은 전형적인 프랑스식의 오르간미사를 따르고 있으며 전례적으로는 이 독일 오르간 미사에 앞부분에 BWV 552의 전주곡파트를 서곡으로 연주하고 연주가 끝난 후에는 BWV 802-805의 4곡의 듀엣과 같은 곡의 BWV 552 푸가파트를 종곡으로 연주한다.[13] 개신교 찬송가에 붙인 곡이다. 이 주제의 변형은 바흐의 다른 여러 곡에도 사용되었다. [14] 이 - 변주곡의 다른 버전인 BWV 769a도 있으며 769 못지 않게 자주 연주된다.[15] 1080번까지 BWV번호가 정리된 후 1985년에 예일대학 장서관에서 악보가 발견되어 1090번 이후의 번호가 붙어 있다.[16] 인벤션과 신포니아는 자기 아이들과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작곡된 일종의 연습곡으로 당연히 3성부 신포니아가 난이도가 높다.[17] 건반악기 독주를 위한 음악이지만 특이하게 '협주곡'이라는 타이틀이 붙어 있는데, 이 제목에는 이탈리아의 협주곡 양식을 독주악기로 구현해보고자 했던 바흐의 실험정신이 담겨 있다. 즉 통상적인 이탈리아 협주곡 양식처럼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리토르넬로 형식(협주와 독주가 되풀이되는 형식)을 건반악기로 구현하기 위해 독주부처럼 단선율(및 통주저음) 위주로 전개되는 부분과 협주부분처럼 여러 성부가 같이 연주되는 부분이 반복적으로 구현된다.[18] 알레산드로 마르첼로의 대표곡, 오보에 협주곡 d단조의 건반악기 편곡버전.[19] 피아노버전[20] 특이하게 이탈리아어로 제목이 붙어 있는 이 곡은 바흐의 초기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곡이다. 바흐가 19살 경에 그의 작은 형 요한 야콥 바흐가 스웨덴 궁정에 취직하여 스웨덴으로 떠날 때 석별의 정을 나누기 위해 씌어졌다고 하는데, 이 작곡 배경은 아직 확실하게 확인된 것은 아니다. 또한 현재 보존되어 있는 바흐의 초기작품 대부분이 후에 수정이나 개작을 거쳤다는 것도 감안하자.[21] 파르티타 2번 다단조(BWV 997)의 전주곡은 팝픈뮤직의 악곡 Übertreffen의 원곡이다.[22] 파르티타 2번 d단조(BWV 1004)의 마지막 악장이 그 유명한 바이올린 취미생들의 꿈이자 로망 그 자체인샤콘느이다.[23] 해당 곡들은 다른 악기로 자주 편곡된다.[24] BWV 1027~1029중에 가장 잘 알려진 곡이다.[25] 하프시코드 협주곡 3번 D장조 BWV1054의 바이올린 버전이다.[26] 스즈키 바이올린 교본 4권에 2nd violin, 5권에는 1st violin 파트가 수록되어 있다.[27] 쾨텐시절 초기에 작곡된 일종의 콘체르토 그로소(합주협주곡)이다. 기본적으로 바이마르에서 익힌 이탈리아 협주곡 형식을 차용하고 있지만 통주저음 위에서 단순하게 전개되는 이탈리아식 협주곡과 달리 곡마다 악기 편성이 달라지고 각 악기들이 대위법적인 성부의 개념으로 호흡을 맞추기 때문에 이탈리아식 협주곡보다 훨씬 정교하고 복잡하다.[28] 피아노로 연주될 때는 피아노 협주곡으로, 하프시코드로 연주될 때는 하프시코드 협주곡으로 쓴다. 곡마다 하프시코드의 개수가 1~4대로 다르다. 예를 들어 1065는 하프시코드가 4대 쓰인다.[29] 바이올린 협주곡 버전인 BWV1052R(바이올린 협주곡 3번) 및 이보다 먼저 오르간을 위해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는 BWV1052A 버전 등이 존재하는데, 정확한 순서와 경위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30] 부산김해경전철의 출발 안내방송으로도 쓰였다[31] 1악장 Allegro가 상당히 유명하며 BWV1042(바이올린 협주곡 2번)에서도 동일한 선율이 쓰였다.[32] 역시 바이올린 협주곡 버전 BWV1056R(바이올린 협주곡 4번)이 존재한다. 특히 2악장인 largo는, BWV 1068의 2악장 air와 함께, 바흐를 모르는 사람도 어딘가의 배경음악 등으로 들어본 적은 있을 정도로 널리 연주되는 곡이다. 이 선율은 칸타타(BWV 156)로도 쓰인 바 있으며, 친분이 깊었던 텔레만의 오보에 협주곡(TWV.51:G2)의 영향을 받은 곡으로 추정하고 있다.[33] BWV1049(브란덴부르그 협주곡 4번)에서도 동일한 선율이 사용되었다[34] BWV1041(바이올린 협주곡 1번)에서도 동일한 선율이 사용되었다[35] 미완성[36] 원곡은 비발디의 '4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B단조 RV580'이다. 바흐는 비발디를 매우 존경하여 그의 작품을 많이 연구하였으며 직접 다른 악기로 편곡도 하였다.[37] 칸타타 BWV156의 신포니아와 분위기면에서도 그렇고 멜로디면에서도 상당히 흡사하다. 당시 교회음악에 흥미를 잃은 바흐가 G aria에서 대충 가져와서 쓴 걸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