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호수/논란 및 사건 사고/스마트폰 보호필름 부착 논쟁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용호수/논란 및 사건 사고

1. 개요
2. 발단
3. 문제점
3.1. 내용
3.1.1. 첫 영상에 대한 반박
3.1.2. 스테인레스 칼 영상의 오류
3.1.3. 태세 전환 및 충격 흡수에 대해
3.2. 언행
3.2.1. 보호필름 사용자 비하
3.2.2. 의견 무시 및 비꼬는 태도
3.2.3. '과학적'이라는 말의 남용과 반박 댓글 차단
3.2.4. 기타 오류
4. 기타


1. 개요[편집]


2022년 2월 용호수가 스마트폰 보호필름, 강화유리 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의 영상을 올린 후 일어난 영상 내용에 대한 갑론을박, 그리고 용호수의 대응 태도에 관해 일어난 논란을 다루는 문서다.

2. 발단[편집]




아이폰에 보호필름 안붙이는 이유.

어떤분들 보면 보호필름을 붙이는 분들이 있어요. 킴 카다시안이 했던 명언이 있죠. "왜 당신은 문신을 하지 않습니까?"

진행자: 'I have always thought that you don't have tattoos anywhere.'[1]

킴 카다시안: 'No. Honey, would you put a bumper sticker on a Bentley?'[2]

저도 같은 이유로 문신을 안 하고 있는데. 애플이 정말로 좋은 최고급 코팅을 해서 나왔는데 여기다가 천 원, 이천 원 짜리 쓰레기를 붙인다고? 전반적인 디스플레이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이런 터치감도 안 좋아져요. 그래서 저는 절대 붙이지 않습니다. 이게 지금 2년 동안 사용한 아이폰 11인데, 정말 자세히 찾아보면 이런데 조금 긁힌거 있는데, 흠집 없어요! 깨끗이 한 번 닦으면은 걍 샀을 때 하고 그대로예요. 긁힘 방지나 뭐 이런 것들이 다 이미 들어가있기 때문에, 여기다 뭐 붙이는 거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고급 승용차에 범퍼 스티커를 잘 붙이지 않는 것을 토대로 문신을 자신의 몸 위에 새기지 않는다는 인용구와 같이, 용호수는 보호필름을 문신에 비유하여 보호필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이에 대한 반론이 많자, 용호수는 약 3시간에 달하는 영상을 두 편 올려서 이에 대해 반박한다.





이 영상을 보기 전에는 보호필름, 강화유리 사지 마세요 (어그로 아님, 광고 아님)
그래도 안 깨집니다 | 강화유리 사기 전 봐야할 영상

해당 영상은 현재까지도 용호수 채널의 최다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화제를 모았으며, 여러 커뮤니티에 퍼져 인기글로 선정되기도 했다.

디시인사이드@1@2
인스티즈@1@2
개드립@1@2


3. 문제점[편집]



3.1. 내용[편집]



3.1.1. 첫 영상에 대한 반박[편집]


  • 경도 7 이상은 흔하다.
일상 생활에서는 유리를 긁을 수 있는 경도 7을 넘는 물질이 거의 없다고 주장했지만, 생각보다 일상생활에서 높은 굳기의 광물이 포함된 먼지가 흔하다. 모래의 주성분인 석영(7)[3], 실리카(8)[4], 알루미나(9)[5] 등의 경도가 높은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경도 5 ~ <7[6]의 액정유리와 마찰했을 때 충분히 흠집이 남을 수 있고, 실제로 사용자가 모르는 새에 흠집이 발생하는 경우는 대부분 저런 이유 때문이다.

  • 미세 스크래치의 문제
모래나 먼지로 인한 스크래치는 화면 출력 시 보이지 않기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유리는 미세한 크랙이나 흠집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실제 강도보다 훨씬 작은 힘에도 쉽게 파괴가 일어난다.[7] 이는 보호필름이나 강화유리가 스마트폰 화면에 이러한 흠집을 막아주는 효과 하나만으로 응력 집중을 막아 파손방지에 효과가 있음을 뜻한다.

  • 충격 흡수

3.1.2. 스테인레스 칼 영상의 오류[편집]


이후 용호수는 "스마트폰에 보호필름을 반드시 붙여야 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영상을 업로드했다. (현재 비공개)

앞의 본인 주장과 대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반어법을 사용한 것이다. 본인이 실제 영상 내용은 스테인리스 칼을 가는 모습을 강조하고 시작한다. 그러고는 칼로 종이를 자르는 장면을 보여주는데, 종이가 베이기는커녕 강제로 찢기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8] 그 다음 칼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유리를 긁고 여러 번 툭툭 건드리고는 천으로 화면을 닦아준 후, '부드럽네' 라는 효과음과 함께 화면에 아무런 손상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용호수가 이 영상으로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는 ‘이런 단단한 칼로 긁어도 아무런 흠집도 안 나는데 스마트폰에 보호필름을 왜 붙이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라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애초에 이 영상 내용 자체가 하나도 의미없는 영상이므로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 애초에 스테인리스 칼은 스마트폰 유리에 흠집을 낼 수 없다.[9]
한 물질이 다른 물질에 흠집을 내기 위해선 대상 물질에 비해 경도가 높아야 한다. 그러나, 이 영상 속에 등장해 액정유리를 긁은 것은 스테인리스강 칼이다. 스테인리스강은 강화유리보다 경도가 낮으므로, 액정유리에 대고 열심히 긁어봤자 흠집이 나지 않는다.
즉, 경도가 낮은 물질은 경도가 높은 물질에 흠집을 낼 수 없으므로 이것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결론이 뻔하다. 칼이 강하고 날카롭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이용한 수많은 과장광고와 같은 맥락이다. 이 영상을 보고 내릴 수 있는 결론은, 그래봤자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증명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윗 문단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생활에서는 경도가 충분한 물질이 많다.

  • 스테인리스 칼로 유리가 파손될 만큼의 충격을 주지 않았다.
당연하지만, 스테인리스는 유리와 비교해서 경도는 약하나 강도만큼은 액정유리를 충분히 파손시키고도 남는 수준이다. 경도는 강도와 다른 개념으로, 금속은 유리를 충분히 파괴시킬 수 있는 강도를 지닌다는 일반적인 개념은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영상 속에서 디스플레이가 파손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스테인리스 칼로 유리에 충격을 가해도 파손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액정유리는 그 정도로 약하지 않다. 보통 스테인리스강과 비슷한 경도의 물질로 액정유리를 파손시키려면 못해도 10kgf 이상의 힘이 한 곳에 집중적으로 가해져야 한다. 또한 강도가 높은 물질로 갈수록 강화유리를 파손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수치는 점점 줄어들며, 당연히 그 정도로 상당한 양의 힘을 주지 않았을 것이 뻔하므로 칼로 강화유리를 두드리는 행위 또한 전혀 의미가 없는 내용임을 알 수 있다.


3.1.3. 태세 전환 및 충격 흡수에 대해[편집]


경도와 강도를 이야기 하던 영상과 그에 반박하는 댓글들을 무시하고, 강도 관점에서 보호필름은 충격흡수 기능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개인적 선호로서 기스가 싫어서 쓰면 쓰는 것'이라는 댓글을 작성했다.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보호필름_무용론.png

물리학적 사실로서 보호필름과 강화유리는 충격흡수 기능이 없습니다.


충격흡수는 휴대폰 케이스가 하는 것입니다. 떨어뜨려서 붙인 유리만 깨졌다면 원래도 안깨질 상황이었던 것이며, 순정 강화유리나 애플의 세라믹 쉴드보다도 강도가 약한 것을 위에 붙여두었다는 증거가 됩니다.


  • 충격 흡수는 휴대폰 케이스가 하는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 낙하 시 대부분 모서리가 먼저 닿기 때문에 충격 흡수는 스마트폰 외장 케이스 또는 화면을 제외한 플랫폼이 주로 한다.[10] 하지만 곡면, 바닥의 요철이나 사물 때문에 스마트폰의 화면만 충격을 받는 경우가 있고, 이 충격은 유리를 파손시킬 수 있다.

  • 떨어뜨려서 붙인 유리만 깨졌다면 원래도 안 깨질 상황이었던 것이다?

궁금하기의 반박 실험 영상
아스팔트 조각이 있는 바닥에 스마트폰을 액정부터 떨어트리는 실험에서, 순정유리가 깨지기 시작하는 높이(75cm)에서 강화유리 부착 시에는 강화유리만 깨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강화유리가 깨지면서 충격을 대신 흡수하기 때문으로, 자전거 헬멧이 이와 같은 방식이다. 또한 핸드폰 디스플레이와 추가로 붙인 강화유리 사이의 접착층 역시도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제 역할을 한다. 강화유리를 붙이고 빛 아래서 꾹 누르면, 비쳐 보이는 빛이 굴절되어 보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3.2. 언행[편집]



3.2.1. 보호필름 사용자 비하[편집]


커뮤니티 게시글 최상단에 고정시킨 댓글을 시작으로, 용호수는 여러 댓글을 통해 보호필름을 사용하거나 자신의 입장에 반박하는 사람들을 싸구려 기종 사용자나 지능이 모자란 사람 취급하는 모습을 보였다.

필름의 충격 흡수효과는 확실하지 않다는 정도의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정도에서 그쳤다면 자신의 주장으로 끝날 내용들이지만, 강화유리 필름을 붙이는 행위 자체에 대해 옳고 그름을 마음대로 단정짓고 타인의 생각을 비하하고 폄하하는 행위가 특히 논란이 되었다.

파일:용호수_싸구려_지능_발언.png

본인이 싸구려면 붙이고 다니는 게 맞습니다. 직설적으로 말해 죄송합니다.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합니다. 합당한 근거를 제시했는데도 이해를 못하면 지능이 낮은거죠.

이것이 특히 유명한 발언인데, 위와 같이 반박하는 사람들에게 지능이 낮다며 지속적으로 폄하하고 멸시했다.

이러한 태도 역시 여러 커뮤니티의 인기글로 퍼져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디시인사이드@1@2
에펨코리아@
개드립@1@2

3.2.2. 의견 무시 및 비꼬는 태도[편집]


용호수의 과학적이지 못한 영상으로 인해 사람들은 반박하는 댓글을 작성했다. 내용인 즉

"아스팔트에 몇 번 문지르거나 칼을 수직으로 떨어뜨리면 좀 더 설득력 있는 영상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등의 댓글, 그리고 돌아온 답변은 "와 공감됩니다. 일상생활에서 매일 겪는 일이네요. 그래서 보호필름 꼭 쓰시길 추천드립니다."라는 투의 댓글을 작성했다.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비꼬기_및_실험_반응1.png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비꼬기_및_실험_반응2.png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비꼬기_및_실험_반응3.png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비꼬기_및_실험_반응4.png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비꼬기_및_실험_반응5.png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비꼬기_및_실험_반응6.png

파일:용호수스튜디오_비꼬기_및_실험_반응7.png

파일:image000080.png
[11]

이후 용호수는 아래 문단의 댓글을 고정시키며 자신의 태세를 전환시켰다.


3.2.3. '과학적'이라는 말의 남용과 반박 댓글 차단[편집]


파일:용호수스튜디오_차단2.png

파일:용호수스튜디오_과학적_발언무게.png

용호수가 남발하는 '과학적'이라는 단어의 무게를 의심스러워하는 댓글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무례하게 답변하거나 비방하는 댓글은 차단되어야 하는 것이 맞지만, 제대로 된 근거를 가져온 댓글을 차단하거나 답변하지 않는다.

파일:용호수스튜디오_차단_archive.png

물리학적 설명 일부 및 "wear는 '입다'라는 뜻이 아니에요. wear라는 단어의 원관념은 '닳다'라는 뜻이거든요."라는 부분에 관해 지적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우호적인 댓글도 차단되었다. 답변 댓글에서는 스스로 '우주법칙'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사용하였다.[12]

물리학적 설명 일부에 대해 지적된 내용 및 그 반응으로 볼 때 용호수의 물리학에 대한 이해도가 그리 높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썸네일에서는 "물리학에... 말대꾸?", 영상 내용에서는 "물리학이 내 편인데"라는 등 물리학에 대한 과도한 자신감을 보인다. 결정적으로, 본인이 물리학 전공자가 아니다. 전공조차 아니면서 내세우고 있는 것.

"교육자는 대중이 잘못 알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 그것을 수십 장의 문서가 필요하더라도 옳은 방향으로 이끌어 줘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라고 영상(링크)에서 언급하였으나, 정작 스스로의 주장에 대한 비판은 무차별적으로 차단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 영상을 보기 전에는 보호필름, 강화유리 사지 마세요 (어그로 아님, 광고 아님) 영상에는 한국시각 2022년 2월 26일 오후 8시 40분 기준 총 2,415개의 댓글이 달려있는데, 실제 확인되는 댓글 수는 2,034개이다. 즉 381개의 댓글이 차단된 것이며, 이는 전체 댓글의 15.7%에 대응하는 수치이다. 이로부터 "저는 조회수가 100만 이상 넘어가면 그것은 공적 영역에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라면서 다른 유튜버들의 영상에 대한 스스로의 비평은 용인하면서 본인 스스로에 대한 비평은 차단하는 괴리를 볼 수 있다.


3.2.4. 기타 오류[편집]


파일:dragonlake 2022-02-27 181037.png

용호수가 달았던 댓글에서 언급된,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 전자기기의 내구성 테스트와 분해 영상을 주력 컨텐츠로 삼고 있는 미국의 테크 유튜버 JerryRigEverything[13]은 실제로 본인의 유튜브 영상에서 휴대 전자기기에 부착하는 필름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업체인 dbrand를 스폰서로 소개하기는 한다.

그러나 dbrand가 주력으로 판매하는 '필름'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화면 보호용 보호필름이 아닌, 전자기기[14] 혹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측면, 후면에 부착하는 치장용 '스킨 필름'[15]으로, 그 중에서도 잭 본인이 JerryRigEverything 명의로 dbrand와의 콜라보로 출시 중인 Teardown 스킨을 홍보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dbrand에서도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강화유리를 판매하기는 하지만, 잭이 본인의 영상에서 이쪽을 주력으로 홍보한 적은 거의 없으며, 간혹 강화유리가 등장하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반으로 접어 깨트리고는 치워버린다.

게다가 위 댓글에서 용호수가 추가적인 예시로 언급한 영국의 유튜버인 Mrwhosetheboss(Arun Maini, 아룬 마이니)는 Marques Brownlee와 같이 전반적인 IT 관련 이슈를 다루는 채널이지, 전자기기 하드웨어나 그와 관련된 생산 소재, 그리고 자동차 등을 다루는 JerryRigEverything은 스마트폰을 다루기도 한다는 공통점만 있을 뿐 저 두 명의 유튜버들과는 다루는 컨텐츠 영역이 거의 겹치지 않는다. 즉, 구태여 저 두 채널을 언급한 용호수의 댓글 자체가 "내가 볼 땐 해외 유튜버 수준이 다 거기서 거기"라고 까내리는 망언이나 다름없는 셈이다.[16]

4. 기타[편집]


영상에서는 “애플을 믿고 그냥 써라. 개발자가 의도한대로 강화유리/필름 같은건 붙일 필요가 없다” 라고 했지만, 정작 그 Apple 또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자사 제품의 화면을 보호하는 벨킨의 강화유리 필름을 판매하고 있다. 용호수의 주장대로 보호필름 따위를 쓰지 않더라도 정말로 안전하다면, 왜 굳이 제조사에서 직접 보호필름 사용을 권장하고 판매까지 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들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17]

[1] '항상 생각하는데 당신은 문신이 하나도 없어요.'[2] '당신이라면 벤틀리에 범퍼 스티커를 붙이겠나요?'[3] 모스 굳기계(경도) 7[4] 모스 굳기계(경도) 8, 규소 혹은 황옥.[5] 모스 굳기계(경도) 9, 강옥[6] 유리는 약 5.5이다. 이는 유리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부 스크래치 방지 고급 유리는 6.x의 경도를 보이기도 한다. 자신의 경도 이상의 물질에 긁히면 흠집이 난다.[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8]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칼날을 갈아봤자 절삭력이 좋아지는 것이지 경도가 높아지는 게 아니기에 쓸모없는 내용일 뿐이다.[9] 이 사실 하나만으로 이 영상 내용의 반절은 모순이 되어버렸다.[10] PC, TPU 등 재질의 케이스가 스마트폰 프레임보다 약함에도 불구하고 떨어뜨렸을 때 케이스가 먼저 파괴되는 과정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한 것이고, TPU 재질은 충격 흡수를 완벽에 가깝게 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이다.[11] 새 재반박 영상에 달린 답글이다.[12] 본인이 ‘물리학에 말대꾸?’ 같은 언급을 해놓고 물리학 전공자와는 상관없다 하는 것부터 모순임은 무시하더라도, 애초에 물리학 자체가 모든 자연 현상들과, 그 근본적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이기에 그 ‘우주법칙’이라는 것도 물리학에서 다루는 내용이다![13] 본명은 잭 넬슨(Zack Nelson)[14]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물론 맥북, 노트북, PS5, 닌텐도 스위치, Steam Deck, 에어팟 케이스 등.[15] 링크 참고[16] 사족이지만 용호수의 잣대대로라면 dbrand를 심심하면 스폰서로 소환하면서 직접 제품 홍보까지 했던 Linus Tech Tips 계열 채널들 역시 신뢰할 수 없는 채널이라 하는 소리나 마찬가지이다.[17] 보호필름을 판매하는 것일뿐 권장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사에서 신모델에 항상 더 강한 강화유리를 탑재하는 것이 그 이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23:35:18에 나무위키 용호수/논란 및 사건 사고/스마트폰 보호필름 부착 논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