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너 브라더스/작품/2020년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워너 브라더스/작품


1. 주요 배급 작품별 성과[편집]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이 재개봉으로 10억 달러 흥행을 돌파하였다. 오랜만에 워너에서 매년 연달아 10억 달러 돌파 영화가 배출되고 있다.

2020년 디즈니의 라인업이 약하게 잡혀있어서 워너가 주도하게 되는 줄 알았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연기되었다.[1] 버즈 오브 프레이도 손익분기점에 못 미치며[2] 상황이 좋지 않게 됐다. 이렇다 보니 테넷의 흥행 실패는 극장에 발길을 더 끊는 계기가 되었다.


1.1. HBO Max 동시 스트리밍[편집]


그 영향으로 2021년 개봉 영화들은 영화관들과 HBO 맥스 스트리밍에서 동시공개될 예정이다.# 그런데 이 같은 결정이 워너 브라더스의 독단적인 결정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큰 논란이 됐다. 스트리밍 공개 결정에 대해[3]논의를 거쳐야 하는데 그 과정을 생략하고 발표를 한 것이다. 배우와 감독들은 극장 흥행시 게런티를 못받게 될 입장이 됐으며, 고질라 VS. 콩을 제작한 레전더리 엔터테인먼트 또한 강하게 비판하는 중. 크리스토퍼 놀란[5], 드니 빌뇌브[6], 존 추도 워너 브라더스를 비판했다. 배우들과 레전더리는 변호사를 고용해 법적 대응에 들어간단 방침이다.

워너미디어 CEO 제이슨 킬라는 감독들의 분노가 고통스럽다고 밝혔다.#[7] 사전 유출 염려로 논의조차 가지지 않았다. 논의를 해도 반대되었을 사안이라 독자적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너 브라더스/작품 문서의 r2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워너 브라더스/작품 문서의 r2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작품 목록[편집]


제목미국 상영대한민국 상영
개봉일배급사제공사제작사개봉일수입사배급사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스쿠비!
테넷
마녀를 잡아라[HBOMax]
원더우먼 198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너 브라더스/작품 문서의 r2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워너 브라더스/작품 문서의 r2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7 14:13:28에 나무위키 워너 브라더스/작품/2020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더 배트맨을 동시에 다음해로 각각 연기했고 원더우먼은 크리스마스 시즌으로 연기해서 사실상 2020년 메이저 텐트폴 영화 자체의 초특급 재난을 겪게 되었다.[2] HBO 맥스 공개로 추가 수익을 거두었다.[3] 배우, 감독, 제작사 등.[4] 특정 상품의 가치를 낮추는 대신 더 많은 고객을 유인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5] 크리스토퍼 놀란도 워너 브라더스와 HBO 맥스 동시공개에 대해 감독과 배우들은 들은 게 전혀 없었으며 그저 Loss leader[4], 유인상품이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6] 특히, 드니 빌뇌브는 AT&T가 워너 브라더스를 인수하고 난 후 워너 브라더스가 이상해졌다는 강력한 비판을 했다.# 실제로 AT&T측은 워너 브라더스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를 매각을 시도한 바 있다.[7] 원더우먼 1984를 HBO 맥스로 동시 개봉한 패티 젠킨스도 놀란의 의견에 동의하며 워너 브라더스를 비판했는데 코로나 시국이 시국인 만큼 일시적으로 동시 개봉하는건 이해하고 원더우먼의 동시 개봉도 그런 이유였지만 코로나가 지나간 이후에도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고 발표하는건 문제가 있다며 비판했다. #[HBOMax] HBO Max 오리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