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규칙

덤프버전 :




1. 개요
2. 계가 관련
3. 기타
4. 패 관련 규칙
4.1. 패 관련 규칙의 예제



1. 개요[편집]


응씨룰이라고도 불리는,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룰에 대해 서술한다.


2. 계가 관련[편집]


바둑돌 수가 180개씩(바둑판에 돌을 둘 수 있는 점 수는 19²=361이라 여기에 맞춘 것)으로 한정되어 있고, 덤도 일반적인 룰과는 다르다. 가장 합리적이고 공평하며, 처음 배우는 사람이 바둑을 끝내고 계가를 할 때 가장 쉬운 계가법[1]이라고 평가도 받는다. 하지만 바둑판, 돌 등까지 세트로 구매해야 해서[2] 보급이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①바둑이 끝나면 중국식 계가법처럼 따낸 돌을 돌려주고 잡힌 돌을 바둑판에서 모두 들어내서, 시작할 때 그 돌이 들어 있던 바둑통에 도로 담는다.
②덤 8점의 반인 흰돌 4알을 흑집에 놓는다(이렇게 해서 사실상 검은돌 184알, 흰돌 176알로 8알 차이).
③흑집은 검은돌 쪽 바둑통에 남아 있는 검은돌로, 백집은 흰돌 쪽 바둑통에 남아 있는 흰돌로 채운다. 여기서 흑집은 검은돌이 살아 있는 영역, 백집은 흰돌이 살아 있는 영역이다.
④검은돌과 흰돌이 180알씩이니 돌이 없는 자리가 하나 남는다. 이게 흑집에 있으면 흑이 이겼다는 뜻이고, 백집에 있으면 백이 이겼다는 뜻이다.
  • 흑이 1집(빈 자리)보다 많이 이겼다면, 바둑판을 다 채웠을 때 흑집에 덤 표시용인 흰돌 4알 말고 다른 흰돌이 있을 텐데 그 흰돌 수에 2를 곱하고 빈 자리 하나를 더하면 흑이 몇 집 이겼는지 알 수 있다. 백이 1집(빈 자리)보다 많이 이겼다면 반대로 백집에 검은돌이 들어가 있을 것이고, 이때도 그 검은돌 수에 2를 곱하고 빈 자리 하나를 더하면 백이 몇 집 이겼는지 알 수 있다. 보면 알겠지만 결과는 홀수로 나온다.
  • 돌 없는 자리가 흑집도, 백집도 아닌 곳에 있다면 흑과 백한테 [math(\frac12)]점씩 나눠준다(정확하게는, 이러는 쪽이 집을 세기에 좋다). 이럴 때 흑집과 백집 차이는 짝수가 나올 수 있다. 만약 흑집을 채운 돌 수가 184알(검은돌 180알+흑집에 넣은 흰돌 4알)에 백집을 채운 돌 수가 176알(흰돌 180알-흑집에 넣은 흰돌 4알)이고 빈 자리가 흑집과 백집 어느 쪽도 아닌 곳에 있다면 [math(184 \frac12 - 176\frac12=8)]인데, 이러면 흑이 이긴다(결과는 '흑빅승')[3].

계가 방식은 다르지만, 그 결과는 대부분의 대국에서 중국식 규칙과 똑같이 나온다.


3. 기타[편집]


뉴질랜드 룰과 함께, 자살수가 가능한 몇 안 되는 바둑 규칙이다. 보통의 상황에서는 착수를 포기할 수 있으므로 자살수를 두지 않으나, 궁도 안의 내 돌을 없애서 팻감으로 사용 가능한 상황이나 매우 특이한 상황의 수상전에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참고도

초읽기가 없는 대신, 각자 제한 시간 3시간을 주고 그 시간을 넘겨서 사용하면 2점(2집)의 벌점을 부과하며, 벌점 2점 공제를 대가로 20분을 추가로 받는다. 연장은 두 번까지 가능[4]하고, 그것까지 모두 사용하면 시간패가 된다.

2012년 대회까지는 기본 제한시간이 3시간 30분, 추가 시간이 35분이었으며, 세 번까지 연장할 수 있었다[5].


4. 패 관련 규칙[편집]


주로 바둑 규칙 연구가인 Robert Jasiek의 자료 및 다음의 바이두 백과 문서를 참고하였다. # 1996년판 규칙으로 설명한다.

초기 응씨룰은 단순한 동형반복 금지만을 사용했지만, 초기 버전 이후의 응씨룰의 패 관련 규칙은 매우 복잡하며, 2020년 현재 인터넷에는 응씨룰의 패에 대해 한국어로 설명한 공신력 있는 자료가 없는 듯 하다. [6] 따라서 이 문서의 내용도 완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 팻감이 없어서 착수를 포기하는 것과 바둑을 더 둘 곳이 없어 착수를 포기하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 계가를 위해서는 양쪽 대국자가 모두 두 번 연속 착수를 포기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했다.

  • 의 규칙과 같이, 열자(熱子, 바로 전에 상대가 둔 패를 따낸 돌)를 바로 따낼 수 없다. 또한, 이를 일반화하여 쌍열자와 연열자에 대한 규칙을 만들었다.

이 규칙에서, 패는 서로 교대하여 따낼 수 있는 모든 모양이다. 예를 들어, 다음 그림의 모양은 모두 패이다. 장생 역시 응씨룰에서는 패로 보며, "쌍열자"로 분류하고 있다. 쌍열자는 장생, 순환패 등으로 존재할 수 있고 돌 세 개를 따내는 삼열자도 다단패와 얽히면 존재할 수 있다.
파일:응씨룰_패.jpg

  • 패 는 쟁(爭)패와 교(攪)패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 교패는 한 쪽의 살아 있는 것에 더 가까운 돌이 있고, 다른 쪽이 돌을 투자해서 단수를 시도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교패는 거는 쪽이 한 바퀴 더 돌리기 전에 다른 곳에서 팻감을 투자해야 한다. 교패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일단 교패는 교활과 교사로 나누어진다.
    • 교활은 안정한 교활과 불안정한 교활, 단일 교활이 있다.
      • 안정한 교활은
        • 활로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패를 따내는 방법으로 줄어들 수 있는 돌의 활로가 모두 둘 이상이다.
        • 플레이어 한 명이 상대방의 활로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패를 따내는 방법으로 줄어들 수 있는 돌 중 하나 이상을 공배를 메워 단수 상태로 만들 수 있지만, 상대방은 추가 활로를 확보하기 위해 다른 곳의 돌을 따낼 수 있다.
        • 다른 패가 존재하여 위의 돌들의 활로의 숫자가 영향 받지 않는다.
        • 이 세 조건을 만족하는 교활의 예는 4패 이상의 패, 순환패, 한 쪽에만 공배가 있는 삼패, 양패를 냈지만 집이 하나도 없어 죽은 돌 등이 있다. 활로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패를 따내는 방법으로 줄어들어야 하는 조건 때문에 양패나 그와 유사한 형태가 필요하다. 셋 모두 단수 형태로 만들 수 있는 측이 손을 빼면 반대쪽도 손을 뺄 수 있다.
      • 불안정한 교활은 안정한 교활에서 한 쪽이 단수 형태를 만든 형태이다.
      • 단일 교활은 활로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패를 따내는 방법으로 줄어들 수 있는 돌이 없는 패이다. 이단패, 양패 등이 없는 평범한 패는 모두 여기에 속한다. 순환패에서 보이는 쌍열자 형태 역시 다른 패나 쌍열자 형태와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여기에 속한다.
    • 교사는 안정한 교사와 불안정한 교사가 있다.
      • 안정한 교사는
        • 정확히 두 가지 방법으로 패를 따낼 수 있고,
        • 패를 따낼 때 제거하는 사석의 숫자가 정확히 하나이고,
        • 흑백이 모두 패를 따낼 수 있고,
        • 한 쪽이 패를 따내면 패가 완전히 해소되지만 다른 쪽은 아니다.
        • 이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는 양패를 냈지만 집과 공배가 없어 단수에 몰린 돌 등이 있다.
      • 불안정한 교사는 안정한 교사에서 패를 완전히 해소할 수 없는 쪽이 반대 쪽 패를 따낸 형태이다. 양패빅에서 한 쪽만 집이 없는 형태 등이라면, 한 수 늘어진 패와 같이 패를 따낸 쪽이 한 수를 더 투자하면 패를 해소할 수 있다. 물론 그냥 옥집 두개 있는 죽은 돌도 여기 속한다.
    • 교패에서, 먼저 돌을 따내는 등으로 상대의 응답을 강요한 플레이어를 교자라고 부른다. 교자는 패를 따내지 않는 착수를 할 때까지 교자이며, 교패를 한 바퀴 돌리기 전의 상태로 돌아왔을 때 바로 한 바퀴 더 돌릴 권한이 없다. 즉, 동형반복 룰과 비슷하게 다른 곳에 팻감을 쓰고 한 바퀴 더 돌려야 한다. 교패의 정의에 따라, 교자는 한 바퀴를 다 돌리기 전에 손을 뺄 권한이 어디에선가 생긴다.

  • 쟁패는 교패가 아닌 것으로 정의된다.
    • 쟁패의 예에는 공배가 없는 삼패, 한국바둑리그에서 나왔던 장생 등이 있다.
    • 쟁패에서, 한 쪽이 패를 따냈으면 반대쪽은 다른 곳의 패를 따내더라도 그 전에 반드시 팻감을 써야 한다.


4.1. 패 관련 규칙의 예제[편집]


쟁패와 관련된 예는 다음과 같다.
파일:응씨룰_쟁패_삼패.jpg
위에서 서술했듯이, 공배가 없는 삼패는 쟁패이다. 이 그림에서 백이 패를 따내면, 흑은 팻감을 써야 다른 곳의 패를 따낼 수 있다.
파일:응씨룰_쟁패_기본.jpg
보통의 패 규칙과 비슷하게 서로 팻감을 사용해서 패싸움을 할 것이다.
파일:응씨룰_쟁패_장생2.jpg
이 형태의 장생은 쟁패이다. 흑A로 두면 세모 표시된 백 4점이 단수에 몰리게 되며, 백C로 따내면 세모 표시된 흑 전체가 단수에 몰리게 되어 흑B로 다시 따내야 한다. A-C-B-D로 무한정 반복되는데, 응씨룰에서는 이 중 돌이 단수가 되기 때문에 받아야 하는 A, C는 바로 받을 수 없고 팻감을 써야 한다. A-(백팻감)-(흑)-C-(흑팻감)-(백)-B-D-A 와 같이 이어진다.
특이한 예로, 다음 그림이 있다.
파일:응씨룰_쟁패_기타.jpg
적당한 크기의 패가 있다면 백 D, 흑 B, (다른 곳 패따냄), 흑 A, 백 C, (다른 곳 패따냄)으로 반복될 수 있는 모양이다. 패를 따내기 전에 세모 표시된 흑백의 말이 단수에 몰리게 되므로 쟁패이다. 이 경우 백 D를 흑 B로 바로 받을 수 없고 또또 다른 곳에 팻감을 써야 할 것이다.

교패와 관련된 예는 다음과 같다.
파일:응씨룰_교패.jpg
그냥 평범한 패 규칙과 같이 진행하면 된다.
파일:응씨배_교패_기타.jpg
교패이지만 교자가 돌렸을 때 평범한 패 규칙에 걸려서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전에 교자가 없어진다. 따라서 평범한 패와 같이 진행된다.
파일:응씨배_교패_삼패.jpg
프로기사 대국에서 나온 삼패. 백이 단수를 당하는 쪽이므로 항상 흑이 교자가 된다. 백은 삼패를 돌아가면서 따내기만 하면 되지만 흑은 한 바퀴 돌때마다 교패 규칙에 걸려 팻감이 필요하다. 즉 흑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모양.
파일:응씨룰_사패_교패.jpg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의 계기가 된 이세돌과 구리의 4패빅이다. 백이 둘 차례로, 아랫쪽의 패를 따내면 안정한 교패가 되고, 먼저 두는 쪽이 표시된 돌을 잡으려면 교자가 되기 때문에 무한한 팻감이 필요해진다. 결국 빅과 비슷하게 양쪽의 돌이 모두 남은 형태가 될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22:19:23에 나무위키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규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내 돌이 살아 있는 곳에 내 바둑알을 채우면 몇 집인지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끝나고 나서 집을 세려고 판에 놓은 바둑알을 이리저리 옮길 필요가 없다. 중국식 계가법에서 돌을 180알씩 맞추고, 바둑판에서 살아 있는 돌을 그대로 두고 남은 돌로 각자 영역을 채우는 방식이 바로 전만(塡滿)법이라고 봐도 좋다.[2] 정확히 말하면 돌 180알씩 맞춰서 준비하기 어려워서 그렇다. 일본식 룰에서는 바둑돌이 몇 개 모자라도 바둑을 두는 데는 지장이 없기 때문. 그래서 바둑돌을 딱 180알 넣을 수 있는 통(한 층에 36알×5층인 육각기둥형)도 있다(위에서 내려다본 모습 - Ctrl+F+함중아, 이제까지 나온 여러 바둑통). 본문에서 말하는 '세트'는 응씨룰을 세계표준으로 만들려는 잉창치의 목표 때문이고, 돌 개수만 확실히 맞춰서 준비할 수 있으면 이 규칙을 쓸 수 있다. 이를테면 한국기원의 바둑돌 표준은 흑돌이 181개, 백돌이 180개이므로 여기에서 흑돌을 하나 빼고 응씨룰을 적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3] 그래서 덤(8점)을 한국식으로는 7집 반이라고 한다. 그리고 서로 돌을 놓을 수 없는 공배주변 돌 배치에 따라 가르는 방식(그래서 [math(\frac14)], [math(\frac34)]점도 나올 수 있고, 공배가 변에 있으면 [math(\frac13)], [math(\frac23)]점도 나올 수 있었기 때문에 집의 최소단위는 [math(\frac1{12})]점이었다. 제1회 대회 8강전에서 흑인 조훈현이 [math(185 \frac5{12})]집, 백인 고바야시 고이치가 [math(175 \frac7{12})]집을 내서 조훈현 九단은 흑으로 [math(1 \frac56)]점을 이기기도 했다)에서, 중국처럼 반씩 나눠가지기로 바꿨다.[4] 두 번을 쓰면 총 4점(4집) 공제, 총 제한시간 3시간 40분.[5] 세 번을 쓰면 총 6점(6집) 공제, 총 제한시간 5시간 15분. 왜 추가 시간이 35분인가 하면, 3시간 30분을 여섯 등분하면 35분이라서 그렇다(생각시간을 다 쓰면 2집을 빼고 1/6만큼 시간을 더 준다는 규칙이었다).[6] "응씨룰은 한․중․일 3국룰의 기초에서 인공으로 제작된 룰로서 잉창치의 간단함보다는 완벽한 룰을 만든다는 원칙하에서 3패 등 동형반복에 대해 매우 상세한 분류 규정을 하였으며 단패 뿐만 아니라 여러 복잡한 패도 단행할 수 있게 고안했으며 순환패의 여러 경우에 대해서 권리주장을 하고 사활의 판정을 하기도 하면서 순환을 일방적으로 금지하기도 한다. 즉 패감을 찾고 패순환을 하도록 하며 목적은 무승부를 바둑대국에서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한다. 이는 매우 복잡한 규정과 시도라고 할 수 있겠다." (한ㆍ중ㆍ일 및 응씨바둑룰의 차이점 비교연구. 차일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