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생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백출(원신) 문서
백출(원신)번 문단을
백출(원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15151.png
2013년 6월 29일 한국바둑리그에서 나온 장생.

1. 개요
2. 발생 원리
3. 규정
4. 반응
5. 사례
6. 그 외 창작물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장생()은 바둑 용어로 사활에서 가 아닌데 같은 모양이 계속 반복되는 형태를 말한다.

위 설명과 별도로 전근대 중국에서 편찬된 현현기경()이라는 아주 유명한 바둑책이 있다. 책의 내용은 사활 문제를 다룬 것으로 이 중에 장생세(長生)라는 문제가 있다. 장생의 기원은 이 문제에서 유래된 것이다. 어원은 아마 불로장생에서 온 것으로 추측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중국의 장생전(長生殿)에서 치러진 대국에서 이와 같은 형태가 나와 붙인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2. 발생 원리[편집]


파일:attachment/151511.png

첫 번째 그림에서 흑이 살기 위해서는 a에 두어 백△를 따내야 한다. 그러나 백이 b에 두면 오궁도화로 잡히게 된다. 그래서 두 번째 그림처럼 오궁도화를 방지하기 위해 1로 먹여치고, 백은 손을 뺐다가는 왼쪽 백 넉 점이 잡히면서 흑이 살아 버리므로 2로 따낸다. 그 다음 세 번째 그림처럼 이번에는 흑이 손을 뺐다가는 단수에 걸린 흑 여섯 점을 잡아버리는 수가 있으므로 흑3으로 백 두 점을 따낸다. 그 다음에 마지막 그림으로 백4에 먹여쳐 버리면 가 아닌데 끊임없는 동형반복이 나오므로 장생 무승부가 된다.[1]


3. 규정[편집]


한국 규칙에서는 무승부가 된다. 장생의 형태가 발생했을 때 두 대국자 중 어느 한 쪽의 포기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면 주심과 입회인의 합의로 무승부 처리를 한다. 입회인이 없으면 주심이 바로 무승부 선언을 하기도 한다. 제도까지 만들어가며 무승부를 방지하는 바둑에서 무승부가 나오는 몇 안 되는 사례다.

응씨배에서는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해소하려고 장생이나 삼패도 패의 일종으로 취급해서 한 바퀴 더 돌리고 싶으면 팻감을 써야 하는 것이 규칙이다. 즉, 동형반복이 되려면 무조건 팻감을 써야 하므로 무승부가 없다. 다만 실제로 응씨배에서 장생과 삼패 모두 등장한 경우는 전무하다.


4. 반응[편집]


우칭위안 九단의 회고록에서 "장생은 백만판을 둔다고 해도 나타나기 어렵다. 만약 생긴다면 경사스러운 일로 팥밥을 지어 축하해야 할 일"이라고 할 정도로 바둑계에서는 장생을 길조로 여긴다. 장생이 발생하면 두 대국자는 무병장수하고[2] 바둑을 좋아하는 그 나라 사람들에게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한다. 아마 그래서인지 천 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하다는 말도 있을 정도로 희귀하기 때문에 장생을 예외적으로 무승부로 인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응씨배처럼 장생과 삼패를 패의 형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있다.[3] 물론 바로 무승부를 시키는 것 보다는 이게 더 합리적인 면이 있기는 하지만 장생의 형태 자체가 매우 드문 만큼 아직은 무승부로 규정하고 있는 모양이다.


5. 사례[편집]


  • 20세기 이후 프로 바둑 공식 대국의 예시만 적는다. 일본에서는 두 번, 대한민국에서는 딱 한 번 나왔다.

파일:558812f80f7967d9a83fd.jpg


  • 원래 이 대국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흑을 잡은 린하이펑 九단이 반집 이기는 대국이었다. 초반부터 미세하긴 했지만 흑쪽으로 형세가 기울어 있었고 좌상귀 반패싸움이 승부패가 되었다. 하지만 린하이펑 九단이 고마쓰 八단(당시)의 팻감을 하나만 더 받았으면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았는데, 팻감을 하나 덜 받고 좌상귀 반패를 해소하면서(팻감은 좌하귀 팻감을 받아줘도 흑이 더 많았다) 린하이펑 九단이 집으로는 반집 이겼지만 좌하귀에서 대형사고가 난 것이다. 1993년 나온 대국인데, 5년 후인 1998년 인터뷰 때 나온 린하이펑의 언급으로는 당시에 대국에서 장생이 나는 수를 못봤으며, 장생이 날 줄 알았으면 팻감을 받았을 거라고 한다.

  • 무승부가 되어서 린하이펑과 고마쓰가 재대국을 하게 되었는데, 린하이펑은 재대국에서 이겨서 본선 리그를 통과하여 도전자 결정전까지 진출했지만, 고마쓰는 재대국에서 지는 바람에 그대로 떨어졌다.

  • 응씨배 규칙이었으면 흑329는 둘 수 없는 수가 되어 팻감이 필요해지지만, 흑의 팻감이 없어 대역전패를 당했을 것이다.




6. 그 외 창작물[편집]


  • 소설 피를 마시는 새에서는 작품 내에서 바둑에 비유한 표현이 여러 번 언급되는데 그 중에서도 마지막 챕터의 이름이 바로 장생이다. 어찌보면 작품 전체의 테마를 관통하는 소재일지도. 머릿말로 장생과 관련된 바둑 스승과 제자의 대화가 나온다. 제자는 승과 패에 비해 유독 장생을 특별하고 축하해야 할 일로 여기는 것에 불만을 가지지만 스승은 바둑을 이기기 위해서는 이길 상대가 필요하다며 장생은 우리가 바둑판 너머의 또 다른 우리를 멸종시키지 않을 것을, 즉 바둑이 영원히 계속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고 대답한다.

  • 영화 신의 한 수에서는 아예 바둑을 메인으로 하면서 관련된 용어를 스토리에 부각시켜서 그런지, 주인공 태석과 악역 살수가 바둑을 한판 두다가 장생이 나온다. 태석이 "장생이야, 비겼어. 영원히 두든가, 양보하든가." 라면서 판을 끝내려 하자, 살수가 "비기는 건 내 계획에 없는데?" 라고 말하며 곧이어 주먹 싸움으로 돌입하게 된다. 참고로, 영화에 나오는 장생 모양은 이 문서 가장 위에 나오는 최철한 九단과 안성준 三단(당시)이 둔 장생의 모습과 같으며 흑과 백만 바꾸어 둔 모양이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3:01:19에 나무위키 장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꾸 먹여치기가 나오다 보니 장생을 자살라고도 한다. 참고로 바둑에서는 '죽이다'를 '버리다'와 비슷한 뜻(사석작전)으로 쓴다.[2] 이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정말로 1993년에 장생을 만든 린하이펑 九단과 고마쓰 히데키 八단(당시)은 큰 병 없이 건강하게 2023년 현재까지 현역 바둑 기사로 잘 활동하고 있다.[3] 즉, 팻감을 써야 사이클을 돌릴 수 있다는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