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 없는 칸

덤프버전 : r (♥ 0)


1. 개요
2. 생긴 목적
3. 추진 중인 노선
4. 시범운행중인 노선
5. 해외 사례
6. 비판 및 문제점
7. 이동 시간


1. 개요[편집]


명칭 그대로 의자가 없는 지하철 '칸'이다. 서울 지하철 4호선서울 지하철 7호선의 일부 차량에 의자를 없게 하도록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2. 생긴 목적[편집]


지하철 혼잡도가 나날이 심해지고 있어서 이러한 혼잡도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도입했다.정작 가장 이용객이 많은 김포골드라인은.. 현재는[1] 시범운영 중이라 모든 차량에서 볼 수는 없다.

3. 추진 중인 노선[편집]



4. 시범운행중인 노선[편집]



5. 해외 사례[편집]


  • 일본은 1990년대부터 접이식 의자 일부 사용 중

6. 비판 및 문제점[편집]


혼잡도를 개선해준다는 긍정적 의견이 있지만, 혼잡도를 덜어주기는 커녕 오히려 의자를 없애서 시민들의 불편만 늘어난다는 부정적 의견이 있다. 실제로 의자 없는 칸 시범 운영중인 지하철 칸은 사람들이 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7. 이동 시간[편집]


  • 본 시간표는 정확하지 않으며, 지연 및 신호대기 등 열차 사정에 따라 시간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본 시간표는 평일에만 운행합니다. 주말 및 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습니다.
  • 평일 1회만 운행하고 이외의 시간대에는 운행하지 운행하지 않습니다.
  • 의자없는칸은 당고개발 사당행입니다.

  • 당고개 : 07:41
  • 상계 : 07:43
  • 노원 : 07:44
  • 창동 : 07:45
  • 쌍문 : 07:47
  • 수유 : 07:49
  • 미아 : 07:50
  • 미아사거리 : 07:52
  • 길음 : 07:54
  • 성신여대입구 : 07:56
  • 한성대입구 : 07:57
  • 혜화 : 07:59
  • 동대문 : 08:01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08:02
  • 충무로 : 08:54
  • 명동 : 08:55
  • 회현 : 08:56
  • 서울역 : 08:57
  • 숙대입구 : 08:58
  • 삼각지 : 08:59
  • 신용산 : 09:00
  • 이촌 : 09:02
  • 동작 : 09:05
  • 총신대입구(이수) : 09:07
  • 사당 : 09:0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3 02:07:44에 나무위키 의자 없는 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4년 1월 1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