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게누우스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25%><tablebgcolor=#FFEFA5,#000> 키리아데스 ||<width=25%> 포스투무스 ||<width=25%> 소 포스투무스 ||<width=25%> 라엘리아누스 ||
|| 빅토리누스 || 소 빅토리누스 || 마리우스 || 잉게누우스 ||
|| 레갈리아누스 || 아우레올루스 || 마크리아누스 || 소 마크리아누스 ||
|| 퀴에투스 || 오다에나투스 || 헤로데스 || 마에오니우스 ||
|| 발리스타 || 발렌스 || 대 발렌스 || 피소 ||
|| 아이밀리아누스 || 사투르니누스 || 테트리쿠스 1세 || 테트리쿠스 2세 ||
|| 트레벨리아누스 || 헤렌니아누스 || 티몰라우스 || 켈수스 ||
|| 제노비아 || 빅토리아 || 티투스 || 켄소리누스 ||



이름잉게누우스
(Ingenuus)
출생미상
사망258년 또는 260년
직위판노니아 방면 로마군 사령관
반란 대상갈리에누스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로마 제국 군인 황제 시대의 반란자. 갈리에누스 황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했다.


2. 생애[편집]


잉게누우스는 판노니아 방면 로마군 사령관으로, 갈리에누스 황제의 장남 발레리아누스 2세를 후견했다. 그런데 258년경, 발레리아누스 2세가 사망했다. 과거에는 잉게누우스가 이때 반란을 일으켰다는 게 정설이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게 대세다. 당대 기록에 따르면, 잉게누우스는 발레리아누스 2세의 죽음과 마르코만니의 침략으로 자신의 입지가 불안해지자 반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역사가 데이비드 포터는 258년에 마르코만니족이 침입했다는 증거가 없으며, 260년 발레리아누스 황제가 사산 왕조샤푸르 1세에게 붙잡힌 뒤 반란을 일으켰다는 게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잉게누우스가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접한 갈리에누스는 둘째 아들 살로니누스를 실바누스, 포스투무스의 지도하에 갈리아에 남겨두고 260년 발칸 반도를 건너 아우레올루스가 지휘하는 기병대를 이끌고 무르사 또는 시미늄에서 잉게누우스와 격돌했다. 잉게누우스는 이 전투에서 완패했고, 수도로 정했던 시미늄이 무너진 후 도주하다가 사망했다. 일부 기록에는 자신의 부하들에게 살해당했다고 하고 다른 기록에는 강물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6:49:23에 나무위키 잉게누우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