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심리학

덤프버전 :





1. 개요
2. 설명



1. 개요[편집]


/ Political Psychology
해외에서는 주로 'Political Behavior'로 활성화되어 있다. 정치학의 근간으로서 심리학을 다룬다. 국내정치적으로는 국민들의 정치 성향에 대해 통계조사하거나, 국제정치적으로는 양국의 상대 국가에 대한 호의도를 조사한다.


2. 설명[편집]


  • 권력
  • 사회적 영향력(social influence)
  • 이타성(altruism)과 친사회적 행동 (Prosocial behavior): 타인이나 사회 전반의 복지를 우선시하고 타인을 돕거나 사회에 기여하는 자발적 행위.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친사회적 행동의 예시로는 규칙 준수하기, 기부, 봉사활동, 낯선 이를 도와주기(예: 길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 길을 알려주기, 떨어진 물건 주워주기), 어떤 이에게 실질적인 도움 주기(예: 계단에서 무거운 짐을 옮기는 것을 돕기, 급한 상황에서 돈을 빌려주기), 응원․ 격려․지지와 같은 사회적 지원의 제공, 감정적인 도움의 제공(예: 누군가의 고민을 들어주거나 슬픔을 나누기), 긴급 상황 시 필요한 도움의 제공(예: 병원 응급실로 누군가를 데려가는 일) 등이 있다[1] 자원봉사 같은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는 고민은 동기 부여의 일종이므로 자기 결정성 이론 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사회심리학 문서의 r2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사회심리학 문서의 r2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0 22:58:14에 나무위키 정치심리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ussen & Eisenberg,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