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비례대표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 일본 중의원 선거의 비례대표는 일본 전체를 11개의 권역으로 나눠 각 권역별로 비례대표를 선출한다. 투표는 1인2표제로 진행하며 참의원 선거와는 달리 개별 후보자에게는 투표할 수 없고 정당에만 투표할 수 있다.
  • 전체 투표를 동트 방식으로 계산하여 각 정당이 배정받을 의석수를 정하고 각 정당이 사전에 추천한 후보 순위에 따라 당선자가 정해진다.
  • 소선거구와 비례선거구에 중복해서 입후보하는 후보자들의 경우 정당은 이들을 동일한 순번으로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 순번 내에서는 석패율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단, 후보자가 소선거구에서 유효표의 10% 이상 획득하지 못한 경우 당선될 수 없다('10%↧'로 표시함).


2. 개표 결과[편집]


파일:일본 국회 문장.svg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비례대표 중의원 의원
지역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합계
홋카이도8
도호쿠12
기타칸토19
미나미칸토23
도쿄19
호쿠리쿠신에쓰10
도카이21
긴키28
주고쿠10
시코쿠6
규슈·오키나와20
비례대표0000000176


2.1. 홋카이도[편집]




2.2. 도호쿠[편집]




2.3. 기타간토[편집]




2.4. 미나미간토[편집]


23석
범례자민 (0)입헌 (0)유신 (0)공명 (0)공산 (0)국민 (0)레신 (0)
12345678
9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5. 도쿄도[편집]




2.6. 호쿠리쿠신에쓰[편집]




2.7. 도카이[편집]




2.8. 긴키[편집]


28석
범례자민 (0)입헌 (0)유신 (0)공명 (0)공산 (0)국민 (0)레신 (0)
12345678
910111213141516
1718192021222324
25262728


2.9. 주고쿠[편집]




2.10. 시코쿠[편집]




2.11. 규슈·오키나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3 05:30:55에 나무위키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비례대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