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골정통

덤프버전 :


1. 개요
2. 인물



1. 개요[편집]


眞骨正統

위작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용어. 신라의 모든 왕족은 모계에 따라 진골정통 혹은 대원신통으로 구분된다.[1] 신라 제 11대 왕 조분왕의 어머니이자 소문국 왕녀의 딸인 옥모부인을 시초로 하여 모계로 내려온 혈통이다.[2] 왕비는 진골정통 혹은 대원신통에서만 나올 수 있었고, 진골정통과 대원신통은 서로 왕비를 배출하기 위해 경쟁했다.[4]

이름과는 다르게 정사의 성골+무열왕계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2. 인물[편집]


필사본 화랑세기에 계보가 전해지지 않는 대원신통과 달리 비교적 계보가 제대로 적혀있다.

옥모 - 홍모 - 아이혜 - 광명 - 내류 - 아로 - 조생 - 선혜 - 보도로 이어진다.

  • 지소태후 : 법흥왕과 보도부인의 딸
    • 진흥왕 : 입종 갈문왕과 지소태후의 아들
    • 만호부인 : 이화랑[7]과 지소태후의 딸. 동륜태자의 부인.
      • 진평왕 : 동륜태자와 만호부인의 아들
      • 만명부인 : 숙흘종[6]과 만호부인의 딸
        • 김유신 : 김서현과 만명부인의 아들.[5]
    • 송화공주 : 박영실과 지소태후의 딸
    • 보명궁주 : 구진과 지소태후의 딸
    • 세종전군 : 이사부와 지소태후의 아들. 미실의 남편.
    • 숙명공주 : 이사부와 지소태후의 딸
      • 정숙태자 : 진흥왕과 숙명공주의 아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1:34:55에 나무위키 진골정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성골과 진골이라는 구분이 언급되지 않는다. 진골정통과 대원신통만이 언급된다.[2] 아들에게도 1대에 한해 상속되나, 진골정통의 혈통을 후대에 물려줄 수 있는 것은 딸이었다. 이는 대원신통도 마찬가지. 미토콘드리아?[3] 다만 문명왕후의 경우 부계혈통은 가야계였다.[4] 자기 자식을 왕으로 세운 왕비만 따지자면 진골정통이 압도적으로 우위이다. 진흥왕의 모후인 지소부인, 진평왕의 모후인 만호부인, 선덕여왕의 모후인 마야부인, 태종 무열왕의 모후인 문진태후(천명공주), 문무왕의 모후인 문명왕후(김문희) 모두 진골정통이다.[3] 그에 반해 대원신통 중 자기 자식을 왕으로 세운 왕비는 진지왕의 모후인 사도태후밖에 없다.[5] 할머니 아양공주가 대원신통이고, 아버지 김서현이 가야계였으므로, 화랑세기에 '삼파의 자손'이라는 대목이 나온다.[6] 정사에서는 입종 갈문왕과 지소태후의 아들로 언급되지만, 화랑세기에서는 입종과 금진궁주의 아들이다. 금진궁주는 옥진궁주의 자매로, 대원신통.[7] 정사에서는 입종갈문왕의 딸이다. 화랑세기에서만 이화랑의 딸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