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기보 표기법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체스

1. 개요
2. 설명
2.1. 수 평가
2.2. 포지션 평가와 결과
3. 예시


1. 개요[편집]


체스의 게임 진행(기보)을 문자로 간략히 나타내는 방법. 본 표기법은 대수기보표기법(Algebraic chess notation)이다. 이 외에도 설명기보법 등 몇 가지 다른 방법들이 더 있지만, 대수기보표기법이 전세계적으로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된다.

영어에서는 체스판의 각 칸을 스퀘어(Square), 칸들이 모인 가로 줄을 랭크(Rank), 세로 줄을 파일(File)이라 부른다. 랭크에는 아라비아 숫자, 파일에는 로마자로 이름을 매기는데, 칸의 좌표는 세로줄-가로줄 순으로 조합하여 표시한다.[1]


2. 설명[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 b8=, c8=, d8=, e8=, f8=, g8=, h8=,
a7=, b7=, c7=, d7=, e7=, f7=, g7=, h7=,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 h1=,
caption=none)]
  • 체스보드의 칸들은 백의 왼쪽 아래(검은칸이고 a1칸)를 기준으로 세로 열(파일)은 좌에서 우로 로마자 a부터 h까지, 가로 행(랭크) 아래에서 위로 숫자 1~8까지를 조합해서 나타낸다. 예를 들어 e1은 5번째 열의 첫 번째 행. 즉, 처음에 백킹이 있는 자리를 말한다. 제일 밑 줄의 왼쪽에서 5번째 칸이다.
    • 왼쪽 위 구석은 흰 칸이고 a8이다.
    • 오른쪽 위 구석은 검은 칸이고 h8이다.
    • 오른쪽 아래 구석은 흰 칸이고 h1이다.

  • 각 말들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유니코드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
K (King)
R (Roi, 왕)
R (Rey, 왕)

♕♛
Q (Queen)
D (Dame, 왕비)
D (Dama, 여왕)
비숍
♗♝
B (Bishop)
F (Fou, 광대)
A (Alfil, 코끼리)
나이트
♘♞
N (Knight)[2]
C (Cavalier, 기사)
C (Caballo, 말)

♖♜
R (Rook)
T (Tour, 탑)
T (Torre, 탑)
[3]
♙♟
P (Pawn)
P (Pion, 보병)
P (Péon, 보병)
  • 비영어권 언어로 쓰인 문헌에서는 해당 언어에 맞춰 약자를 쓰기도 한다. 프랑스어권에서 킹을 R로, 다양한 슬라브어권에서는 Кр(Король)로 표기하는 것이 그 예이다. FIDE 공식 규칙에서도 이렇게 기보를 작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 말의 이동은 움직인 말의 이니셜을 적은 뒤 움직인 자리의 좌표(파일-랭크)를 붙여 표기한다. Ke2는 킹이 e2로 이동했다는 뜻이고, e5는 폰이 e5로 이동했다는 뜻이 된다.
    • 만약 같은 말 2개 이상이 그 칸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 그 말의 파일(파일도 동일할 경우 랭크, 파일이 동일한 기물과 랭크가 동일한 기물이 다 있으면 파일과 랭크를 모두)을 먼저 표기한 후 움직인 칸을 표기한다. Nge2, R5e6의 경우 각각 g파일 상의 나이트가 e2로, 5랭크 상의 룩이 e6로 움직였다는 뜻이다.[4]

  • 백과 흑이 번갈아 한 번씩 두는 것을 합쳐서 한 수(move)라고 하는데,[6] 게임상 몇 수째인지를 적고 백의 움직임이라면 '.', 흑의 움직임이라면 '...' 로 표기한다. 단 흑은 백의 움직임과 병기할 경우 생략할 수 있다.
    • 1.e4, 1...e5는 첫 수에 백은 폰을 e4칸에, 흑은 폰을 e5칸으로 이동했다는 뜻이다.[5]
    • 1.e4 e5라고 적었을 경우에도 위와 같은 의미가 된다.

  • 이동하여 말을 잡았을 땐 기물 이니셜과 좌표 사이에 x를 넣는다.
    • 폰이 말을 잡았다면 (해당 칸으로 갈 수 있는 폰이 유일하더라도) 폰이 있던 파일을 표기해준다. fxe5라면 f파일에 있던 폰이 e5칸으로 움직이며 말을 잡았다는 뜻이다.

  • 체크를 하면 +, 체크메이트면 #를 넣는다. +와 #은 표기 맨 뒤에 적는다. 더블 체크[7]가 된 경우에도 '+'라고 적지만 '++'로 적는 경우도 있다.
    • Bxe5#는 비숍이 e5칸에 있던 무언가를 잡고 체크메이트로 게임이 끝났다는 뜻이다.

  • 특수 행마법의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 프로모션은 =을 적거나 생략한 뒤 승격한 기물의 기호를 붙인다. "a8=Q", "a8Q". FIDE 표준 규칙으로는 =가 무승부 제안을 의미하는 기호로만 쓰이기 때문에 =를 적지 않는 것을 표준으로 하고 있지만, =를 생략하지 않는 표기법도 여전히 많이 쓰인다.
    • 캐슬링은 FIDE 표준은 숫자 0을 사용해서 킹사이드인 경우 0-0, 퀸사이드인 경우 0-0-0로 적는다. 하지만 대문자 O를 사용한 표기(O-O, O-O-O) 또한 많이 쓰인다.
    • 앙파상은 뒤에 e.p. 등을 표기하거나 생략한다. "gxf6 e.p.", "gxf6 e.p", "gxf6 ep", "gxf6/ep", "gxf6".

  • 체스 퍼즐 등 포지션이 셋업된 체스에서 말의 배치를 나타낼 때는 @라는 기호를 사용한다.
    • K@e8은 킹이 e8칸에 있다는 뜻. 이 때는 폰도 생략하지 않고 P@f7처럼 P를 표기하기도 한다.
    • 버그하우스 체스등 말을 새로 놓는 것이 가능한 변형 체스에서는 새로운 말을 놓았다는 의미로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 P@f7이면 이번 수에 폰을 f7칸에 새로 집어넣는 수를 뒀다는 뜻.
    • 하지만 초기 배치를 알리려는 목적으로는 그냥 그림으로 보여주거나, FEN(Forsyth-Edwards Notation)이라는 별개의 표기법을 더 많이 사용한다. FEN 표기법은 체스가 어느 정도 진행된 뒤 게임 속 상황을 로마자와 숫자, 기호만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체스가 20수 진행된 뒤 상황을 재현하고자 한다고 가정해보자. 대수기보법으로 씐 기보만 있다면, 첫 수부터 20수까지 하나 하나 놓아가며 진행을 따라가야 한다. 하지만 FEN 표기법으로 기록한 기보가 있으면, 곧바로 20수가 진행된 뒤 상황을 재현할 수 있다. FEN 표기법에선 기물들의 배치뿐만 아니라 어느 쪽이 둘 차례인지, 흑과 백이 저마다 캐슬링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킹 사이드/퀸 사이드인지, 앙파상으로 상대의 폰을 잡을 수 있는 칸이 좌표가 어디인지 기록하도록 한다. 체스가 취미인 사람이라면, 비단 대수기보법만이 아니라 FEN 표기법도 숙지한다면 좋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FEN 표기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수 평가[편집]


기보

!!
탁월한 수. 경기의 흐름을 뒤바꾸는 수.
!
훌륭한 수. 가장 좋은 최선의 수.
!?
흥미로운 수. 최선은 아니지만, 경기의 흐름을 흥미롭게 이끄는 수.
?!
부정확한 수. 평가하기 애매한 수라고도 하며, 좋지 못한 약한 수로도 평가한다.
?
실수. 나쁜 수를 의미한다. 기회를 놓치거나 포지션을 악화시키는 수.
??
블런더, 최악의 수. 공짜로 기물을 뺏기거나 상대에게 체크메이트 기회를 주는 악수.

강제수. 둘 수 있는 유일한 수. 이때는 평가를 하지 않는다.
TN[8]
신수(新手). 이론적으로 연구가 되지 않은 수.

2.2. 포지션 평가와 결과[편집]


  • '∞' 는 한쪽이 유리하다고 말하기 어려운 비대칭 상황에서 사용된다(폰 구조가 깨졌지만 기물들이 활성화되는 등의 상황).

  • '=' 는 동등한 상황. '∞' 와는 달리 대치 상태에 사용한다.

  • '+/=' (또는 ⩲)는 백이 약간 유리한 상황, '=/+'(또는 ⩱)는 흑이 약간 유리한 상황을 말한다.

  • '+/−' (±)와 '−/+' (∓)는 각각 백 흑이 명확히 유리한 상황을 말한다.

  • '+−' / '-+'는 백, 흑이 승기를 완전히 가져간 상황을 나타낸다.

  • 엔진은 포지션이 어느 쪽에게 얼마만큼 유리한지 나타낼 때 숫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이를 evaluation이라 한다. 0은 완전히 동등한 포지션, +값으로 커질수록 백에게 유리, -값으로 커질수록 흑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한다. 1의 수치는 대략 폰 1개의 값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치가 -2.5면 흑이 폰 2.5개정도만큼 유리하다는 뜻이다. 이 수치의 절댓값이 0.5 이내면 동등한 포지션, 0.5~2정도면 한쪽이 조금 유리한 포지션, 2~4정도면 한쪽이 꽤 유리한 포지션, 4가 넘어가면 그냥 앞서는 쪽이 이겼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경기를 뒤집을 가능성은 매우 적다.[9] 이 evaluation을 흰색과 검은색으로 된 막대그래프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를 evaluation bar, 종종 줄여서 eval bar라고 한다. 이때 강제 체크메이트가 가능하다면 체스닷컴은 M(필요한 수), 리체스는 #(필요한 수)와 같이 표기되며, 바가 완전히 한쪽으로 채워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백 승리는 1-0로, 흑 승리는 0-1로 나타낸다.



3. 예시[편집]


짧은 체스 경기들의 예시. 체스 초기 배치에서 가장 약한 기물은 백에게는 f2폰, 흑에게는 f7폰인데, 이 기보들은 모두 초기에 이 약점을 후벼 파는 날빌 공격이다.





유명한 체스 게임인 1851년 '임모탈 게임'을 텍스트로 표기할 경우 아래와 같다.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는 위키백과 문서 참고.

1.e4 e5 2.f4 exf4 3.Bc4 Qh4+ 4.Kf1 b5 5.Bxb5 Nf6 6.Nf3 Qh6 7.d3 Nh5 8.Nh4 Qg5 9.Nf5 c6 10.g4 Nf6
11.Rg1 cxb5 12.h4 Qg6 13.h5 Qg5 14.Qf3 Ng8 15.Bxf4 Qf6 16.Nc3 Bc5 17.Nd5 Qxb2 18.Bd6 Bxg1 19. e5 Qxa1+ 20. Ke2 Na6
21.Nxg7+ Kd8 22.Qf6+ Nxf6 23.Be7# 1-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3:05:28에 나무위키 체스/기보 표기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우리말 수학이나 엑셀 파일 등에서는 가로 줄을 행(行), 세로 줄을 렬(열, 列)이라 부른다. 그러니까 체스 기보에서는 '행렬'이 아니라 '열행' 순이 된다. 엑셀 파일이나 평면좌표에서도 열행 순으로 좌표를 매긴다.[2] 킹이 K이므로 Knight의 앞글자는 쓰지 못하고 대신 N이 쓰인다. 맨 앞 K가 어차피 묵음이다. [3] 거의 항상 생략된다.[4] 일반적인 게임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상황이긴 하지만 , 이론적으론 파일이나 랭크 둘 중 하나로 움직인 말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둘 다 표기한다. 같은 기물이 3개 이상이어야 하므로 폰을 다른 기물로 승격했다는 것이 전제된다. 예를 들어 퀸이 e4, h4, h1 이렇게 3군데에 있고 모두 e1 칸으로 갈 수 있는 상황에서 h4 퀸을 e1칸으로 이동한 경우, Qh4e1으로 표기한다.[5] 이 경우 오프닝은 C20: 오픈 게임이 된다.[6] 즉, 바둑의 한 수와는 의미가 다르다. 만약 두 색을 반드시 분리해서 말할 필요성이 있을 때는 half move라고 칭한다. 즉 반(半)수.[7] 기물 두 개가 동시에 체크를 하는 경우[8] theoretical novelty의 약자[9] 이건 마스터 레벨에서의 이야기이고 레이팅 1600 정도까지만 해도 4점 이상 앞서던 경기가 블런더로 인해 뒤집히는 경우가 왕왕 있다. 심지어 초보자 레벨에서는 +M1이었던 바가 신의 한 수로 인해 -M1로 바뀌는 등(...) 매우 역동적인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