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창

덤프버전 :

분류

1. 총에 꽂는 창
2. 몬스터 헌터 시리즈 용어



1. 총에 꽂는 창[편집]


銃槍. 북한에서는 총검이라는 표현이 안 쓰이는 것은 아니지만(사용 예) '총창'이라는 표현도 (사용 예)존재한다. 모두 광복 후부터 현재까지 쓴다. 반면 한국군은 대검[1]이라고 쓰는데, 북한에서 대검은 사용빈도가 낮기는 하나 한국군의 무기를 다루거나 일부 김일성 항일운동을 우상화하는 소설에서는 '대검'이라는 표현도 쓴다. # 그러니까 북한에서는 총검, 총창, 대검을 모두 쓸 수 있는 것이고 남한도 표준어 규정상으로는 다 쓸 수 있기는 하나[2] 총창이 60년대 이후 사용 빈도가 줄며 북한말처럼 여겨지는 분위기가 있는 것이다.

이병주 같은 한국 소설가도 총창이라는 표현을 쓰고 한국 표준어 규정으로도 쓸 수 있듯 일제강점기에도 쓰인 표현이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국식 한자어 문서에서 보듯 중국어 어휘를 그대로 가져오는 것은 오히려 김일성이 명시적으로 금지한 것이었다. 주체사상이 중국과 소련의 지나친 간섭도 거부하는 사상임을 감안하면 이상하지 않다. 그래서 총을 일컫는 한자는 중국과 달리 총 총()자를 쓴다. 1920년에도 동아일보에서 쓰인 표현이므로 '자행포' 마냥 분단 후 중국과의 교류가 의심되는[3] 표현은 아니다. # 1946년 처음 모신나강 소총을 소련군으로부터 양도받은 북한군은 러시아어 교범을 한국어로 번역하면서 스파이크식(Spike) 총검의 길이가 너무 길어 창이라고 부른 영향은 가능성이 있다. 조선말대사전도 창과 칼이 모두 '총창'이 될 수 있다고는 한다. 게다가 북한이 쓴다고 하여 '인민' 같은 어휘도 일반적인 사람의 의미로 잘 안 쓰게 된 한국 정치 특성상 북한에 온건하든 강경하든 북한의 언어에 적대적이거나 이질적으로 여기는 분위기가 한국에 있어[4] '북한말'처럼 들리는 여론이 있는 것이다.

이전 버전에는 "북한의 AK 소총은 창처럼 생기거나 창처럼 긴 총검을 썼다."랬지만 매우 틀린말이다. 북한군도 AK-47용 6Kh2 총검을 그대로 복제했고, 68식 보총도 칼 디자인만 약간 바꾸고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AK의 스파이크식 총검은 중국의 56식 자동소총에서나 볼 수 있다.

2. 몬스터 헌터 시리즈 용어[편집]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서는 건랜스의 이명으로 쓰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1:10:59에 나무위키 총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테두리에 차는 검.[2] 총창의 경우 이병주의 지리산이라는 소설에서 쓰인 적 있다고 한국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명시한다. #[3] 사실 이 단어도 중국어와 같지는 않다.[4] 통일 교육이라면서 북한에서 '아이스크림', '에스키모'로 부르는 아이스크림을 '얼음보숭이'라고 부른다고 주장한다든가, 그 반대 편에서도 북한에서 전구를 불알이라고 부른다며 언어 차이를 과장하기도 했다. 이것 때문에 북한에서 '에스키모'처럼 독특한 어휘를 쓰면 그 어휘만 쓴다는 오해도 매우 많다. 통일 교육 등지에서 생긴 오해로 북한에서 남한과 다른 한자어를 쓰면 그건 전부 다 중국 유래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봉사'를 일반 서비스의 의미로 쓰는 것은 중국에는 없는 것처럼 중국과 독자적인 한자어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