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훅

덤프버전 : (♥ 0)


1. 개요
2. 프레임 정보
3. 상세

파일:퀵훅.gif

1. 개요[편집]


철권 시리즈의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스티브 폭스 기술

2. 프레임 정보[편집]


기술명 / 커맨드발생가드히트카운터판정대미지기타
퀵훅(4LP)13-14[1]+10D상단17카운터시 콤보 이행 가능

3. 상세[편집]


스티브의 주력 카운터 기술이자 스티브 그 자체를 상징하는 기술. 한때 지나친 오버 스펙으로 인해 몇차례 너프가 있었지만 여전히 고성능 카운터기를 논할때 빠짐없이 등장하는 기술이며 스티브 운영에 있어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력기다. 단순히 프레임 정보만 놓고보면 다른 11, 12프레임의 카운터기에 밀리는 모습을 보이는 듯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른 카운터기들은 가지지 못하는 퀵훅만의 장점이 많이 있어 기술 스펙으로는 밀리지 않는다.

제일 큰 장점은 기술이 헛쳤을때의 짧은 후딜레이로, 4LP4로 기술 사용 후 플리커 자세를 이행하면 후딜이 급격하게 줄어드는데 플리커 자세 자체에 상중단 오토가드가 달려있어서 헛친 이후 가드 판정이 굉장히 빠르게 발생한다. 이 후딜레이가 워낙 짧아서 퀵훅을 노리고 앉아서 기상어퍼류로 띄우려고 해도 가드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으며 후딜레이 너프 전까지는 퀵훅이 나올걸 알면서도 띄울수가 없어서 울며겨자먹기로 11~12딜캐기를 넣는게 일반적이었을 정도다. 현재는 후딜레이가 너프되어서 15이상의 딜캐도 곧잘 들어가는 정도가 되었지만 그래도 다른 상단 기술들에 비하면 딜캐하기가 어려운 축에 속하는 기술이다.

또한 후딜레이가 작다는 점에서 파생되는 각종 자세 심리나[2] 적은 후딜을 무기삼아 지르는 퀵훅 가드-호커허리 패턴 등 상대로 하여금 여러 생각을 하게 만드는 복잡한 심리전 또한 가능하다는 점에서 단순히 기술 그 자체의 스펙 이상으로 심리 회전이 가능하다.

퀵훅 이후의 콤보 대미지와 안정성, 벽몰이도 좋은편인데, 70이 넘어가는 최상위권 콤보 대미지에 퀵훅 카운터시 다운 판정이 오래남아 임기응변이 용이하고 최대대미지 콤보가 곧 벽몰이 콤보로도 이어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카운터 한방에 게임을 터트릴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다른 11~13발동의 상단 카운터기들은 콤보 자체 난이도가 높거나[3], 강제로 2타까지 이행해야 콤보가 되거나[4], 콤보 대미지가 너무 낮은 경우처럼[5] 퀵훅만큼 대미지, 안정성, 난이도의 삼박자를 모두 만족하는 카운터기는 손에 꼽을 정도이다.

단, 시계횡에 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원래부터 가지고 있었던 단점이었지만 기원권이라는 횡신을 아예 배제시켜버리는 노딜 중단기술로 인해 딱히 드러나는 문제점은 아니었으나 기원권의 호밍 성능이 사라지고 양횡에 털려버리는 기술이 되면서 이전보다 퀵훅을 시계횡으로 피하는 빈도가 더 늘어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7:34:47에 나무위키 퀵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플리커 자세 이행시 -1[2] 퀵훅 등으로 대변되는 카운터기의 출중한 성능으로 인해 잘 부각되지는 않는 점인데, 스티브도 다른 자세 캐릭터들에 비해 꿇리지 않는 자세 심리가 가능하다. 상단회피가 달려있는 덕킹,거대한 횡신각과 상단회피로 별의별 기술을 다피하는 라이트 위빙, 그 외 플리커나 스웨이처럼 상당히 많은 자세를 가지고 있어서 스티브 또한 자세 심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캐릭터로 평가된다.[3] 브라이언, 니나, 아머킹, 아스카 등. 너무 멀리서 카운터가 나는 경우에는 히트백 때문에 콤보로 이행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4] 샤힌, 리리, 클라우디오 등. 2타가 상단이기 때문에 노림수로 인해 역으로 딜캐당할 수 있다.[5] 카즈미, 안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