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흰날개종다리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종다리속의 조류에 대한 내용은 흰날개종다리 문서
흰날개종다리번 문단을
흰날개종다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큰흰날개종다리(흰날개종다리)
Mongolian Lark
이미지
학명 Melanocorypha mongolica
(Pallas, 177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조강 (Aves)
하강신악하강 [Neognathae)
상목신조상목 (Neoaves)
참새목 (Passeriformes)
종다리과 (Alaudidae)
큰흰날개종다리속 (Melanocorypha)
큰흰날개종다리 (M. mongolic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
2. 생김새
3. 생태
4. 기타



1. 개요[편집]


참새목 종다리과의 새.


2. 생김새[편집]


몸길이 18cm~22cm 정도로 꽤 큰 종다리류이다. 흰 눈썹선과 목 앞쪽의 검은 띠가 특징이다. 날 때 몸 안쪽의 날개깃이 하얀색이다.


3. 생태[편집]


몽골, 중국 북부 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중북부 지역에서 월동한다. 초원에서 주로 서식하며 곤충, 씨앗을 먹는다. 한국에서는 2014년 인천 백령도에서 처음 관찰된 이후 충남 서산, 마라도에서 관찰된 미조(길잃은새)이다.


4. 기타[편집]


  • 첫 발견 당시 큰흰날개종다리라는 이름이 붙었고[1] 지금도 이름이 혼재되어서 사용되지만 국립생물자원관 기준 흰날개종다리가 정식 명칭이다. 다만 종다리속에 속하는 종 중에서 흰날개종다리로 직역되는 White-winged lark라는 종이 있기 때문에 명칭이 혼동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01 06:57:48에 나무위키 큰흰날개종다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