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퍼링

덤프버전 :

분류


파일:테이퍼링.png
1. 개요
2. 경제학, 금융 용어
3. 영향
4. 사례



1. 개요[편집]


테이퍼링(tapering)은 형용사 '가는', '(끝이) 뾰족한', 동사 '점점 가늘어지다', '가늘게 만들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 '테이퍼(taper)'의 동명사꼴을 일컫는다. 넓게 보면 단계적 '축소', '감축', '약화' 등을 뜻한다.


2. 경제학, 금융 용어[편집]


금융계. 경제학. 경영학 등의 분야에서 고유명사처럼 쓰이는 테이퍼링은 유동성 축소, 생산량 축소, 공급량 축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좁은 의미에서는 양적완화 규모 축소를 의미하는 출구전략(Exit strategy)의 일종이다.

이러한 용례는 2013년 5월 23일 미국 의회 합동경제위원회 청문회에서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경제 회복에 대한 지속가능성이 확신된다면 채권 매입 속도를 줄이겠다"고 발표하면서 사용한 뒤 유명해졌다. 당시 연방준비제도의 테이퍼링 시사로 인해 신흥국의 환율과 증시가 요동쳤으며, 이를 긴축 발작(taper tantrum)이라고 부른다.


3. 영향[편집]


미국에서 테이퍼링이 시행되면, 연방준비제도는 시중에 풀린 달러 통화를 회수하기 위해 채권 매입을 줄인다. 일반적으로 매입 축소는 기준금리를 인상시키는 정책과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지며, 이렇게 되면 통화량의 감소에 따라[1] 달러화의 가격은 자연스럽게 상승하고 증시는 단기적으로 급락하게 된다.


4. 사례[편집]


  •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양적완화 이후, 2014년 1월부터 FOMC에서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하기 시작한 바 있다.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이후, 2021년 11월부터 테이퍼링을 시행한다고 밝혔고. 이듬해 기준금리를 수차례에 걸쳐 인상했지만 하필 이 시기에 여러 악재들이 터지면서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을 야기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2:11:46에 나무위키 테이퍼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테이퍼링은 통화량의 공급 속도를 늦추는 수단이지 통화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은 아니다. 통화량 감소의 요인은 테이퍼링이 아닌 금리 상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