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로(곡물)

덤프버전 :

분류

파로(FARRO)

-파로는 세 종류의 곡물을 통틀어 나타내는 용어이며 엠머(Triticum Dicoccum), 아인콘(Triticum Monococcum), 스펠트(Triticcum Spelta)가 이에 속한다. 주요 원산지인 이탈리아를 포함 유럽국가와 미국에서는 보통 엠머를 뜻한다. 특히 엠머(Emmer)는 다른 두 가지 곡물이 가축의 사료로 쓰이는데 반해 주로 인간의 주식으로 사용되며 곡물의 품질이 우수하여 “진정한” 파로라고 불리기도 한다.[2]

1. 역사[편집]


-기록된 역사로는 파로의 세 곡물 중 엠머가 12,000년에서 10,000년 전 사이에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재배된 최초의 고대 곡물 중 하나였다고 전해진다. 현재는 아시아, 미국, 유럽 및 이탈리아 지역에서 재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기원전 47년 로마인들이 이집트를 침공했을 때 그들은 영양소가 풍부하고 포만감이 오래 유지되는 파로에 매력을 알게되어 본국으로 들여와 긴 전쟁기간동안 전투식량으로 사용했다.
-로마 공화국이 로마 제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며 훗날 황제라는 단어 Caesar의 시초가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시저)는 파로를 “파라오의 밀”이라고 불렀다. 이것이 이탈리아 파로 소비의 시초였다. [4]
-사담으로는 카이사르가 이집트 침공 후 전리품으로 고대 유럽의 큰 곡창지대인 이집트의 귀한 곡물이자 이집트의 왕 파라오가 먹는 왕의 밀이라고 불리는 엠머 밀 뿐만 아니라 당시 파라오였던 클레오파트라를 연인으로 탐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로(Farro)라는 단어는 이집트의 왕을 뜻하는 "파라오"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4][5]


2. 특징[편집]


-파로는 저당, 저탄수화물, 고단백 곡물로 풍부한 식이섬유와 비타민, 마그네슘, 미네랄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당 함량이 저당 곡물로 알려진 타 고대 곡물 호라산밀(카무트)의 3분의 1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2] [3] 또한 높은 함량의 저항성전분과 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주는데 이는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해주며, 천천히 소화가 이루어지게 도와주기 때문에 혈당지수는 낮춰주고 당뇨병 환자나 비만처럼 혈당 관리가 필요한 사람들의 식단에 권장된다. [8][9]
-파로는 카로티노이드, 루테인, 셀레늄, 페룰산 등의 항산화 화합물 함량이 높아 면역력 증진, 노인성 안구질환 및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아라비노자일란, 폴리페놀, 피토스테롤과 같은 성분들은 LDL콜레스테롤 수치 및 공복 혈당을 감소시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7][11]
-비타민이나 미네랄 흡수를 방해해 배고픔 및 영양소 결핍을 유발하는 물질인 피트산의 함량이 파로는 매우 낮다. 모든 곡물에는 피트산이 어느정도 함유되어 있는데 이 함량이 높을수록 칼슘이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 및 영양소 흡수를 방해해 심하게는 골다공증을 및 영양결핍을 유발한다. 100g기준 현미(954mg)와 백미(191mg)의 피트산 함량보다 파로(0.02mg)의 함량이 현저히 낮은데 이는 곧 미네랄과 영양소 흡수를 방해하는 피트산의 함량이 낮아 영양소를 체내에 충분히 흡수시켜 건강한 식사를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12][13]
-요즘 파로는 이탈리아 산지를 포함하여 에티오피아에서도 중요한 작물이며, 스위스의 빵과 독일의 맥주 등 유럽의 다른 지역의 음시에도 심심찮게 등장한다. 1980년대 이후 건강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파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른 종류의 밀에 비해 수확량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파로는 척박한 토양에서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곡물로 가치가 높다. 특히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은 산지가 높고 건조해 파로 재배의 최적의 조건이다. 또한 화학적 비료 사용을 금하고 윤작을 통해 토양의 휴지기를 갖는 등 유럽의 법규를 준수하여 토양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 자란 파로는 그 곡물의 영양가와 품질이 우수하다. [1][10][14]


3. 기타[편집]


-파로는 2013년 농촌진흥청이 선정한 "주목해야 할 10가지 고대 작물"로 선정되었다.
-아직 한국에서는 대중적이지 않은 파로는 현재 고대곡물 전문 기업인 그레인온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제품명은 “르셀란테 그라노토스칸 파로”이다.


4. 출처[편집]


1. Markus, Buerli (2006년). “Farro in Italy”. 《The Global Facilitation Unit for Underutilized Species》.
2. Hamlin, Suzanne (1997년 06월 11). “Farro, Italy's Rustic Staple: The Little Grain That Could”. 뉴욕타임즈.
3. Özkan, Özkan, H., Willcox, G., Graner, A., Salamini, F., & Kilian, B. (2010년). “Geographic distribution and domestication of wild emmer wheat (Triticum dicoccoides)”.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4. FoodPrint, https://foodprint.org/real-food/emmer-farro/
5. Zaharieva, M., Ayana, N. G., Hakimi, A. A., Misra, S. C., & Monneveux, P. (2010년). “Cultivated emmer wheat (Triticum dicoccon Schrank), an old crop with promising future: a review.”.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6. Marino, S., Tognetti, R., & Alvino, A. (2009년). “Crop yield and grain quality of emmer populations grown in central Italy, as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ation”. 《European Journal of Agronomy》.
7. Dhanavath, S., & Rao, U. P. (2017년). “Nutritional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ofTriticum DicoccumWheat and its Health benefits: An Overview”. 《Journal of Food Science》.
8. “AlimentiNUTrizione - Farro perlato, crudo”.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9. “FoodData Central”. 2024년 3월 4일에 확인함.
10. EU법령, https://eur-lex.europa.eu/eli/reg/2021/2115/oj
11. Moghadasian, M. H., & Fröhlich, J. (1999년). “Effects of dietary phytosterols on cholesterol metabolism and atherosclerosis: clinical and experimental evidenc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 Kumar, A., Singh, B., Sahu, C., Mishra, U. N., Sharma, S., & Lal, M. K. (2021년). “Phytic acid: Blessing in disguise, a prime compound required for both plant and human nutrition”. 《Food Research International》.
13. Athinaiou, A.; Aja, S.; Haros, C.M. “Nutritional Characterization of Ancestral Organic Wheats: Emmer, Khorasan and Spelt”. 《Biol. Life Sci》.
14: Özkan, H., Willcox, G., Graner, A., Salamini, F., & Kilian, B. (2010). Geographic distribution and domestication of wild emmer wheat (Triticum dicoccoides).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58(1), 11–53. https://doi.org/10.1007/s10722-010-9581-5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9 16:35:17에 나무위키 파로(곡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