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사이드 2/장비/발키리

덤프버전 : r20160829 (♥ 0)

삭제된 틀입니다.

지금 보고 있는 틀:오래된 문서 틀은 토론 합의에 따라 삭제되었으며, 이에 대한 뒤처리를 나무위키 역링크 개선 프로젝트에서 모니터링 및 관리를 하고 있으므로 틀:오래된 문서 문서를 보고 계시면 내용을 삭제하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그 외의 문서에 이 틀이 있다면, 편집하여 즉시 삭제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위문서 : 플래닛사이드 2/장비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플래닛사이드 2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1. 개요
2. 발키리 인증
2.1. 유틸리티 슬롯
2.1.1. 교란 조명탄
2.1.2. 스쿼드 병참 시스템
2.1.3. 화재 진압 시스템
2.2. 방어 슬롯
2.2.1. 나노 자동 수리 시스템
2.2.2. 차량 스텔스
2.2.3. 합성 아머
2.3. 성능 슬롯
2.3.1. 회피적 기체
2.3.2. 부유 안정성 기체
3. 발키리 무기
3.1. 부사수 무기
3.1.1. M20 와이번
3.1.2. CAS 14-E
3.1.3. 헬리온 G20
3.1.4. 펠터 로켓 포드
3.1.5. VLG 미사일 런처



1. 개요[편집]


250의 평균적인 자원을 소모하는 6인승 소형 수송기.
1명은 조종수이고 1명은 사수. 그 외 좌석은 MH-6J 리틀버드MH-60처럼 문가에 맥스를 제외한 보병 병과가 무기를 들고 탑승가능.
예전에는 워낙 방어력이 약해 하늘을 나는 관짝정도로 취급을 받고 보병 총에도 피격 판정을 받고 스카이가드에 특히 취약하지만, 그 범용성은 막대한 편.
업그레이드를 통해 갤럭시처럼 스쿼드 스폰이 가능하고 부사수 무기를 잘 고르고 조종수와 사수 호흡이 맞을 경우 전투기와 대등하게 교전이 가능하다.
문 옆에 걸터앉은 자리는 뚫려 있어 아무거나 막 집어넣을 수 있기도 한다. 여기에 엔지의 탄약을 넣고 헤비 어썰트가 올라타 로켓 런처나 기본 총 등으로 전투기나 건쉽이나 지상 보병에게 엿을 선사할 수 있긴 하지만 대공포에 걸리는 순간...
형태는 상술한 헬기와 비슷한 형태와 범용성.


2. 발키리 인증[편집]


패치로 인하여 배치 업을 하지 않아도 낙뎀이 없도록 상향 되었다.
발키리에 장착할 수 있는 무기 및 각종 인증 목록들입니다.


2.1. 유틸리티 슬롯[편집]



2.1.1. 교란 조명탄[편집]


단계별 인증 포인트
100 200 500 1000

1회에 한해 락온을 풀 수 있게 만드는 능력.


2.1.2. 스쿼드 병참 시스템[편집]


사용 인증 포인트 : 100

발키리에 스쿼드 재배치가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유틸리티.
발키리의 핵심인증으로 꼽히며, 발키리가 소형 강습 헬기인 이유.

과거에는 발키리에서 뛰어내렸을때 낙사를 방지해주는 기능도 있었지만 패치를 통해 발키리의 기본 능력으로 편입되면서 삭제되었다.

2.1.3. 화재 진압 시스템[편집]


단계별 인증 포인트
30 100 200 500

일정량의 체력을 서서히 채워주는 능력.


2.2. 방어 슬롯[편집]



2.2.1. 나노 자동 수리 시스템[편집]


단계별 인증 포인트
50 100 150 200 500


2.2.2. 차량 스텔스[편집]


단계별 인증 포인트
30 100 200 1000

발키리에 인증을 푸는것 자체가 낭비(...)라고 받아지는 현실이지만, 발키리 방어슬롯중 그나마 고평가를 받는 능력이다.
발키리 특성상 적 몰래 빠르게 강습하고 사라져야 하기 때문에 스텔스가 중요하다

2.2.3. 합성 아머[편집]


단계별 인증 포인트
30 50 150 400

소화기,아스피스 팔랑크스,AA런처와 같은 데미지를 경감시켜주는 능력.
발키리의 합성 아머는 ESF 의 기총 피해량도 소량 감소 시켜준다. 물론 그 효과는 미미한편.


2.3. 성능 슬롯[편집]



2.3.1. 회피적 기체[편집]


단계별 인증 포인트


2.3.2. 부유 안정성 기체[편집]


단계별 인증 포인트
100 200 400

수직 이착륙 능력/부유력/속도를 증가시키는 능력.



3. 발키리 무기[편집]



3.1. 부사수 무기[편집]



3.1.1. M20 와이번[편집]


파일:attachment/플래닛사이드 2/장비/발키리/M201.jpg
M20 Wyvern

주 용도 : 대 보병/대 전차/대 공중
사격속도 : 444 RPM
포구속도 : 550 m/s
사정거리 : 중거리
사격모드 : 자동
최대 피해 : 50M 이내 250
최소 피해 : 150M 이후 167
재장전 속도 : 2.25초
탄창크기 : 30
지닐 수 있는 탄약수 : 300
인증 가격 : 기본
캐시 가격 : 기본

조준경 성능
확대경 : 1 50 150 500
적외선 조준경 : 50
열감지 조준경 : 200

능력 성능
재장전 속도 : 150 200 400 500 1000
탄창 증가 : 100 200 400 1000

탄약 성능
탄약 인증 : 1 10 30 50 100 150 200 400 500 1000

다른 차량의 M20 드레이크의 상위호완.


3.1.2. CAS 14-E[편집]


파일:attachment/플래닛사이드 2/장비/발키리/CAS.jpg
CAS 14-E

주 용도 : 대 보병/대 전차
사격속도 : 480 RPM
포구속도 : 500 m/s
사정거리 : 장거리
사격모드 : 자동
최대 피해 : 10M 이내 143
최소 피해 : 125M 이후 50
최대 간접 피해 : 0.35M 이내 100
최소 간접 피해 : 1M 이후 1
재장전 속도 : 2초
탄창크기 : 60
지닐 수 있는 탄약수 : 480
인증 가격 : 1000
캐시 가격 : 7000

조준경 성능
확대경 : 1 50 150 500
적외선 조준경 : 50
열감지 조준경 : 200

능력 성능
재장전 속도 : 150 200 400 500 1000

탄약 성능
탄약 인증 : 1 10 30 50 100 150 200 400 500 1000

모스키토의 밴시랑 유사한 무기.
대인이나 대맥스 상대로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북미 기준으로, 상당한 상향을 거쳤음에도 발키리는 주요 공격 대상이라 함부러 굴릴 수가 없다.
일단 발키리의 C4, 피자배달이 성행했고, 자폭테러에 지속적인 스쿼드 리스폰으로 인해 각국 ESF보다 집중포화를 먹는다.
특히 각국 ESF나 리버레이터나 겔럭시는 스팟하면 고유의 기체 이름을 대지만, 발키리는 'Air craft(항공기)' 라고만 이야기해서
더 집중포화를 맞는다....
그리고 같은 경장갑인 ESF는 꽤나 고속기체이기때문에, 락온런처나 대공무기를 장착한 장비들 아니면 잘 노리지 않지만, 발키리는 ESF에 비하면 엄청나게 느린데다 몸집도 크기 때문에 인필트레이터가 저격을 해대는 모습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일단 북미는 인구도 많기때문에, 컨트롤이 좋다고 해도 날아오는 총알 수는 자비가 없다. 조심히 운전하자.

물론 회피 기체를 풀업해야 안정적으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여담으로 크라운 서버vs에메랄드 서버 스매쉬 당시 발키리에 상당한 피해를 입었는데 그 중에서도 이 무기의 킬 수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통계되었다.

3.1.3. 헬리온 G20[편집]


파일:attachment/플래닛사이드 2/장비/발키리/G20.jpg
Hellion G20

주 용도 : 대 전차
사격속도 : 600 RPM
포구속도 : 300 m/s
사정거리 : 장거리
사격모드 : 자동
최대 피해 : 10M 이내 167
최소 피해 : 75M 이후 125
재장전 속도 : 3.5초
탄창크기 : 60
지닐 수 있는 탄약수 : 420
인증 가격 : 500
캐시 가격 :

조준경 성능
확대경 : 1 50 150 500
적외선 조준경 : 50
열감지 조준경 : 200

능력 성능
재장전 속도 : 150 200 400 500 1000

탄약 성능
탄약 인증 : 1 10 30 50 100 150 200 400 500 1000

대 기갑용 무기.
쉽게 말하자면 테란 진영무기인 벌컨을 약간 성능을 낮춰서 발키리에 달았다 생각하면 쉽다.
따 따 따 따 따따따따 따르르르르르르르르르릉
현재로선 발키리무기중 CAS랑 더불어서 가장 체감 성능이 좋다.
무엇보다 기갑 하나는 확실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


3.1.4. 펠터 로켓 포드[편집]


파일:attachment/플래닛사이드 2/장비/발키리/POD.jpg
Pelter Rock Pod

주 용도 : 대 보병/대 전차
사격속도 : 300 RPM
포구속도 : 150 m/s
사정거리 : 장거리
사격모드 : 자동
고정 피해 : 400
최대 간접 피해 : 0.35M 이내 100
최소 간접 피해 : 1M 이후 1
재장전 속도 : 3.5초
탄창크기 : 8
지닐 수 있는 탄약수 : 64
인증 가격 : 500
캐시 가격 : 7000

조준경 성능
확대경 : 1 50 150 500
적외선 조준경 : 50
열감지 조준경 : 200

능력 성능
재장전 속도 : 150 200 400 500 1000

탄약 성능
탄약 인증 : 1 10 30 50 100 150 200 400 500 1000

헬파이어, 브레이커랑 비슷한 대 보병/대 전차용 로켓포드
다만, ESF에 달리는 비유도 로켓포드의 마이너 카피라고 하면 누구나 인정할정도로 실성능은 다소 실망스러울 수 있다.
현재로서는 사면 후회하는 발키리 무기중 하나로 꼽힌다(...)

3.1.5. VLG 미사일 런처[편집]


파일:attachment/플래닛사이드 2/장비/발키리/VLG.jpg
VLG Missile Launcher

주 용도 : 대 전차
사격속도 : 120 RPM
포구속도 : 125 m/s
사정거리 : 장거리
사격모드 : 레이저 유도
고정 피해 : 1800
최대 간접 피해 : 0.72M 이내 450
최소 간접 피해 : 4M 이후 1
재장전 속도 : 2초
탄창크기 : 1
지닐 수 있는 탄약수 : 30
인증 가격 : 500
캐시 가격 :

조준경 성능
확대경 : 1 50 150 500
적외선 조준경 : 50
열감지 조준경 : 200

능력 성능
재장전 속도 : 150 200 400 500 1000

탄약 성능
탄약 인증 : 1 10 30 50 100 150 200 400 500 1000

엔지니어의 대전차 포탑이나 레이븐과 같은 레이저 유도 형식의 미사일. ESF의 호넷 미사일의 다운그레이드판이라 보면 된다.

고정 피해가 1800으로 매우 높고 레이저 유도라 적을 맞추기도 쉬울것 같지만 발키리 자체가 적의 포화를 피해 이리저리 움직이는 기체인데다 운전수와 사수가 완전히 별개로 움직이기에 실제로 적을 맞추기는 어려운편.

발키리가 순항중인 상태에서 발사하면 탄이 발키리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살짝 뒤로 밀린후 에임으로 발진하니 참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