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3차 예선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1. 개요
2. 진출팀
3. 조 편성
4. 경기 진행



1. 개요[편집]


3차 예선은 2차 예선에서 조 2위 팀들 가운데 승점 및 골득실이 낮은 4팀과, 조 3위 모든 팀, 조 4위 팀들 가운데 승점 및 골득실이 높은 4팀, 그리고 플레이오프 1라운드를 통과한 5팀, 플레이오프 2라운드를 통과한 3팀, 총 24팀이 참가하게 된다. 한 그룹당 4팀씩, 총 6조로 구성되어 조 2위까지 본선에 진출한다. 아랍 에미리트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최종 예선 진출을 확정지으면서 남은 아시안컵 최종예선 티켓은 12장으로 확정되었다. 조 추첨은 2017년 1월 23일에 실시되었고. 시드 배정은 2017년 1월 피파 랭킹 기준으로 나눠졌다.[1] 2017년 3월 28일에서 2018년 3월 27일까지 진행될 예정.

한편 쿠웨이트는 2017년 1월 11일까지 FIFA의 국제경기출전 금지의 징계가 풀리지 않은 관계로 참가하지 못했으며, 2차 예선 D조 4위, 조 4위간 순위 1위로 3차 예선 티켓을 받은 괌 역시 기권을 선언했다. 대신 네팔, 마카오가 각각 2016 솔리더리티컵 우승, 준우승국 자격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2. 진출팀[편집]


진출팀은 아래와 같다.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차예선 B조 2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차예선 D조 2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2차예선 G조 2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차예선 H조 2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2차예선 A조 3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2차예선 B조 3위)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2차예선 C조 3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2차예선 D조 3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차예선 E조 3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2차예선 F조 3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1차예선)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2차예선 H조 3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1차예선)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2차예선 E조 4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2차예선 G조 4위)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2차예선 H조 4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PO A경기 승자)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PO B경기 승자)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PO C경기 승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PO D경기 승자)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PO E경기 승자)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PO F경기 승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PO G경기 승자)
파일:attachment/TWN_Flag.jpg
대만
(PO H경기 승자)



3. 조 편성[편집]




4. 경기 진행[편집]




4.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인도 국기.svg인도6411115+613본선 진출
2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6411148+613본선 진출
3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6222101005예선 탈락
4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마카오6006416-120예선 탈락
키르기스스탄이 득점을 인도보다 더 많이 했지만 인도와의 두 차례 경기 결과에서 상대전적이 같고(합계 2:2) 원정 다득점의 원칙에 따라 키르기스스탄 원정에서 1골을 넣은 인도가 1위를 차지한다.


4.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6510144+1016본선 진출
2파일:북한 국기.svg북한63211310+311본선 진출
3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612347-35예선 탈락
4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6015515-101예선 탈락


4.3. C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6330165+1112본선 진출
2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624093+610본선 진출
3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아프가니스탄6132710-36예선 탈락
4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6105317-143예선 탈락


4.4. D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오만 국기.svg오만6501285+2315본선 진출
2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6501253+2215본선 진출
3파일:몰디브 국기.svg몰디브62041119-86예선 탈락
4파일:부탄 국기.svg부탄6006239-370예선 탈락


4.5. E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6411153+1213본선 진출
2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투르크메니스탄6312910-110본선 진출
3파일:attachment/TWN_Flag.jpg대만6303712-59예선 탈락
4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602439-62예선 탈락


4.6. F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6330138+512본선 진출
2파일:예멘 국기.svg예멘623175+29본선 진출
3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6213109+17예선 탈락
4파일:네팔 국기.svg네팔6024311-82예선 탈락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6:48:30에 나무위키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3차 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