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AFC 아시안컵/3차 예선

덤프버전 : r20180326




1. 개요
2. 진출팀
3. 조 편성
4. 경기 진행



1. 개요[편집]


3차 예선은 2차 예선에서 조 2위 팀들 가운데 승점 및 골득실이 낮은 4팀과, 조 3위 모든 팀, 조 4위 팀들 가운데 승점 및 골득실이 높은 4팀, 그리고 플레이오프 1라운드를 통과한 5팀, 플레이오프 2라운드를 통과한 3팀, 총 24팀이 참가하게 된다. 한 그룹당 4팀씩, 총 6조로 구성되어 조 2위까지 본선에 진출한다. 아랍 에미리트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최종 예선 진출을 확정지으면서 남은 아시안컵 최종예선 티켓은 12장으로 확정되었다. 조 추첨은 2017년 1월 23일에 실시되었고. 시드 배정은 2017년 1월 피파 랭킹 기준으로 나눠졌다.[1] 2017년 3월 28일에서 2018년 3월 27일까지 진행될 예정.


2. 진출팀[편집]


진출팀은 아래와 같다.
요르단
(2차예선 B조 2위)
오만
(2차예선 D조 2위)
레바논
(2차예선 G조 2위)
북한
(2차예선 H조 2위)
팔레스타인
(2차예선 A조 3위)
키르기스스탄
(2차예선 B조 3위)
홍콩
(2차예선 C조 3위)
투르크메니스탄
(2차예선 D조 3위)
싱가포르
(2차예선 E조 3위)
베트남
(2차예선 F조 3위)
마카오[2]
(1차예선)
필리핀
(2차예선 H조 3위)
네팔[3]
(1차예선)
아프가니스탄
(2차예선 E조 4위)
미얀마
(2차예선 G조 4위)
바레인
(2차예선 H조 4위)
캄보디아
(PO A경기 승자)
예멘
(PO B경기 승자)
타지키스탄
(PO C경기 승자)
말레이시아
(PO D경기 승자)
인도
(PO E경기 승자)
몰디브
(PO F경기 승자)
부탄
(PO G경기 승자)
대만
(PO H경기 승자)


3. 조 편성[편집]




4. 경기 진행[편집]




4.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attachment/IND_Flag.jpg인도5410103+713본선 진출
2파일:attachment/KGZ_Flag.jpg키르기스스탄421176+17
3파일:attachment/MMR_Flag.jpg미얀마412185+35
4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png마카오5005415-110예선 탈락

4.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attachment/LBN_Flag.jpg레바논5410123+913본선 진출
2파일:attachment/PRK_Flag.jpg북한52211110+18
3파일:attachment/HKG_Flag.jpg홍콩512245-15
4파일:attachment/MYS_Flag.jpg말레이시아5014413-91예선 탈락

4.3. C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attachment/JOR_Flag.jpg요르단5320154+1111본선 진출
2파일:attachment/VNM_Flag.jpg베트남523082+69본선 진출
3파일:attachment/KHM_Flag.jpg캄보디아5104215-133예선 탈락
4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png아프가니스탄503259-43예선 탈락

4.4. D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attachment/PLE_Flag.jpg팔레스타인5500252+2315본선 진출
2파일:attachment/OMN_Flag.jpg오만5401275+2212본선 진출
3파일:attachment/MDV_Flag.jpg몰디브5104419-153예선 탈락
4파일:attachment/BTN_Flag.jpg부탄5005232-300예선 탈락

4.5. E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attachment/BHR_Flag.jpg바레인5311113+810본선 진출
2파일:attachment/TKM_Flag.jpg투르크메니스탄531196+310본선 진출
3파일:attachment/TWN_Flag.jpg대만5203612-66예선 탈락
4파일:attachment/SGP_Flag.jpg싱가포르502338-52예선 탈락

4.6. F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attachment/PHL_Flag.jpg필리핀5230117+49
2파일:예멘 국기.png예멘513154+17
3파일:attachment/TJK_Flag.jpg타지키스탄521297+27
4파일:attachment/NPL_Flag.jpg네팔502329-72예선 탈락
[1] 위키피디아 한국어판[2] 쿠웨이트는 피파로부터 자격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이다. 2017년 1월 11일까지 해제되지 않으면 아시안컵 예선에 참가할 수 없게 된 상황이었는데 징계가 해제 되지 않으면서 결국 2016 솔리더리티컵에서 준우승한 마카오가 참가하게 되었다.[3] 괌이 기권을 선언하면서 AFC 솔리더리티컵에서 우승한 네팔이 대리 참가를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