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ain(태사자)

덤프버전 : (♥ 0)


太 四 子
태사자
김형준이동윤박준석김영민
[ 역대 음반 ]
파일:태사자_정규1집.jpg
파일:태사자_정규2집.jpg
파일:태사자_정규3집.jpg
파일:태사자_정규4집.jpg
太四子
정규 1집 1997.11.26
太四子 二
정규 2집 1998.08.01
2000-1
정규 3집 1999.07.01
도약(跳躍)
정규 4집 2000.06.20

곡명Again
재생시간4:20
아티스트태사자
수록 앨범정규 4집 도약(跳躍)
발매일2000년 6월 20일
작사홍지유
작곡전홍준
편곡김진권


1. 개요
2. 뮤직비디오
3. 가사
4. 무대
5. 여담


1. 개요[편집]


태사자의 4집 타이틀곡. 원래 타이틀곡으로 내정했던 'Episode'가 가사중 '뻑이가 뻑가'라는 구절이 있다는 이유로 방송 금지를 먹는 바람에 원래 후속곡으로 내정했던 이 곡을 타이틀곡으로 바꿔 활동했지만 20위권 안팎의 순위를 기록하면서 예전과 같은 인기는 얻지 못했다.[1]


2. 뮤직비디오[편집]


<Again> MV


3. 가사[편집]


김형준 이동윤 박준석 김영민
아픔이 슬픔이 눈물처럼 흘러가면
식어지겠지 말라가겠지
나의 소중했던 꿈 나의 멋진 바램을
가렸었던 저 그늘 날려버린 저 하늘
흩어져버린 My steet time
and my sweet rhyme
내가 그대가 서러움에 슬픔을 겪어야 했던
시련은 가져가 무너져 가는 you and I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미련으로 남는가
말하지 그랬니 너의 미소가
시들어 가는 걸 나는 몰랐어
행복했었던 순간들은 영원히
함께할 거라고 믿어왔어
또 다른 세상이 너를 원해도
나만의 너를 놓지 않아
내 가슴속에 하나뿐인 건 너
이젠 헤어지자고 다신 보지 말자고
맘속에 없는 말 나에게 던져버리고 가지마
받기만 했던 사랑 돌려주지 못해
난 가슴 아파해 도무지 막지 못해
정신 없어해 누구도 내게 힘이 되지 못해
내 품 안에 잠든 너를 하염없이 바라봐
이별이 없는 세상으로 멀리 멀리
너만이 남긴 흔적만 내 품에 남겨진 채
Sometimes 나의 눈물이 Sometimes 나의 사랑이
너 없는 세상 끝까지 채워져 가겠지
슬픈 나의 눈물이 아픈 나의 사랑이
너를 깨울 수 있는 그 날까지
외로움에 벽에 갇힌 나 외로움에 나
살아갈 내일이 다가오질 않아 나
시커먼 어둠속에 희망조차 없는 곳에
있는 듯한 버려진 내 모습
난 언제나 이땅에 이 슬픔에
고개숙여 살아가야 하는가
나를 내려다 볼 너에게
우리 아름답던 지나간 날들 보여주고 싶지만
{{{#e61919 우리 둘만의 포근한 love again 날 미치게 했던 건 바로 not again 나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너에게 지금 이 곳에서 그 곳으로 나의 맘을 던져 주저 앉아 있는 나에게 힘을 좀 줘 비록 멈춰 버린 추억 그 기억 잠시라도 잊으면서 살 수 있게 미쳐가는 나를 위해
힘을 줘 나 지쳐}}} 너무나 많은걸 네게 바랬던
부족했던 나를 이해해주길
그리움으로 가슴 가득 얼룩진
두 손을 모아서 기도했어
보이지 않아도 끝낼 수 없는 건
우리의 사랑인걸 알아
남겨진 내게 새겨져 있는 너
어둠을 비켜가는 새벽도 나의 마음을
비출 수 없는 건 너로 인해 스며든
서글픔 때문이 아닐까
나 너로 인해 슬퍼져만 가나
{{{#FFE135 Sometimes 나의 눈물이 Sometimes 나의 사랑이 너 없는 세상 끝까지 채워져 가겠지 슬픈 나의 눈물이 아픈 나의 사랑이 너를 깨울 수 있는 그 날까지 I never see you again 살아갈 수가 없어 멀어져가는 my love 막을 수 없는 운명인걸 나의 사는 날까지 나의 마지막까지 널 향한 나의 마음을 하늘에 바칠게 Blue sky 외롭지 않아 나의 그녀 안에서
내안에 너를 I will always love you}}}


4. 무대[편집]




5.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5:10:51에 나무위키 Again(태사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0년 뒤, GD&TOP의 '뻑이가요'라는 곡도 같은 이유로 방송금지를 먹었다. 영어 욕설과 비슷하게 들린다는 점을 염두에 둔 듯 하지만 제제가 과도하다는 비판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