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este/모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Celeste



1. 개요
2. 난이도 분류 체계
2.1. 최상위 난이도 분류 체계
2.2. 황금 딸기 난이도 분류 체계
3. 콜라보레이션 모드
4. 단일 모드
4.1. 초보자
4.2. 중급자
4.3. 상급자
4.4. 전문가
4.5. 그랜드마스터
4.6. 그랜드마스터+ 이상
4.6.1. 리스트에 등재되지 않은 맵들
4.6.2. 1 Star (⭐)
4.6.3. 2 Star (⭐⭐)
4.6.4. 3 Star (⭐⭐⭐)
5. 리텍스쳐 모드
6. Helper 모드


1. 개요[편집]


Celeste에는 바닐라 컨텐츠 외에도 유저들이 직접 제작한 다양한 모드들이 존재한다. 유저맵들의 난이도는 본편의 A사이드 수준부터 TAS 기술들을 요구하는 수준까지 매우 넓다. 여기에서 인기 있는 모드들의 목록을 확인해볼 수 있다. 2020년에 모드 Spring Collab이 나오면서 셀레스트 모드의 난이도 분류 체계가 만들어졌고, 그 이후로는 유저 맵의 난이도를 평가할 때 대부분 아래와 같은 5+2단계의 기준을 사용한다.


2. 난이도 분류 체계[편집]


이 게임은 기본적으로 수많은 기술을 가지고 있고, 모드 유저들은 자신들의 맵에 다양한 기술들을 적극 활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들은 일부 기본적인 것을 제외하면 게임에서 가르쳐주지도 않으며, 각 기술을 익히기 위한 숙련도가 천차만별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의 개인차를 최대한 배제하면서도 모드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기준으로 난이도가 구분되어 있으며, 그 난이도에 해당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어떤 기술이 어떤 난이도에 해당하는지는 Celeste/기술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술을 배우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튜토리얼 동영상을 보거나 Strawberry Jam Collab의 훈련장(Gym)을 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1]

이 기술의 난이도 배정은 모딩 커뮤니티의 '약속'으로서, 특정한 난이도의 맵은 해당 기술을 플레이어가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제작된다. 예를 들어 리버스 웨이브대시(reverse wavedash)가 상급 기술이므로, 상급 수준의 맵에서는 튜토리얼 없이 리버스 웨이브대시를 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 높은 등급으로 갈수록 구사해야 하는 기술의 난이도가 올라가는데, 고급 기술들의 경우 프레임 단위의 조작을 요구하기도 한다. 중급자까지의 기술은 대체로 게임에서 알려주지만, 상급자 기술부터는 날개 달린 황금 딸기를 제외하면 본편을 클리어[2]하는 데에 사실상 필요가 없다.

난이도
설명
각 난이도별 요구되는 기술
(본편 100% 클리어에 필요한 기술은 볼드체로 표시)
초보자
Beginner

본편의 A사이드(1~8챕터)와 1B-2B 수준의 난이도로, 이제 막 노말 엔딩(7챕터)을 달성한 유저가 플레이하기에 적합하다. 모드 중에서는 가장 쉬운 편이지만, 아직 본편을 클리어하지 않은 입문자는 어렵게 느낄 수 있다.
블록 가속, 들것 가속, 꿈 블록 점프, 꿈 블록 잡기
중급자
Intermediate

본편 3B-8B, 1C-6C, 9(Farewell)를 전반적으로 포함하는 난이도이다. 초보자 맵이나 B사이드에 자신이 붙었다면 도전할만하다.
월바운스, 슈퍼대시, 하이퍼대시, 웨이브대시, 연장된 기술, 해파리 고쳐잡기, 급강하, 방울 대시 기술, 방울 캔슬
상급자
Advanced

7C, 8C, EH-16[3] 이상의 난이도로, 본편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기술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보다 높은 안정성이 요구된다.
공중 슈퍼대시, 리버스 기술, 하이퍼 버니합, 중립 점프[ʚɞ], 웅크리기 등반 점프, 젤리베이터, 테오 고쳐잡기, 지연된 블록 가속, 폭발 가속, 선입력[ʚɞ]
전문가
Expert

본편의 모든 컨텐츠보다 확실히 어려운 난이도로, 스피드런이나 모드에서 사용되는 핵심 고급 기술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기술들이 손에 익도록 숙련되어야 수월한 진행이 가능하다.
울트라대시, 다단 블록 가속, 꿈 블록 슈퍼대시, 꿈 블록 하이퍼대시, 꿈 블록 월바운스, 모서리 가속[ʚɞ], 모서리 점프[ʚɞ], 테오베이터, 들것 등반 점프, 해파리 중립 점프, 들것 납치, 코요테 점프[ʚɞ]
그랜드마스터
GrandMaster

게임에 고도로 숙련된 사람들을 위한 매우 어려운 난이도이다. 대부분의 기술들이 프레임·픽셀 단위로 동작을 이해할 것을 요구하며, 전문가 이하 단계의 기술들에 대해서는 100%에 가까운 안정성을 요구한다.
체인 울트라대시, 지면 울트라대시, 데모대시, 데모하이퍼, 아치, 코너 킥[ʚɞ], 가시 월바운스, 수정 가시 월바운스, 월바운스 캔슬, 등반 점프 캔슬, 오버클럭, 꿈 블록 이단 점프, 백부스트, 문부스트, 깃털 기술, 코어 하이퍼, 가시 점프, 리스폰 블록 기술, 슈퍼웨이브
GM+1
이전에는 인간의 영역이 아니라고 여겨졌으나 유저들의 수준이 상향평준화 되면서 하나의 난이도로 자리잡게 되었다.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서브픽셀 단위의 조작이 필요한 경우도 많다. 최상위 모드 맵들이 배정받는 난이도이다.
실링 팝, 지연된 모서리 가속, 리버스 모서리 가속, 이중 모서리 가속, 방울 상태 유지 기술
GM+2
현존하는 가장 어려운 맵들 중 극소수가 배정받는다. 클리어자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기 때문에 GM+1과 GM+2를 가르는 명확한 기준도 없다.
GM+1부터는 웬만한 고인물이 아니면 플레이할 일이 없기 때문에 그 이상의 난이도는 단순히 GM+(숫자)로 부른다.

하지만 기술 난이도를 기준으로 삼음으로 인해 각 난이도 등급 내에서 큰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더 어려운 기술이 사용되었더라도 정작 난이도 자체는 (해당 기술에 숙련되었다는 가정 하에) 더 쉬운 경우가 있고, 쉬운 기술만으로도 매우 어려운 난이도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난이도마다 4단계의 세부 기준이 적용되었다.

한편 게임이 출시된 지 5년이 지나는 동안 Spring Collab 2020보다 더 어려운 맵들이 우후죽순 등장하였고, 결정적으로 2023년에 Spring Collab보다 훨씬 더 어려워진 Strawberry Jam Collab이 나오면서 어려운 맵의 평가 기준에 상향평준화가 이루어졌다.[4] 현재의 난이도 분류로는 Spring Collab의 웬만한 Red 맵들이 Green 수준으로 평가되며, Yellow 이하의 맵들은 아예 한 등급 아래의 난이도로 평가받기도 한다. 아래의 표는 2023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이전의 서술과는 달라진 부분이 있을 수 있다.

Green
쉬움

등급 내에서 쉬운 편인 맵이 속한다. 맵은 쉽더라도 그 난이도의 기술을 요구할 경우 가급적 Green에 배정할 것이 권장되므로, 정작 컨트롤은 전 등급의 Red(어려움)에 속하는 레벨보다도 쉬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Green 맵들은 기술을 연마하기에 좋다.
Yellow
보통

너무 어렵지도 쉽지도 않은, 등급 내의 표준적인 난이도이다. 해당 등급에서 요구하는 기술들을 편하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유저 맵의 난이도 등급을 매길 때나 기술 요구도를 논할 때에 기준점으로 사용된다.
Red
어려움

등급 내에서 어려운 편인 맵들이 배정받는 난이도이다. 해당 등급에서 요구되는 기술이 응용되거나 연속으로 빠르게 해야 하는 경우가 등장하기도 하며, 높은 안정성이 필요하다.
Cracked
매우 어려움

해당 등급에 들어가기에는 너무 어려워서 상위 등급으로 올라가도 무방한 수준의 맵들이 배정받는 난이도이다. 보통은 상위 등급에 배정하지만, (1) 난이도는 어렵지만 상위 난이도의 기술은 사용하지 않으며 (2) 캠페인(여러 챕터가 포함된 모드)에서 상위 난이도를 따로 만들기에는 맵 개수가 너무 적어 애매할 경우 매우 어려움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초보자-그랜드마스터의 5챕터로 분류된 Strawberry Jam Collab에서는 4개의 GM+1 수준의 맵이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난이도를 따로 분류하기에는 개수가 너무 적고 사용하는 기술도 그랜드마스터 수준이므로 GM+1 대신 매우 어려움(Cracked Grandmaster)으로 배정되었다.

만약 이 기준에 맞추어 본편이 모드로 출시되었다면 대략 아래와 같이 넓게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딸기를 제외한 클리어 기준이다. 셀레스트 서브레딧의 주류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개인차가 큰 부분인 만큼 참고용으로만 보는 게 좋다.
난이도 분류
Green
쉬움

Yellow
보통

Red
어려움

Cracked
매우 어려움

초보자
Beginner

5A챕터: 거울 세계 진입 전까지[5]
거울 세계 진입 후 ~ 정상
코어(8A), 1B, 2B

중급자
Intermediate

3B ~ 5B
6B ~ 8B, 1C ~ 2C
3C ~ 6C
7C ~ 8C, Farewell[6]


2.1. 최상위 난이도 분류 체계[편집]


그랜드마스터보다 어려운 난이도를 보통 GM+n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구분 기준이 유저들 간에 명확히 합의되지 않았고, 난이도 명칭도 GM+1 대신 'celestial'이나 'astral'을 주장하는 유저도 있는 등 현재 난이도 체계가 불완전하다. 그러나 많이 어려운 GM+1 이상 난이도의 맵들은 Celeste's Hardest Map Clear List에 기록되며, 클리어를 증명하면 셀레스트 공식 디스코드를 통해 리스트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 리스트에서는 다음과 같이 3점의 별점 체계로 최상위 맵들을 분류한다.
  • 1 Star (⭐): Darkmoon Ruins보다 어려운 Green GM+1 맵.
  • 2 Star (⭐⭐): GM+1 Yellow~Red 맵.
  • 3 Star (⭐⭐⭐): GM+2 이상의 맵.


2.2. 황금 딸기 난이도 분류 체계[편집]


커스텀 맵들도 노 데스로 클리어하면 황금 딸기를 먹을 수 있으며, 이것 또한 클리어를 증명하면 셀레스트 공식 디스코드를 통해 Custom Map Golden Strawberry List에 기록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본편에서 가장 어렵다는 Hell Trio (6B, 7B, 8B)보다 어려운 황금 딸기를 먹은 기록은 Top Golden List에 등록되며, 난이도에 따라 Tier 7부터 Tier 0까지 8종류의 티어(Tier)로 나뉘어진다. Tier 7은 6~8B 황금 딸기보다 어려운 것으로 정의되고, Tier 3는 Farewell 황금 딸기보다 어려운 것으로 정의된다.


3. 콜라보레이션 모드[편집]


여러 사람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모드이다. 맵을 초보자, 중급자, 상급자, 전문가, 그랜드마스터의 5가지 난이도 체계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자신만의 독특한 난이도 분류를 사용하는 콜라보레이션 모드도 있다. 모드의 규모가 클 경우에는 각각의 난이도에 따라 로비가 존재하고, 각 로비에는 해당 난이도에 속하는 맵들에 입장할 수 있는 포탈이 있는 식으로 구성된다.
  • The 2020 Celeste Spring Community Collab: 약칭 Spring Collab. 2020년에 만들어진 첫 대규모 합작 모드로, 이 모드를 통해 5가지의 난이도 분류 체계가 만들어졌다. 80개의 일반 맵과 5개의 하트사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 Celeste 2021 Winter Collab: 약칭 Winter Collab. 14개의 맵과, 그 맵들을 두 개씩 짝지어 기믹을 섞어서 제작한 7개의 '퓨전 맵', 그리고 모든 기믹을 사용하는 1개의 '퓨전사이드(Fusion Side)'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모드는 온도계를 사용한 5등급의 난이도 분류 체계를 사용하는데, 겨울 컨셉인 만큼 온도가 낮을 수록 어려운 맵이다. 난이도가 전문가 수준 근처에 몰려 있으므로 초심자에게는 권하지 않는다. 트레일러
대략적인 난이도 분류는 다음과 같다.
Winter Collab 분류
표준 분류
Blue (고온)
~상급자
Green
전문가 Green
Yellow
전문가 Yellow
Red
전문가 Red
Frozen (저온)
그랜드마스터~
  • Strawberry Jam Collab: 2023년에 공개된 사상 최대의 합작 모드로, Spring Collab과 같이 5가지의 난이도 분류 체계를 사용하지만 Spring Collab보다 전체적인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Secret Santa Collab 시리즈: 2022년부터 매년 제작되고 있는 모드이다. 원래 맵 제작자들이 서로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자작맵을 선물해 준다는 컨셉이지만, 항상 제작 지연으로 출시가 크리스마스에서 몇 달씩 밀리는 것이 함정이다.
    • The 2022 Secret Santa Collab: 중급자부터 그랜드마스터 수준까지 22개의 맵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일러
    • The 2023 Secret Santa Collab: 출시 기준 세 번째로 규모가 큰 모드로, 43개의 맵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이도별로 3개의 로비로 분류되며 Easy Lobby는 초보자~중급자, Medium Lobby는 상급자~전문가, Hard Lobby는 그랜드마스터 이상이 포함된다. 트레일러


4. 단일 모드[편집]


단일 난이도 분류로서 존재하는 모드들이다. 1인 제작, 다인 제작 모두 있다.

4.1. 초보자[편집]



4.2. 중급자[편집]



4.3. 상급자[편집]



4.4. 전문가[편집]


  • The Solaris System: 본편 9챕터 컨셉의 캠페인. 차이점은 3단 대시가 있고, 9챕터에는 없는 일반 딸기들이 있으며, 본편에서 안가르쳐주는 상급자 기술인 젤레베이터를 자주 쓴다.
  • Farewell B-Side: B 사이드가 없는 챕터 9의 팬메이드 B 사이드 맵이다. 본 챕터의 특징적인 빌드와 맵들을 고증하면서 더 어렵게 만든 B 사이드다운 맵으로, 전문가 난이도의 모드들 중에서도 손꼽히는 퀄리티를 자랑한다.
  • Farewell C-Side: 챕터 9의 팬메이드 C 사이드이다. 맵이 3개뿐인 C 사이드답게 단 3개의 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마지막 맵은 매우 정교한 해파리 컨트롤을 요한다. 몇몇 부분들이 지나치게 빡빡한 편이라 타이밍을 암기하는 것이 좋다.

4.5. 그랜드마스터[편집]


  • Monika's D-Sides: Monika523이라는 유저가 만든 모드이다. 본편이 C 사이드까지 있는 것을 감안하여, 이전의 모든 사이드보다 더 난이도가 높고 길이가 긴 D 사이드가 챕터 1부터 8까지 존재한다. 특이하게도 B, C 사이드가 없는 챕터 9에 대한 D 사이드도 존재하는데, 이 챕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엄청난 분량[7]으로 인해 액면 난이도 자체는 그랜드마스터 하위권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클리어자가 손에 꼽는다.
  • Vivid Abyss: 구름 슈퍼웨이브와 케빈 블록 컨트롤, 데모하이퍼, 코너 킥, 체인 울트라대시 등 각종 그랜드마스터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고난도 모드이다.
  • Etselec: 바닐라 맵을 거꾸로 진행하는 모드이다. 당연히 100% 거꾸로는 아니고, 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트리거의 위치가 약간 바뀌어 있거나 대시 수정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다.

4.6. 그랜드마스터+ 이상[편집]


위에 적혀져있는 최상위 난이도 분류 체계에 따라서 4가지 분류로 나뉘었다.

4.6.1. 리스트에 등재되지 않은 맵들[편집]


  • Hell Gym: 본편은 몰론 왠만한 그랜드마스터 훈련장에서도 배울 수 없는 기술들을 알려주는 맵이다.
  • Chapter 3 L-Side (Celestial Resort): 셀레스티얼 리조트를 개조한 픽셀 퍼펙트가 난무하는 맵. 원래는 리스트에 등재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유저들에게 3L이 Lunar Ruins보다 더 쉽다고 평가되면서 리거시 리스트로 옮겨졌다.

4.6.2. 1 Star (⭐)[편집]


  • 7D(single dash ver.): Monika523의 챕터 7 D 사이드를 약간 개조한 맵으로, 흔히 7D1D라고 불린다. 해당 맵의 전 구간을 2단 대시 없이 진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원본에서는 의도하지 않았던 대시 수정 재생성을 이용한 각종 괴상한 빌드를 통해 맵을 클리어해야 한다. 신버전과 구버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구버전은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 후술할 D1D7이라는 괴물이 탄생하는 데에 기여한 모드이다.

4.6.3. 2 Star (⭐⭐)[편집]



4.6.4. 3 Star (⭐⭐⭐)[편집]


  • Crystal Garden:
  • D1D7: 현재 셀레스트의 몇 안 되는 GM+2급으로 평가받는 모드이다. 상술한 7D1D를 거꾸로 진행해야 하는데, 아주 최소한의 수정만을 가한 터라 수많은 픽셀·프레임 퍼펙트 구간들을 격파해야 한다. 이 중 '2k-3'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맵은 정상급 플레이어도 수십-수백 시간을 투자해야 겨우 깰까말까 한 수준의 흉악한 난이도를 자랑한다.2k-3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영상
  • Dashless+: 대시를 사용할 수 없는 본편 챕터 1을 극악으로 개조한 GM+2맵.

5. 리텍스쳐 모드[편집]


모드에는 유저 맵 이외에도 매들린의 모습을 바꾸는 스킨 모드(Skin Mod), 또는 게임 내 오브젝트의 모습을 바꾸는 모드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매들린의 모습을 니코(원샷)으로 바꾸거나 쌍안경에 고양이 귀를 달아줄 수도 있다.

6. Helper 모드[편집]


모드를 플레이하면 일방통행 벽, 트리거 가시, 포탈 등 바닐라에서 볼 수 없는 커스텀 엔티티들이 등장한다. 이것들은 각 모드마다 내장된 것이 아니라 Helper라고 불리는 외부 모드에서 불러오는 것으로, 이러한 커스텀 엔티티가 등장하는 모드를 플레이하려면 해당하는 Helper 모드가 자동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어떤 엔티티가 어떤 Helper 모드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1] 훈련장에서는 각 난이도마다 요구하는 기술을 차례대로 알려주며, 본 콜라보는 한국어를 지원하며 모든 설명 텍스트가 번역되어 있어 모드 입문자라면 더욱 이 훈련장을 권장한다.[2] 어디까지나 클리어 기준이다. 스피드런으로 들어가기 시작하면 전문가, 그랜드마스터 기술들이 수도 없이 사용된다.[3] 챕터 9(Farewell) 중반부에 있는 맵으로, Comb Room이라고도 불린다. 해당 챕터에서 가장 어려운 맵 중 하나로 악명이 높다. 파일:combroom.png[ʚɞ] A B C D E F 날개 달린 황금 딸기 획득 시에만 필요[4] 다만 초보자와 중급자 맵의 경우 유입되는 신규 유저를 배려하기 위해 난이도가 비슷하거나 더 쉬워진 부분도 있다.[5] 단 3챕터의 일부 어려운 화면은 보통 수준이다.[6] 상급자 수준의 화면이 일부 존재하지만, 맵의 대부분이 중급자 수준이며 중급 기술만을 사용하고, 상급자 난이도를 따로 만들기에는 맵 개수가 너무 적어 매우 어려움으로 분류할 수 있다.[7] 깬 장면만 이어붙인 공략 영상이 3시간에 가까운 엄청난 길이를 자랑한다. 심지어 TAS 영상조차 50분 가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2 05:14:01에 나무위키 Celeste/모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