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X01 리니어 모터카

덤프버전 : r (♥ 0)



[ 펼치기 · 접기 ]
내수용
파일:JRC-SKS.svg츄오L0
도카이도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파일:JRW-SKS.svg산요
호쿠리쿠E2 - E7·W7
파일:JRE-SKS.svg
도호쿠200 - 400 - E1 - E2 - E3 - E4 - E5·H5 - E6 - E7·W7 - E8
야마가타400 - E3 - E8
아키타E3 - E6
조에츠200 - E1 - E2 - E3 - E4 - E7
파일:JRH-SKS.svg홋카이도E5·H5
파일:JRK-SKS.svg큐슈800 - N700
니시큐슈N700S
계획 파기
코시츠 히카리1
수출용
THSR700T
CRHCRH2
HS1Class 395
기술개발/사업용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닥터옐로우 - WIN350 - 스타21 - 300X - FASTECH 360 - E956형 - 궤간가변열차 - MLX01
1. 1981년에 계획된 야간용 침대열차 신칸센


파일:JR 총연 로고.svg
MLX-01 리니어 모터카>
MLX-01 リニアモーターカー
MLX-01 Linear motor Ca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MLX01-1_SCMaglev_and_Railway_Park.jpg
차량 정보
열차 형식시험용 리니어 모터카
구동방식초전도 자기부상방식
편성3량, 4량, 5량 9편성
도입 노선츄오 신칸센(시험선)
운영1996년 ~ 2011년
제작사일본차량제조
미쓰비시 중공업

1. 개요
2. 역사와 특징



1. 개요[편집]


야마나시 시험선에서 연구개발목적으로 시험운행하기위해 제작된 자기부상차량이다.


2. 역사와 특징[편집]


초전도 리니어 방식은 국철 시절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2년 전인 1962년부터 철도기술연구소[1]에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1972년 자기부상 주행에 성공, 이후 1977년에는 약 7km 길이의 미야자키 실험선으로 옮겨서 실험을 시작해서 1979년 12월 무인차량이었던 ML500 차량이 517km/h의 속도로 성공을 하게 된다. 이후 탑승용 차량을 제작하는 등의 실험을 진행했지만 500km/h 이상의 속도를 오래 낼 수 있는 길고 다양한 조건의 새로운 실험선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결과 1996년 42.8km 길이의 야마나시 리니어 실험선이 생기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실험용 차량인 MLX01 차량을 4량 1편성으로 투입해서 주행시험을 시작했다.[2]

MLX01는 3량으로 구성된 제1편성, 4량으로 구성된 제2편성 이후 2002년 추가로 2량의 차량까지 총 9량이 제조되었으며 여러 시험주행과 개조를 거쳐서 2009년까지 시험주행을 하였다. 최고 속도로는 1997년 12월 24일 550㎞/h를 달성하였다. 사용 종료 후 현재는 리니어 철도관에 정태 보존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7 03:07:35에 나무위키 MLX01 리니어 모터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JR의 철도종합기술연구소의 전신.[2] 현재 미야자키 실험선으로 사용됐던 남쪽의 일부 구간은 민간기업이 궤도 위에 태양광 전지판을 설치해서 태양광 발전소로 사용 중이며 시험선 중간에는 에어로트레인 시험주행하는 구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역 하나 정도 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