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ILLAIN'S NIGHT
덤프버전 : r20230302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MV와 풀콤보 영상을 다크모드를 적용한 테이블로 접고 펼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할로윈을 테마로 한 곡으로, Halloween♥Code과 アンデッド・ダンスロック에 이어서 패션 타입에도 할로윈 곡이 생겼다.
참여 인선 중에 명예패션 소리를 들어오던 프레데리카가 껴있다.
이벤트 시작하기 전 10월 9일에 성우 쿠로사와 토모요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양성 확진이 나오는 해프닝이 있기도 했다.
2020년 10월 재화 수집 이벤트 이벤트곡으로 등장했다.
뮤비 중 아이돌의 입을 보면 송곳니가 보이는 장면들이 있으며, 같은 호러 분위기인 언데드 댄스 록, Fascinate과 유사하게 스릴러(마이클 잭슨)의 동작을 일부 따온 안무가 보인다.
2D MV는 말 그대로 할로윈 분위기를 넘어 정말 쁘띠 버전 호러물을 보는 듯한 묘사.[3]
God knows...와 더불어 27레벨 양대 플릭 지옥곡.
MASTER 패턴은 플릭이 핵심인데, 역대급 플릭 인식 지옥을 보여준다. 동시치기 한 번+계단의 반복으로 시작을 끊고, 초반에 롱노트 끝에 지그재그 플릭이 짧게 붙어 나오고, 코러스 구간에서는 플릭 위주의 복합 구간이 콤보를 잇기 쉽지 않다. 양손 지그재그 플릭을 빠르게 긋는 것도 풀콤보 도전시 장애물. 후반부에서는 초반부의 그 지그재그 플릭이 보다 더 강화되어 나온다. 플릭 판정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은 MASTER+보다 더 어렵다고 평가한다. 그밖에 한 손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한 손으로 연타를 시키는 등 27레벨은 커녕 비밀의 투왈렛 MASTER에서나 나올 법한, MASTER 레벨에 나와서는 안 될 수준의 플릭 패턴도 등장하는 불렙곡. 기존의 27레벨 패션곡들과는 차원이 다른 게, 플릭의 난해함이 츠보미, Fascinate, 맹렬 세상개혁 길티, 염원의 꽃 그 이상이고, 플릭의 인식 불량이 유난히 심한 편인데다, 이 곡 정도의 노트수는 27레벨 외에도 26, 28레벨에서도 심심찮게 보이는 편이고, 다른 27레벨 패션곡들이 단타 물량 패턴을 앞세우는 것이 대다수여서 더 부각된다. 데레스테가 얼마나 플릭 인식 개선에 소홀했는지 보여주는 증거이다. 설상가상으로 까다로운 탭노트 박자 쪼개기까지 가세한다.
레거시 MASTER+ 패턴은 플릭과 롱노트가 존재하지 않고, 슬라이드 조차도 복잡한 패턴은 거의 없으나, 패션타입 고물량 채보답게 탭노트에 비중을 몰빵해놓았다. 제일 걸림돌이 되면서 개인차를 가르는 건 8비트 탭노트 쌍타 사이에 16비트로 끼어드는 탭노트 단타와, 16비트로 내려오는 동시치기이다. TOKIMEKIエスカレート와는 다르게 16비트 동시치기가 제자리 연타가 아닌게 있다. 여담으로 노트수는 969인데, 黒く(くろく, 검게)의 고로아와세이다.
2021년 2월 8일 정식 MASTER+ 패턴이 추가됐다. 노트 수에 고로아와세를 넣은 만큼 969노트수를 유지하면서 31마디, 47마디, 56마디에서의 탭노트 위치를 변화시켰다.
MASTER든 MASTER+든 군데군데 시각적으로 꼬아놓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부분들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8 13:54:04에 나무위키 THE VILLAIN'S NIGH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MV와 풀콤보 영상을 다크모드를 적용한 테이블로 접고 펼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편집]
할로윈을 테마로 한 곡으로, Halloween♥Code과 アンデッド・ダンスロック에 이어서 패션 타입에도 할로윈 곡이 생겼다.
참여 인선 중에 명예패션 소리를 들어오던 프레데리카가 껴있다.
이벤트 시작하기 전 10월 9일에 성우 쿠로사와 토모요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양성 확진이 나오는 해프닝이 있기도 했다.
2.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편집]
2020년 10월 재화 수집 이벤트 이벤트곡으로 등장했다.
뮤비 중 아이돌의 입을 보면 송곳니가 보이는 장면들이 있으며, 같은 호러 분위기인 언데드 댄스 록, Fascinate과 유사하게 스릴러(마이클 잭슨)의 동작을 일부 따온 안무가 보인다.
2D MV는 말 그대로 할로윈 분위기를 넘어 정말 쁘띠 버전 호러물을 보는 듯한 묘사.[3]
God knows...와 더불어 27레벨 양대 플릭 지옥곡.
MASTER 패턴은 플릭이 핵심인데, 역대급 플릭 인식 지옥을 보여준다. 동시치기 한 번+계단의 반복으로 시작을 끊고, 초반에 롱노트 끝에 지그재그 플릭이 짧게 붙어 나오고, 코러스 구간에서는 플릭 위주의 복합 구간이 콤보를 잇기 쉽지 않다. 양손 지그재그 플릭을 빠르게 긋는 것도 풀콤보 도전시 장애물. 후반부에서는 초반부의 그 지그재그 플릭이 보다 더 강화되어 나온다. 플릭 판정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은 MASTER+보다 더 어렵다고 평가한다. 그밖에 한 손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한 손으로 연타를 시키는 등 27레벨은 커녕 비밀의 투왈렛 MASTER에서나 나올 법한, MASTER 레벨에 나와서는 안 될 수준의 플릭 패턴도 등장하는 불렙곡. 기존의 27레벨 패션곡들과는 차원이 다른 게, 플릭의 난해함이 츠보미, Fascinate, 맹렬 세상개혁 길티, 염원의 꽃 그 이상이고, 플릭의 인식 불량이 유난히 심한 편인데다, 이 곡 정도의 노트수는 27레벨 외에도 26, 28레벨에서도 심심찮게 보이는 편이고, 다른 27레벨 패션곡들이 단타 물량 패턴을 앞세우는 것이 대다수여서 더 부각된다. 데레스테가 얼마나 플릭 인식 개선에 소홀했는지 보여주는 증거이다. 설상가상으로 까다로운 탭노트 박자 쪼개기까지 가세한다.
레거시 MASTER+ 패턴은 플릭과 롱노트가 존재하지 않고, 슬라이드 조차도 복잡한 패턴은 거의 없으나, 패션타입 고물량 채보답게 탭노트에 비중을 몰빵해놓았다. 제일 걸림돌이 되면서 개인차를 가르는 건 8비트 탭노트 쌍타 사이에 16비트로 끼어드는 탭노트 단타와, 16비트로 내려오는 동시치기이다. TOKIMEKIエスカレート와는 다르게 16비트 동시치기가 제자리 연타가 아닌게 있다. 여담으로 노트수는 969인데, 黒く(くろく, 검게)의 고로아와세이다.
2021년 2월 8일 정식 MASTER+ 패턴이 추가됐다. 노트 수에 고로아와세를 넣은 만큼 969노트수를 유지하면서 31마디, 47마디, 56마디에서의 탭노트 위치를 변화시켰다.
MASTER든 MASTER+든 군데군데 시각적으로 꼬아놓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부분들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3. 가사[편집]
3.1. Game VERSION[편집]
3.2. M@STER VERSION[편집]

[3] 묘하게도 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와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