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臥}}}누울 와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ふしど, ふ-す, ふ-せ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臥는 '누울 와'라는 한자로, '눕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신하 신)과 (사람 인)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신하가 땅에 엎드려 있는 것이 기본 자세이기 때문에 '엎드리다', '눕다'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81E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尸中人(SLO)으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반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𡤿(구멍 공)[1]
  • 𡉇(흙덩이 괴)[2]
  • (무리 대)
  • 𣅁(자루 대)[3]
  • (이랑 무/묘)[4]
  • 𣍞/𦨈(옷 복)[5]
  • 𦍏(흰양 분)
  • (기를 사)[6]
  • 𣦹(죽을 사)[7]
  • (나부낄 언)
  • (써 이)[8]
  • 𢎢(끌 인)[9]
  • (인어 인)
  • (지붕들보 인)
  • (물굽이 측)
  • (몸을숨겼다가갑자기나와서사람을놀라게하는소리 혹)
  • 𠆧
  • 𥃱
  • 𨊤
  • 𫎀
  • 𨤿
  • 𩡮


7. 여담[편집]


  • '사서삼경을 다 읽어도 누울 와 자가 제일'이라는 속담이 있다. 게으른 사람이 누워서 뒹굴며 자신의 행동에 핑계를 대는 모양을 이르는 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1:48:3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멍 공)의 고자[2] (흙덩이 괴)의 동자[3] (자루 대)의 속자[4] (이랑 무/묘)의 속자[5] (옷 복)의 고자[6] (기를 사)의 동자[7] (죽을 사)의 동자[8] (써 이)의 동자[9] (꿀 인)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