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尖}}}뾰족할 첨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고등학교
-
}}}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さき, するど-い, とが-る
-
}}}
표준 중국어
ji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尖은 '뾰족할 첨'이라는 한자로, '뾰족하다', '첨단(尖端)'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작을 소)와 (큰 대)가 합쳐진 회의자로, 뿌리는 굵고 끝은 뾰족하다는 데서, '뾰족하다'라는 의미가 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5C1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FK(火大)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1]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일본어[편집]


일본어에서는 尖이 들어간 한자어를 표기할 때 대부분 尖 대신 (먼저 선)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첨단'이라는 단어를 尖端이 아니라 先端으로 적는 것이다.[2] 尖과 先 둘 다 음독이 セン이라서 한자를 바꿔도 발음은 변하지 않는다. 先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는 지명 등의 고유명사나 종교 건축물의 일종인 尖塔(첨탑) 정도밖에 없다. 이렇게 바꿔 사용하는 이유는 쇼와 31년(1956년)에 당용한자표 밖의 한자어가 포함된 단어를 사용할 때 발음이 같은 다른 한자로 바꾸어 사용하도록 고시했기 때문이다. 관련 문화청 자료

그렇다고 현재 일본에서 尖이 쓰이지 않는 것은 아니며, 센카쿠 열도(尖閣列島)처럼 원래대로 尖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상용한자 문서의 고시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상용한자 외의 한자 사용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며, 위의 문화청 자료 파일도 '사회에서 이렇게 사용하기를 희망한다'에 가까운 뉘앙스로 작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용한자 밖의 한자이나 인명용 한자에는 포함되어 있다.


4. 유의자[편집]


  • (날카로울 예)


5. 상대자[편집]


  • (둔할 둔)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개 견)
  • (팽이 가)
  • (파리할 망)
  • (사내 부)
  • (아름다울 미)
  • (못할 렬)
  • (살필 성, 덜 생)
  • (참새 작)


7. 여담[편집]


  • (작을 소)와 (큰 대)를 이용해 만든 한자로는 尖(뾰족할 첨) 외에도 (위 크고 아래 작을 염), (팽이 가), (작을 마)가 있다.

  • 상반되는 뜻의 두 한자가 합쳐진 한자는 尖 말고도 (지킬 가), (위 크고 아래 작을 염)이 있다. 이 두 한자는 각각 (위 상)과 (아래 하), (큰 대)와 (작을 소)가 합쳐진 한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6:28:4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추구(推句)에 실린 글귀이다. '돌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먹이요,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文章)의 붓'이라는 뜻이다.[2] 이 때문에 첨단공포증은 선단공포증으로 잘못 아는 사람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