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戊}}}천간 무
부수
나머지 획수
, 1획
총 획수
5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つちのえ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다섯 째 천간 무(戊). 다섯 째 천간, 무성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선 U+620A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竹(IH)으로 입력한다.

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나 일찍이 상나라 때부터 다섯째 천간으로 쓰였다.


간지 (干支)
십간
>









십이지














뜻에 '무성하다'라는 뜻이 있지만 '무성하다'라는 뜻은 艹(초두머리)를 붙인 (무성할 무)를 쓰고 '창'이라는 뜻은 (창 모)를 쓴다.

연도 끝에 8이 붙으면 간지 앞부분이 이 한자이다.
예) 1978년 = 무오년(戊午年)
1988년 = 무진년(戊辰年)
1998년 = 무인년(戊寅年)
2008년 = 무자년(戊子年)
2018년 = 무술년(戊戌年)
2028년 = 무신년(戊申年)

  • 戊는 10천간에 5번째이면서, 물상으로는 큰 땅, 대지, 산, 넓은 땅, 노을에 해당하고 지지에서 辰토, 戌토랑 같은 물상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인명[편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경계할 계)
  • (창 과)
  • (이룰 성)
  • (수자리 수)
  • (개 술)
  • (문채 욱)
  • (병장기/오랑캐 융)
  • (주살 익)
  • (다 함)
  • (혹 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7:56:30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