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拗}}}우길 요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8획
미배정
1급
-
}}}
일본어 음독
ヨウ
일본어 훈독
こじ-れる, す-ねる, ねじ-ける,
ねじ-る, ねじ-れる
-
}}}
표준 중국어
ào, niù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이체자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拗는 '우길 요'라는 한자로, '우기다', '꺾다', '비뚤다', '부러뜨리다', '마음이 비뚤어지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어릴 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2D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VIS(手女戈尸)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4. 이체자[편집]


  • 㑃(U+3443)
  • 抝(U+629D)
  • 𢰃[⿰扌穾](U+22C03)
  • 𢱇[⿰扌⿱穴爻](U+22C47)


5. 유의자[편집]


  • (꺾을 절)
  • (꺾을 좌)


6. 상대자[편집]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가죽신 요)
  • (거스릴 요)
  • (굽은나무 요)
  • 𨱧[⿰镸幼](길고무를 요)
  • 𡛙[⿰女幼](드셀 요)
  • 𩢒[⿰馬幼](따르는말 요)
  • 𢂊[⿰巾幼](버선등 요)
  • /𥿌[⿰糸幼](버선목 요)
  • (수레스치는소리 요)
  • 𪀂[⿰鳥幼](오리 요)[1]
  • 𥑑[⿰石幼](오목할 요)[2]
  • (우길 요)[3]
  • (우묵할 요)
  • (짐승이름 요)
  • 𤱎[⿰田幼](검은흙 유)
  • (검푸를 유)
  • (교요할 유)
  • (굼틀거릴 유)
  • (근심할 유/요)
  • (깊을 유)
  • 𣅺[⿰日幼](마를 유)
  • (물빛검을 유)
  • (사슴울 유)
  • (산굽이 유)
  • (시들 유)
  • 𩈏[⿰面幼](얼굴추할 유)
  • 𣧥[⿰歹幼](죽으려할 유)
  • (황요어 유)
  • 𤤬[⿰⺩幼](유)
  • 𠢢[⿰柔幼]
  • 𭠞[⿰手幼]
  • 𥹱[⿰米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8:51:40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리 요)의 동자[2] (오목할 요)의 동자[3] (우길 요)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