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익

덤프버전 :



1. 고구려의 인물
1.1. 모본왕의 태자
1.2. 장수왕 시기의 관료
2. 북위 시기의 정치가


1. 고구려의 인물[편집]



1.1. 모본왕의 태자[편집]


[ 펼치기 · 접기 ]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모본왕
고유리고도절 · 고해명 · 고무휼고해루고익
차대왕신대왕산상왕동천왕
고추안고남무고우위거고연불
중천왕서천왕미천왕고국원왕
고약로고상부고사유고구부
고국양왕광개토대왕장수왕문자명왕
고담덕고거련고조다고흥안
태손}}}
고나운
안원왕양원왕평원왕영류왕
고평성고양성고원고환권
보장왕
고복남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高翊

제5대 모본왕의 태자. 생몰년도 미상.

모본왕 원년인 48년 10월에 '왕자 익을 태자로 세웠다'라는 기록이 직접적인 언급의 전부. 모본왕의 가족에 대한 기록이 거의 전무해서 자세한 사항은 알 수 없다. 부왕인 모본왕이 암살된 후 고익의 처분은 삼국사기 태조대왕조에 '모본왕이 돌아가셨을 때 태자(고익)가 못나고 어리석어 나라를 맡기가 부족하였으므로, 백성들이 궁(태조대왕)을 환영하며 모본왕에 이어 임금으로 세웠다.'라고 능력 부족으로 태조대왕에게 왕위를 뺏긴 것으로 나온다.


1.2. 장수왕 시기의 관료[편집]


高翼

고구려 장수왕 시기의 관료. 관직은 장사(長史).

송서에 따르면 413년 동진으로 파견되어 표(表)를 올리고 붉은 털과 흰 털이 섞인 자맥마를 바쳤다고 한다. 안제(동진) 사마덕종에게 장수왕을 고구려왕낙안군공(高句麗王樂安郡公)에 봉하는 칙서를 받아 고구려로 돌아갔다.

413년은 광개토대왕이 사망하고 장수왕이 즉위했으니 고익은 광개토대왕의 사망과 장수왕의 즉위를 알리기 위해 파견된 것으로 보인다.

2. 북위 시기의 정치가[편집]


? - 530년

효장제 말에 갈영이 반란을 일으키자 발해태수에 임명되었다. 반란이 확대되자 부민들을 이끌고 황하를 건너와 제수에서 공간을 마련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21:38:31에 나무위키 고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