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율

덤프버전 :

김사율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통령배고교야구심볼.png
1998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s-2|{{{#a78329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김민규
(북일고등학교)
김사율
(경남상업고등학교)
추신수
(부산고등학교)

}}}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width=20%><tablewidth=100%><rowbgcolor=#87ceeb><rowcolor=#ed1c24> 1982~1983 ||<width=20%> 1984 ||<width=20%> 1985 ||<width=20%> 1986~1991 ||<width=20%> 1992 || || [[권두조]] || [[김성관(야구선수)|김성관]][br][[1984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김용희]][br][[한국프로야구/1985년|{{{#777777,#888 ☆}}}]] || ?? || [[한영준]][br][[1992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bgcolor=#00bfff> {{{#ed1c24 1993~1994}}} ||<bgcolor=#00bfff> {{{#ed1c24 1995}}} ||<rowbgcolor=#d2d2d2><rowcolor=#000000> 1996 || 1997 || 1998 || || [[조성옥]] || [[한영준]][br][[1995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김응국]] || [[이종운]] || [[공필성]] || ||<rowbgcolor=#d2d2d2><rowcolor=#000000> 1999 || 2000 || 2001 || 2002 ||<bgcolor=#f58220> {{{#ffffff 2003}}} || || [[박정태]][br][[1999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강성우]] || [[강상수]] || [[조경환(야구)|조경환]] || [[박현승]] || ||<rowbgcolor=#f58220><rowcolor=#ffffff>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김대익]] || [[염종석]] || [[손인호(야구)|손인호]] || [[손민한]] || [[정수근]]→[[조성환(1976)|조성환]] || ||<rowbgcolor=#f58220><rowcolor=#ffffff> 2009~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조성환(1976)|조성환]] || [[홍성흔]] || [[김사율]] || [[조성환(1976)|조성환]] || [[박준서]] || ||<bgcolor=#f58220><rowcolor=#ffffff> 2015 ||<bgcolor=#f58220> 2016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58220 50%, #002955 50%);" 2017~2018}}} ||<bgcolor=#002955> 2019 ||<bgcolor=#002955> 2020 || || [[최준석]] || [[강민호]] || [[이대호]] || [[손아섭]]→[[민병헌]] || [[민병헌]] || ||<bgcolor=#002955><rowcolor=#ffffff> 2021~2022 || 2023 ||<rowbgcolor=#041e42> 2024 || || || || [[전준우]] || [[안치홍]] ||<#e0ffdb,#073300> [[전준우]] || || ||



}}}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0B0B61> ||
||<width=20%> 1대
양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20) ||<width=20%><bgcolor=#e0ffdb,#073300> 2대
양승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width=20%> 파일:파주 챌린저스(NEW-2).png ||<width=20%> 파일:파주 챌린저스(NEW-2).png ||<width=20%> 파일:파주 챌린저스(NEW-2).png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3번
박지환
(1992)
김사율
(1999)
김제빈
(2002)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5번
이지환
(1993~1999)
김사율
(2000~2004)
결번
결번김사율
(2007~2008)
김일엽
(200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4번
이용훈
(2005~2008)
김사율
(2009)
이용훈
(2010~2015)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5번
김일엽
(2009)
김사율
(2010~2014)
강승현
(2015)
{{{#ffffff [[kt wiz|kt wiz]] 등번호 55번}}}
양형진
(2014)
김사율
(2015~2018)
고성민
(2019)

파일:파주김사율감독.jpg
수원 드림즈 총괄단장
김사율
金思律 | Kim Sayul
출생1980년 4월 17일 (44세)
부산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감천초 - 대신중 - 경남상고
신체181cm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99년 2차 1라운드 (전체 1번, 롯데)
소속팀롯데 자이언츠 (1999~2014)
kt wiz (2015~2018)
지도자파주 챌린저스 감독 (2022)
프런트수원 드림즈 총괄 단장 (2023~)
해설위원스포카도 야구 해설위원 (2020)
병역대한민국 육군 제7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1]
등장곡달파란, 장영규 - Don't let me be misunderstood[2]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가족사촌동생 김사훈
1. 개요
3. 피칭 스타일
4. 등번호에 얽힌 이야기
5. 사건사고
5.1. 금지약물 소지 및 위증죄
6. 연도별 주요 성적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롯데 자이언츠, kt wiz야구 선수. 포지션은 우완 투수. 은퇴 후 수원에 있는 참 베이스볼 아카데미 코치를 맡고 있다. 2020년부터 스포카도 KBO 퓨처스리그 해설위원으로 활약 중이다.#

2022년 독립야구단 파주 챌린저스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2. 선수 경력[편집]



3. 피칭 스타일[편집]


패스트볼 구속은 140km/h 초반대 정도로 무난한 구위를 가지고 있으나 제구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아 피안타율이 높은게 흠이다. 이 제구 문제는 11시즌에 많이 안정되었고, 여기에 정말로 엄청난 수의 변화구로 타자의 타이밍을 뺏으며 맞춰잡는 플레이 위주로 운영을 한다. 11시즌 초 송승준에게 배운 너클 커브의 덕을 많이 보고 있다고 한다.

롯데 불펜이라는 점 때문에 주목을 못 받아 잘 알려져 있지 않는 사실이 있는데, 김사율은 위에서 말한대로 정말로 엄청난 수의 변화구를 던질 수 있는 팔색조 투수다. 포심, 투심, 체인지업, 커브, 슬라이더, 포크볼, 싱커, 스플리터, 너클커브를 모두 던질 수 있다.

다만 제구가 좋지 않아 결정구로 던질만한 구질은 없다. 김사율이 마무리로 한참 주가를 높이던 시절에도 어찌어찌 꾸역꾸역 막는다는 느낌을 주는 것도 결정구가 없기 때문. 패스트볼 구위는 괜찮지만 타자를 압도할 만한 스피드나 수직 무브먼트가 있는 게 아니고 변화구의 경우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던져넣는다고 할 수는 없다.


4. 등번호에 얽힌 이야기[편집]


김사율의 경남상고 시절 등번호는 34번이었다. 롯데 입단 후 고교 시절 사용하던 34번을 원했으나, 공교롭게도 이 해 외국인 선수로 입단한 외야수 펠릭스 호세 또한 34번을 원하게 되면서 이를 양보하고 신인 시절 63번을 단 뒤 2000년부터 55번을 달았다.

이후 펠릭스 호세가 롯데를 떠났으나, 2003년에 김영수를 상대로 트레이드되어 고향팀에 이적하게 된 선배 투수 이용훈이 자신의 등번호인 34번을 그대로 쓰기를 원하면서 34번은 이용훈에게 넘어갔고 김사율은 55번을 유지했다. 그리고 김사율은 이듬해 현역으로 입대했다. 공교롭게도 군 제대 후 복귀했을 때 호세도 재입단을 하며 34번을 노리는 선수가 세명이나 되게 된다. 결국 승자는 이용훈.[3]

그 뒤 이용훈이 2008년 2월 22일 득남하면서 2009 시즌부터 등번호를 22번으로 바꾸게 된다. 드디어 김사율은 프로 데뷔 10년 만에 34번의 등번호를 달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2009 시즌 후 34번은 다시 이용훈에게 넘어갔고... 김사율은 김일엽이 썼던 55번을 돌려받은 후 은퇴할 때까지 55번을 사용했다.

5. 사건사고[편집]



5.1. 금지약물 소지 및 위증죄[편집]


한국도핑방지위원회 KADA에 금지약물 단순소지로 제재 대상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후 전 팀 동료인 송승준과 함께 1심에서 위증죄로 징역 6월,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 현재 송승준과 김사율은 재판부의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6.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1999롯데1129⅔131-0.2507.89348211626261.854
2000304813100.2505.25476223132281.333
20013568⅔11220.5004.33719265437331.369
200249108⅓411020.2675.4811912666476661.606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2003롯데2036⅓12010.3335.45425161523221.569
20041100000.00027.003012334.000
2005군 복무
2006
200721⅔00000.0005.403010112.400
20081921⅔10011.0003.74161148991.246
2009813⅓00010.0009.452242515141.725
20105257⅔14550.2003.75594303828241.457
20116166⅓5320
(2위)
20.6253.26604245427241.236
20125045⅓2334
(3위)
10.4002.98454134316151.235
20133574⅓37130.3004.007411364735331.453
20143379⅓25020.2865.799513337155511.576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2015kt2125⅔00000.0008.06404132428231.99
20162530⅓01110.0005.34294192720181.52
20171934⅔33020.5007.2751792830281.70
20182945⅓12000.3335.765612103532291.46
KBO 통산
(18시즌)
500787⅔264865230.3515.108661083565624934471.49


7. 기타[편집]


  • 별명은 특유의 이름 때문에 사유리로 불리고 있다. 이후 kt 이적 후에는 율이구슬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마지막으로 롯데가 우승했던 1992년 한국시리즈 3차전의 시구자이기도 했다.[4]

  • 어릴 때는 염종석의 팬이었다. 위의 1992년 한국시리즈 3차전을 시구하러 사직구장을 찾았을 때 평소에 가장 좋아하던 염종석을 만났지만 당시 수줍었던 성격때문에 한마디도 못해 아쉬워 했다고 한다.

  • 사촌동생으로 포수 김사훈이 있다. 롯데에서 뛰던 시절 김사율의 추천으로 롯데 자이언츠 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

  • 2016년 2월경 조모상을 당했다.


  • 광교에서 술집을 운영중이다. 김사율과 롯데시절 통역을 맡았던 지인과 함께 운영 중인데 그래서 그런지 실내에 야구 사인볼이 상당히 많다.

  • 스톡킹에서 밝힌 바로는 양승호 재임기에 마무리를 맡던 시절 거의 9회 1이닝 세이브만 했다고 한다. 더 던질 수 있다거나 미리 던지겠다고 하면 '너보다 공 빠른 애들 많으니까 그냥 들어가라'고 했다고.(...) 그래도 그 해 1이닝 마무리로 고정된 후 2017년 전까지는 구단 내 정규시즌 세이브 1위를 기록하긴 했다.[5]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6:43:17에 나무위키 김사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병부대에서 운전병으로 복무했다.[2] 영화 놈놈놈 OST[3] 호세는 이 당시 등번호로 99번을 달았다.[4] 롯데기 부산·경남지역 초등학교 야구대회 우승교의 대표 선수 자격으로 했다.[5] 이후 손승락이 37세이브를 기록하며 이 기록은 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