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역

덤프버전 :

김제역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Gimje
한자金堤
간체자
가나金堤(キムジェ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두월로 198 (신풍동)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익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호남선1912년 10월 1일
파일:KTX BI_White, Red.svg2004년 4월 1일 ~ 2015년 4월 2일
2019년 9월 16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복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김 제

파일:김제역.jpg
현 역사(1985년 준공)
파일:김제역 리모델링 전.jpg
리모델링 전

1. 개요
2. 역 정보
2.1. 열차 운행 정보
2.2. 시간표
2.2.1. 상행
2.2.2. 하행
3. 승강장
4. 연계 교통
5. 일평균 이용객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김제역 스탬프.jpg
김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벼이삭과 벽골제를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중간에 도난으로 인해 다시 제작되었다.

일제 강점기 미곡 집산지로 출발

김제는 삼한시대에는 벽비리국, 백제시대에는 벽골군이라 불리던 고장이다. 통일신라시대 고을의 이름을 한자로 바꾸는 과정에서 황금의 벌판, 김제로 바뀌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벽골제 저수지가 만들어져 벼농사의 부흥을 이루어낸 벼의 고을, 김제. 일제 강점기 미곡의 집산지로 1912년 개설 당시 역사 역시 삼면에 회랑을 갖춘 대규모 역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12년 1월 호남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현재의 역사는 1985년에 준공된 것으로 878㎡ 넓이에 지하 1층, 지상 2층의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졌으며, 최근 리모델링으로 단장하였다. 2015년부터 KTX가 정차하지 않으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2019년 KTX가 다시 정차하기 시작하며 새로운 철도 중심시대의 막을 열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철도역. 전라북도 김제시 두월로 198 (신풍동 13-1)에 위치해 있으며, 대전조차장역 기점 105.6km. 여기서부터 호남선의 거리가 100km를 넘어간다.

2. 역 정보[편집]


김제 시내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80년대말까지만 해도 신태인역과 별 차이가 없던 역이었으나, 1989년 시로 승격되면서 새마을호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익산역행 셔틀버스가 자주 다닐 정도로 익산과 가깝기도 하고, 김제시 자체가 도시화가 비교적 덜 진행되고 농업인 인구, 즉 읍면 지역 인구 비중이 다른 시보다 비교적 크다는 특성도 있어 이용객은 그리 많지 않다.


2.1. 열차 운행 정보[편집]


승강장은 2면 6선이며, 무궁화호가 24회, ITX-새마을이 12회 정차 중.

예전에는 KTX도 일부 정차했지만 2015년 4월부터 폐지되었다가[1] 2019년 9월부터 다시 .김제역 KTX 정차가 이루어졌다 KTX 김제역 선별적 정차는 혁신도시역 신설 무산에 따른 대안으로 추진됐다.

잠시동안 김제역에 호남선 KTX가 들어서고 있지 않고 있는 시기엔 어떻게든 KTX정차역으로 다시 되돌리려 호남선 국철노선과 김제역을 통째로 고속철도가 있는 순동사거리로 이설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지금도 전주.완주의 혁신도시와 연계해 KTX 혁신역을 추가해달라는 움직임도 조금씩 있었지만 신통치 못한 상황이다.

13일 국토교통부에서 일일 4회(상행 2회, 하행 2회) 운행 중인 용산 - 서대전 경유 - 목포 구간 KTX 노선에 김제역 정차운행을 확정 발표했다. 운행시기는 추석 수송이 마무리되는 9월 16일부터 운행할 예정이고, 8월 16일경부터 승차권을 발매할 예정이다.


2.2. 시간표[편집]



2.2.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58KTX472서울
17:48KTX-산천482[2]/488[3]행신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48무궁화1462서대전
07:26ITX-새마을1072용산
08:20무궁화1472익산
08:56무궁화1402용산
10:23ITX-새마을1074용산
12:04ITX-새마을1062용산
12:37ITX-마음1162용산
13:19무궁화1422용산
14:46ITX-새마을1076용산
16:09무궁화1424용산
17:23ITX-마음1164용산
18:07무궁화1404용산
19:11ITX-새마을1064용산
19:45ITX-새마을1078용산
20:30무궁화1470익산
22:39무궁화1464서대전


2.2.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2:04KTX-산천475목포
19:22KTX481목포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36무궁화1461광주
10:00무궁화1421광주
11:04무궁화1401목포
11:31ITX-새마을1071광주
12:46ITX-마음1161목포
15:08ITX-새마을1061목포
16:43ITX-새마을1073광주
16:49무궁화1473목포
18:17ITX-새마을1075광주
18:48무궁화1469목포
19:50무궁화1423광주
20:13ITX-마음1163목포
20:30무궁화1403목포
21:12무궁화1463광주
22:14ITX-새마을1063목포
23:09ITX-새마을1077광주


3. 승강장[편집]


익산
1234
신태인

1·2호남선파일:KTX BI.svg·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익산·서대전·용산 방면
3·4정읍·광주·목포 방면

4. 연계 교통[편집]


역전 삼거리에 전주와 부안(변산, 격포 포함) 방면으로 가는 간이 시외버스 정류소가 있다. 그리고 김제시 시내버스 거의 대부분이 김제역을 경유한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비고
2004년182명234명1,096명1,512명[4]
2005년293명214명1,028명1,535명
2006년326명207명995명1,528명
2007년315명210명939명1,464명
2008년283명236명929명1,448명
2009년281명245명886명1,412명
2010년282명249명886명1,417명
2011년305명212명980명1,497명
2012년316명228명974명1,518명
2013년311명223명983명1,517명
2014년297명249명935명1,481명
2015년277명302명861명1,440명
2016년미운행361명824명1,185명
2017년363명767명1,130명
2018년362명783명1,145명
2019년71명364명798명1,233명
2020년48명232명473명753명
2021년55명250명502명80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KTX가 호남고속선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호남고속선과 연결되지 않는 김제역에서는 KTX를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수서평택고속선 완공에 따른 KTX 다이어 조정에서 서대전역 경유 용산 ~ 익산 노선이 상하행 각각 2회씩 목포로 연장되기로 결정되어 KTX 재정차가 성사될지 귀추가 주목되었으나 서대전 경유 또한 익산 - 광주송정 구간은 호남고속선을 경유하게 되면서 물거품이 되었다.[2] 월~목[3] 금~일[4]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0:17:11에 나무위키 김제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