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죠/애니메이션 (r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내일의 죠

{#000000,#dddddd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펼치기 · 접기 ]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밀림의 왕자 레오요술공주 샐리마하 GoGoGo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비밀의 아코짱타이거 마스크사자에상내일의 죠
루팡 3세데빌맨과학닌자대 갓챠맨마징가 Z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마법소녀 메구짱우주전함 야마토만화 일본 옛날이야기감바의 모험
타임보칸잇큐씨엄마찾아 삼만리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캔디캔디
얏타맨미래소년 코난은하철도 999보물섬빨강머리 앤
도라에몽기동전사 건담베르사이유의 장미전설거신 이데온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시끌별 녀석들초시공요새 마크로스미래경찰 우라시맨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캡틴 츠바사북두의 권터치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시티헌터키테레츠 대백과날아라 호빵맨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닌자보이 란타로슬램덩크슬레이어즈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용자왕 가오가이가포켓몬스터소녀혁명 우테나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오자루마루꼬마마법사 레미∀건담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방가방가 햄토리갤럭시 엔젤테니스의 왕자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나루토기동전사 건담 SEED강철의 연금술사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블리치AIR허니와 클로버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혼제로의 사역마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전뇌 코일기동전사 건담 00트루 티어즈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이나즈마 일레븐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케이온!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골판지 전기TIGER & BUNNY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1. TVA 1기: 내일의 죠
1.1. 특징
1.2. PV
1.3. 주제가
1.4. 회차 목록
1.5. 평가
2. 극장판 1기: 내일의 죠
3. TVA 2기: 도전자 허리케인
3.1. 특징
3.2. PV
3.3. 주제가
3.4. 회차 목록
3.5. 평가
4. 극장판 2기: 내일의 죠 2
5. 한국 방영
6. OST



1. TVA 1기: 내일의 죠[편집]


내일의 죠 (1970~1971)
あしたのジョー
파일:내일의죠_1970.jpg


1.1. 특징[편집]


1970년 4월 1일부터 1971년 9월 29일까지 방영. 제작은 무시 프로덕션. 총감독은 데자키 오사무. 그의 감독 데뷔작이다.

데자키 오사무가 연출하고 스기노 아키오가 작화감독한 1화는 60년대부터 70년대까지의 그 어떤 TV 애니메이션에서도 선보인 적이 없는 충격적인 영상미로 화제가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10여 년 후 미래에서나 나올 법한 애니메이션을 70년대 TV에서 보는 듯한 충격을 받았다. 데자키 오사무의 원작에 대한 완벽한 이해도가 느껴지는 작품.

원작 만화는 복싱 만화로 전개도 꽤나 빠르지만 데자키 오사무는 훗날 치바 데츠야와의 대담에서 "복싱 만화가 아닌 한 청년의 청춘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든다는 마음으로 만들었다"라고 밝힌 적이 있다. 그는 "복서로서의 죠의 인생은 죠의 인생 전체의 일부에 불과하다" 라면서 다른 등장인물과 우정을 쌓아가는 묘사와 소년원 시절의 묘사를 늘렸다. 또한 죠는 여행을 좋아한다는 설정을 추가해 권투와는 다른 일상 이야기의 비중을 늘렸다. 이는 연재 중이었던 원작 만화의 분량이 따라잡히지 않게 하기 위함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게 현대의 다른 장편 애니메이션처럼 이상한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넣어서 질질 끄는 것이 아니라 부족한 묘사를 더 추가한 것이라 오히려 좋은 평가를 받았다.

토미노 요시유키가 꽤나 많이 참여했는데 데자키에게 연출을 배우기 위해, 이 작품에 참여했다는 비화가 있다. 토미노 요시유키는 저서 '그래도 나는'에서 동시기 말 못할 사고를 쳐서 무시 프로를 떠나 있었다고 쓴 바가 있다. 그런데 연출을 배우겠다고 무시 프로로 돌아온데다 자신보다 후배인 데자키 오사무에게 가르쳐 달라고 고개까지 숙이며 들어갔다고 한다. #이 작품이 얼마나 당시 충격적이었는지를 시사한다. 또한 이시구로 노보루, 요시카와 소지, 카나야마 아키히로, 아라키 신고도 비중있게 참여했다. 원화로 참여한 애니메이터도 당시 무시 프로덕션 최고의 에이스들이 담당했다. 그래서 어린이 캐릭터는 그림체가 치바 테츠야보다는 데즈카 오사무 그림체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마침내 1기 29화는 당시 29.2%라는 최고시청률을 기록했고, [1] 애니메이션계에 큰 충격을 불어넣은 작품으로 전설이 되었다.

연재분량이 따라잡혀서 79화 카를로스 전에서 종영되었다. 이 때문에 리키이시 전 이후로는 좀 완성도가 떨어지며, 훗날 2기에서 다시 리메이크되었다. 리키이시 전 (51화)까지만 보고 2부로 넘어가도 무관.

1기의 주제가는 만능 예술인 테라야마 슈지가 작사하였으며 이 사람이 리키이시 토오루의 장례식도 기획하였다.

성우가 자주 바뀌는 시리즈인데 오직 야부키 죠, 탄게 단페이, 사치 이 3 명은 이 작품부터 성우가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 연기를 너무나도 잘해서이다.

예고편은 탄게 단페이의 성우 후지오카 쥬케이가 매 화 열연을 해서 채워넣어 팬 사이에서 유명하며 TMS 공식 유튜브에서 모음집을 올리기도 했다. 너무 옛날 애니다보니 예고편 자료 영상이 남아있지 않아 음성만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 당시 애니는 당시의 기록 매체가 비싸고 몇 년 뒤에도 팔아먹겠다는 비지니스 개념이 없다보니 필름을 덮어쓰거나 창고에서 사라지는 경우도 많아서 본편이라도 전편이 남아있는 게 기적에 가깝다.

2021년 3월부터 4K 리마스터 버전을 WOWOW에서 총 79화를 방송했다.#


1.2. PV[편집]





1.3. 주제가[편집]


  • 오프닝 테마 あしたのジョー
    • 작사: 테라야마 슈지
    • 작곡, 편곡: 야기 마사오(八木正生)
    • 노래: 비토 이사오(尾藤イサオ)

  • 엔딩 테마 1 ジョーの子守唄 (1~40화)
    • 작사: 카지와라 잇키
    • 작곡, 편곡: 야기 마사오
    • 노래: 코이케 아사오(小池朝雄)

  • 엔딩 테마 2 力石徹りきいし とおるのテーマ (41~79화)
    • 작사: 테라야마 슈지
    • 작곡, 편곡: 야기 마사오
    • 노래: 히데 유키


1.4.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 [2]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あれが野獣の眼だ!
저것이 야수의 눈이다!
유키무로 슌이치
(雪室俊一)
(불명)데자키 오사무스기노 아키오1970.04.01.
제2화四角いジャングルに生きろ
사각 정글에서 살아라
야마자키 타다아키
(山崎忠昭)
니시마키 히데오
(西牧秀雄)
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4.08.
제3화けものよ牙をむけ!
짐승이여 발톱을 세워라!
오쿠다 세이지스기노 아키오1970.04.15.
제4화熱きこぶしに涙をながせ!
뜨거운 주먹에 눈물을 흘려라!
유키무로 슌이치사이토 히로시
(斎藤 博)
아라키 신고1970.04.22.
제5화あしたのために! -その1-
내일을 위해서! (1)
하타 마사미
(波多正美)
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4.29.
제6화燃えろ! 左ジャブ!
불타라! 왼쪽 잽!
야마자키 타다아키사이토 히로시아라키 신고1970.05.06.
제7화狼を裁くな!
늑대를 심판하지 마라!
유키무로 슌이치니시마키 히데오스기노 아키오1970.05.13.
제8화東光特等少年院
동광 특등 소년원
야마자키 타다아키이시구로 노보루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5.20.
제9화奴の名は力石徹!
녀석의 이름은 리키이시 토오루!
유키무로 슌이치사이토 히로시아라키 신고1970.05.27.
제10화赤い夕陽に吠えろ!
붉은 석양에 짖어라!
야마자키 타다아키이시구로 노보루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6.03.
제11화地獄の底で燃えろ!
지옥의 바닥에서 불태워라!
유키무로 슌이치니시마키 히데오스기노 아키오1970.06.10.
제12화燃える太陽に叫べ
불타는 태양에 외쳐라
데자키 사토시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6.17.
제13화宿命のリングに立て
숙명의 링에 서라
사이토 히로시아라키 신고1970.06.24.
제14화KOゴングはまだか!
KO 벨은 아직인가!
야마자키 타다아키하타 마사미스기노 아키오1970.07.01.
제15화白いマットの子守唄
하얀 매트의 자장가
유키무로 슌이치요시카와 소지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7.08.
제16화裏切りのㅊ
배신의 지는 해
사이토 히로시스기노 아키오1970.07.15.
제17화嵐のなかに一人
폭풍 속의 한 사람
야마자키 타다아키니시마키 히데오스기노 아키오1970.07.22.
제18화悲しきリングロープ
슬픔의 링 로프
히라타 토시오아라키 신고1970.07.29.
제19화恐怖のレバーブロー
공포의 레버 프로
유키무로 슌이치이시구로 노보루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8.05.
제20화傷だらけの勝利
상처뿐인 승리
니시마키 히데오1970.08.12.
제21화栄光ある小さな勝負
영광의 작은 승부
히라타 토시오아라키 신고1970.08.19.
제22화まぼろしの力石徹
환상의 리키이시 토오루
사키마쿠라
(崎枕)
스기노 아키오1970.08.26.
제23화あばよ少年院
잘있어 소년원
야마자키 타다아키토미노 요시유키아라키 신고1970.09.02.
제24화帰えってきたドヤ街
돌아온 간이 거리
유키무로 슌이치이시구로 노보루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9.09.
제25화野良犬の掟
야생 들개의 규칙
토미노 요시유키1970.09.16.
제26화絶望のライセンス
절망의 라이센스
히라타 토시오아라키 신고1970.09.23.
제27화明日に架ける橋
내일에 걸친 다리
야마자키 타다아키요시카와 소지카나야마 아키히로1970.09.30.
제28화栄光への賭け
영광으로의 도박
유키무로 슌이치이시야마 에이지
(石山英児)
1970.10.07.
제29화明日への挑戦
내일로의 도전
야마자키 타다아키토미노 요시유키스기노 아키오1970.10.14.
제30화試練のプロテスト
시련의 자격시합
유키무로 슌이치사이토 히로시아라키 신고1970.10.21.
제31화翔たけプロボクサー
날아올라라 프로복서
하타 마사미카나야마 아키히로1970.10.28.
제32화輝くリングへの道
빛나는 링으로의 길
야마자키 타다아키니시마키 히데오1970.11.04.
제33화初勝利バンザイ
첫 승리 만세
토미노 요시유키스기노 아키오1970.11.11.
제34화ボクサー志願
복서 지원
유키무로 슌이치이시구로 노보루아라키 신고1970.11.18.
제35화ガンバレ! 西
힘내라! 니시
야마자키 타다아키토미노 요시유키카나야마 아키히로1970.11.25.
제36화牙をむくウルフ金串
발톱을 세운 울프 쇠꼬챙이
(불명)사키마쿠라스기노 아키오1970.12.02.
제37화怒りの大特訓
분노의 대특훈
1970.12.09.
제38화史上最大の六回戦
역사상 최대의 6회전
1970.12.16.
제39화勝利のトリプルクロス
승리의 트리플 크로스
요시카와 소지1970.12.23.
제40화白銀に誓う
백은에 맹세하다
야마자키 타다아키히라타 토시오아라키 신고1970.12.30.
제41화力石徹の挑戦
리키이시 토오루의 도전
이토 츠네히사
(伊東恒久)
토미노 요시유키카나야마 아키히로1971.01.06.
제42화男の世界
사나이의 세계
미야타 키요시
(宮田 雪)
사키마쿠라스기노 아키오1971.01.13.
제43화残酷な減量
잔혹한 감량
이토 츠네히사카나야마 아키히로1971.01.20.
제44화苦闘! 力石徹
고투! 리키이시 토오루
코바야시 유키
(小林 幸)
요시카와 소지1971.01.27.
제45화打倒! 力石へのスェイバック
타도! 리키이시로의 셰이백
마츠오카 세이지
(松岡清治)
키타지마 카즈오
(北島教夫)
1971.02.03.
제46화死を賭けた男
죽음을 건 사나이
미야타 키요시사키마쿠라1971.02.10.
제47화嵐の前のふたり
폭풍 앞의 두 사람
타무라 타츠오
(田村多津夫)
토미노 요시유키아라키 신고1971.02.17.
제48화宿命の対決
숙명의 대결
이토 츠네히사스기노 아키오1971.02.24.
제49화果しなき死闘
끝없는 사투
코바야시 유키이시구로 노보루타나하시 카즈노리
(棚橋一徳)
1971.03.03.
제50화闘いの終り
싸움의 끝
(불명)요시카와 소지아라키 신고1971.03.10.
제51화燃えつきた命
불태운 목숨
미야타 키요시사키마쿠라스기노 아키오1971.03.17.
제52화さらば力石徹
안녕 리키이시 토오루
타무라 타츠오이시구로 노보루1971.03.24.
제53화憎いあんちくしょう
밉살스럽게 굴다
코바야시 유키사키마쿠라1971.03.31.
제54화悲しみの十点鐘
슬픔의 10점 종
이토 츠네히사토미노 요시유키1971.04.07.
제55화さすらいのバラード
자그마한 발라드
미야타 키요시이시구로 노보루타나하시 카즈노리1971.04.14.
제56화よみがえる狼
되살아난 늑대
마츠오카 세이지토미노 요시유키아라키 신고1971.04.21.
제57화傷ついた野獣
상처입은 야수
요시카와 소지카나야마 아키히로1971.04.28.
제58화勝利のボディブロー
승리의 보디블로
야마자키 하루야
(山崎晴哉)
사키마쿠라스기노 아키오1971.05.05.
제59화しのびよる黒い影
스며드는 검은 그림자
타무라 타츠오혼다 모토오
(本田元男)
카나야마 아키히로1971.05.12.
제60화激闘のスパーリング
격투의 스파링
코바야시 유키이시구로 노보루1971.05.19.
제61화投げられたタオル
던져진 수건
이토 츠네히사키타노 히데아키
(北野英明)
스기노 아키오1971.05.26.
제62화生きていた力石徹
살아있는 리키이시 토오루
미야타 키요시세야마 요시후미
(瀬山義文)
아라키 신고1971.06.02.
제63화最後の挑戦
최후의 도전
타무라 타츠오토미노 요시유키스기노 아키오1971.06.09.
제64화カーロス登場
카를로스 등장
마츠오카 세이지혼다 모토오1971.06.16.
제65화リングある限り
링이 있는 한
미야타 키요시사키마쿠라1971.06.23.
제66화明日への旅立ち
내일로의 여행길
타무라 타츠오요시카와 소지아라키 신고1971.06.30.
제67화小さな冒険旅行
작은 모험여행
마츠오카 세이지사이토 히로시스기노 아키오1971.07.07.
제68화仕組まれた八百長
짜여진 팔백장
야마자키 하루야토미노 요시유키1971.07.14.
제69화牧場の子守唄
목장의 자장가
사키마쿠라1971.07.21.
제70화気になるあいつ
신경 쓰이는 그 녀석
코바야시 유키1971.07.28.
제71화無冠の帝王カーロス
무관의 제왕 카를로스
토미노 요시유키아라키 신고1971.08.04.
제72화帰えれ、輝くリングへ
돌아가라, 빛나는 링으로
스기노 아키오1971.08.11.
제73화よみがえるクロスカウンター
되살아나는 크로스 카운터
야마자키 하루야혼다 모토오카나야마 아키히로1971.08.18.
제74화今日からの出発
오늘로부터의 출발
마츠오카 세이지하타 마사미스기노 아키오1971.08.25.
제75화リングの魔術師カーロス
링의 마술사 카를로스
이토 츠네히사하야시 마사유키
(林 政行)
1971.09.01.
제76화燃える挑戦状
불타는 도전장
야마자키 하루야사키마쿠라아라키 신고1971.09.08.
제77화男の闘い
사나이의 싸움
마츠오카 세이지혼다 모토오스기노 아키오1971.09.15.
제78화死闘!! カーロス対矢吹丈
사투!! 카를로스 대 야부키 죠
코바야시 유키사키마쿠라1971.09.22.
제79화[3]燃えろ 遠く輝ける明日よ!!
타올라라 저 멀리 빛나는 내일이여!!
1971.09.29.

1.5.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데자키 오사무 감독의 대표작이자 걸작 중 하나. 2기의 평이 더 높지만 이 작품 역시 일본 애니메이션사에 남을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2. 극장판 1기: 내일의 죠[편집]


1980년 개봉한 TV판 1기를 재편집한 극장판. 감독은 데자키 오사무로 되어 있으나 명의만 그렇고 거의 손대지 않았으며 편집이나 제작은 다른 감독이 했다고 한다. TV판 2기를 보기 전에 보라고 만들었다고 한다. 리키이시 토오루전까지만을 그렸다. 죠와 리키이시의 관계를 중심으로 편집했으며 꽤 빠르게 편집해서 중요한 부분은 날아갔지만 편집은 꽤 잘되어있다. 3시간이 넘으므로 핵심 에피소드는 안 빠지고 거의 다 나온다고 보면 된다. TV판을 안 보고 이것만 봐도 된다. 다만 제대로 보려면 역시 TV판을 51화까지 보는 것이 좋다.

일부 성우진이 변경되었다. 이는 TV판에서 죠와 단페이 역으로 성우가 아니라 아이돌과 배우를 캐스팅했는데 그들이 기성 성우와 다르면서도 완벽한 연기를 선보였기 때문으로, 극장판에서는 이들에 맞춰 성우들을 대부분 배제하고 배우 위주로 캐스팅을 변경해 좀 더 리얼한 연기를 선보였다. 음향도 열악한 시절 녹음해 노이즈가 굉장히 많은 1과 달리 음향 기술이 어느 정도 완성된 뒤에 나와서 깔끔하게 녹음되었다. 다만 성우가 같은 죠와 단페이의 연기 톤도 2에 맞춰서 처절함이 많이 줄어들었는데 이건 의도된 것으로 보이지만.호불호는 갈린다.

한국에서 1997년 1월 25일 토요일 오후 1시 5분에 극장판이 더빙되어 MBC 겨울방학 특선으로 방영했고 이 버젼은 2001년에 크림비디오라는 업체에서 2부로 나뉘어서 비디오로 냈다.


3. TVA 2기: 도전자 허리케인[편집]


도전자 허리케인 (1980~1981)
あしたのジョー2
파일:내일의죠2.jpg


3.1. 특징[편집]


1기 방영 후 10년이 지난 1980년 10월 13일부터 1981년 8월 31일까지 총 47화로 방영되었다. 무시 프로덕션이 도산해서 도쿄 무비 신사가 제작을 담당. 이때 1기의 저작권도 TMS가 인수해 1기와 2기 저작권 모두 도쿄 무비 신사 (TMS)에서 관리하고 있다. 일본 최초의 스테레오 방송 애니메이션이다.

전작과 다르게 대부분의 에피소드를 데자키 오사무가 콘티 및 연출을 담당했으며 대부분의 에피소드의 작화감독은 스기노 아키오가 담당한다. 1년 짜리 애니메이션을 거의 이 두 사람이 책임지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일본 애니메이션 역사상 이런 애니메이션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작화에서는 데자키 오사무와 주로 작업하던 오오하시 마나부[4]와 스기노 아키오의 제자인 모리모토 코지, 오오츠카 신지가 두각을 보였다. 하모니 기법을 데자키 작품 중에서도 유독 많이 썼는데 그래서 평소 배경 미술 감독을 하던 코바야시 시치로는 이 작품에서는 거의 하모니만 그렸다. 촬영 감독은 타카하시 히로카타이며 그의 작품 중에서도 빛 활용이 가장 잘 된 작품으로 꼽힌다.

극장판 1기를 보고나서 이어보라고 리키이시 전 이후 분량부터 다시 리메이크한 것이며 오리지널 전개가 많이 들어갔으나 원작을 해치는 내용이 아니었기 때문에 좋은 반응을 얻었다. 각본가로는 여성 시노자키 요시미[5]를 기용하고 시라키 요코의 비중을 늘려 죠와 시라키의 로맨스를 순정 만화처럼 강조했다. 오히려 원작이 연재 만화라 연재 중에 모순점이 생긴 걸 모두 보강하고 리얼리티를 더했기 때문에 스토리는 원작 이상이라는 평가가 많다. 10년의 세월이 지나 장족의 발전을 이룬 스기노 아키오의 작화도 전설. 다만 치바 테츠야가 내일의 죠 후반부에 보여준 신들린 감정묘사와 작화는 다른 사람이 재현할 수 있는 게 아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선 호불호가 남는다.[6]

연출에 있어서는 당시 1기처럼 땀냄새나는 거친 근성 스포츠물이 유행이 지났을 때 나온 것이라 에이스를 노려라 당시 사용했던 순정 만화식 연출을 다수 도입해 상당히 부드럽고 아름답게 연출하려고 한 것이 보인다.[7] 1기에서는 입사광, 투과광, 하모니 같은 데자키 오사무 특유의 기법이 확립되기 전에 나와 쓰이지 않았으나 이 작품부터 이러한 연출이 본격적으로 쓰인다. 시대 배경도 당시 시청자들 기준으로 맞추기 위해 경제가 발전된 일본의 1980년대로 맞추어 비디오 게임, 파칭코, 당시 유행하던 깡통 술이 나오기도 하고 가난에 대한 묘사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김용비의 나이 설정도 이에 따라 30대로 변경되었다. 내일의 죠 팬인 키타쿠보 히로유키 감독은 BS 애니메 야화에서 '1기는 어둠과 더러움의 세계, 2기는 빛의 세계를 연출한 작품' 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3.2. PV[편집]





3.3. 주제가[편집]


  • 오프닝 테마 1 傷だらけの栄光(상처투성이의 영광) (1~25화)
    • 작사, 작곡: 아라키 이치로(荒木一郎)
    • 편곡: 고토 츠기토시(後藤次利)
    • 노래: 오바 타케시(おぼたけし)

  • 엔딩 테마 1 果てしなき闇の彼方に(끝없는 어둠의 저편으로) (1~25화)
    • 작사, 작곡: 아라키 이치로
    • 편곡: 고토 츠기토시
    • 노래: 오바 타케시

  • 오프닝 테마 2 MIDNIGHT BLUES (26~47화)
    • 작사, 작곡, 노래: 아라키 이치로
    • 편곡: 치토 카와우치(チト河内)

  • 엔딩 테마 2 果てしなき闇の彼方に (26~47화)
    • 작사, 작곡, 노래: 아라키 이치로
    • 편곡: 치토 카와우치


3.4.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방영일
제1화そして、帰ってきた
그리고 돌아왔다
시노자키 요시미
(篠崎 好)
사키마쿠라
(さきまくら)
日: 1980.10.13.
韓:
제2화男一匹花一輪リングに賭けた
사나이 한 명 꽃 한 송이링에 걸었다
日: 1980.10.20.
韓:
제3화地獄からの使者矢吹丈
지옥에서 온 사자야부키 죠
야마자키 하루야日: 1980.10.27.
韓:
제4화その時、十点鐘は鳴った
그 때, 10점 종이 울렸다
日: 1980.11.03.
韓:
제5화幻のあのテンプルを撃て!
환상의그 템플을 쏴라!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0.11.10.
韓:
제6화吠えろかませ犬
짖어라물린 개
日: 1980.11.17.
韓:
제7화さまよえる野獣のように
방황하는야수처럼
야마자키 하루야日: 1980.11.24.
韓:
제8화あいつが燃える男カーロス
그 녀석이불타는 사나이 카를로스
日: 1980.12.01.
韓:
제9화そして野獣は甦った
그리고야수가 부활했다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0.12.08.
韓:
제10화クリスマスイブその贈り物は
크리스마스 이브그 선물은
日: 1980.12.15.
韓:
제11화死闘の始まりカーロスVSジョー
사투의 시작카를로스 VS 죠
야마자키 하루야日: 1980.12.22.
韓:
제12화吹雪の夜その果しなき戦い
눈보라의 밤그 끝없는 싸움
日: 1980.12.29.
韓:
제13화丹下ジムは不滅です
탄게 체육관은불멸입니다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1.01.05.
韓:
제14화どこにあるジョーの青春
어디에 있어죠의 청춘
日: 1981.01.12.
韓:
제15화誰のために必殺ラッシュ
누구를 위해필살 러시
타카야시키 히데오
(高屋敷英夫)
日: 1981.01.19.
韓:
제16화遠い照準か世界への道
먼 조준을세계로의 길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1.01.26.
韓:
제17화姿を見せた大いなる標的
모습을 보인커다란 목표
日: 1981.02.02.
韓:
제18화あのナックルが烙印のメッセージ
그 너클이낙인의 메시지
야마토야 아츠시
(大和屋 竺)
日: 1981.02.09.
韓:
제19화戦うコンピューター金竜飛
싸우는 컴퓨터김용비
日: 1981.02.16.
韓:
제20화俺のバンタム減量への挑戦
나의 밴텀감량으로의 도전
타카야시키 히데오日: 1981.02.23.
韓:
제21화力石の唄が聞こえる
리키이시의노래가 들려온다
日: 1981.03.02.
韓:
제22화そして計量の朝
그리고계량의 아침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1.03.09.
韓:
제23화燃える野獣と氷
불타는 야수와얼음
日: 1981.03.16.
韓:
제24화ゴングが鳴った悪魔のリング
벨이 울린다악마의 링
야마토야 아츠시日: 1981.03.23.
韓:
제25화第6ラウンド奇跡が起った
제6라운드기적이 일어났다
日: 1981.03.30.
韓:
제26화チャンピオンそして、敗者の栄光
챔피언그리고 패자의 영광
젠후쿠 지로[8]
(善福次郎)
日: 1981.04.06.
韓:
제27화ボクシングその鎮魂歌
복싱그 진혼가
日: 1981.04.13.
韓:
제28화ホセがいるハワイへ
호세가 있는하와이로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1.04.20.
韓:
제29화初防衛なるか矢吹丈
첫 방위인가야부키 죠
日: 1981.04.27.
韓:
제30화偉大なるチャンピオンホセ
위대한 챔피언호세
타카야시키 히데오日: 1981.05.04.
韓:
제31화Vサインその意味するものは
V사인그 의미란
日: 1981.05.11.
韓:
제32화さらば古き愛しきものたち
안녕과거의 사랑한 사람들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1.05.18.
韓:
제33화アメリカから来た13人目のキング!?
미국에서 온 13번째 킹!?
日: 1981.05.25.
韓:
제34화カードと共に散ったあいつ
카드와 함께 흩어진그 녀석
日: 1981.06.01.
韓:
제35화チャンピオンはひとり
챔피언은단 하나
타카야시키 히데오日: 1981.06.08.
韓:
제36화葉子新たなる企て
요코새로운 계획
타케우치 요시오
(竹内啓雄)
日: 1981.06.15.
韓:
제37화野性児その名はハリマオ
야생아 그 이름은하리마오
시노자키 요시미사키마쿠라日: 1981.06.22.
韓:
제38화意外な訪問者ゴロマキ権藤
의외의 방문자고로마키 곤도
-日: 1981.06.29.
韓:
제39화ジャングルに野獣が二匹
정글에서야수가 두 마리
사키마쿠라日: 1981.07.06.
韓:
제40화燃えろジョー標的が近い
불타는 죠목적이 가깝다
타카야시키 히데오日: 1981.07.13.
韓:
제41화ホセ来日ㅊ!
호세 일본 방문싸움의 날은 다가왔다!
타케우치 요시오日: 1981.07.20.
韓:
제42화衝撃葉子の予感
충격요코의 예감
사키마쿠라日: 1981.07.27.
韓:
제43화ジョー・段平二人の日々
죠, 단페이두 사람의 나날
시노자키 요시미日: 1981.08.03.
韓:
제44화葉子その愛
요코그 사랑
日: 1981.08.10.
韓:
제45화ホセ対ジョー闘いのゴングが鳴った
호세 대 죠싸움의 벨이 울렸다
타카야시키 히데오日: 1981.08.17.
韓:
제46화凄絶果てしなき死闘
처절함끝없는 사투
日: 1981.08.24.
韓:
제47화青春はいま燃えつきた
청춘은 지금불타올랐다
日: 1981.08.31.
韓:


3.5.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1기와 더불어 일본 애니메이션사에 남을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시리즈 최고작이라는 평이 많다.


4. 극장판 2기: 내일의 죠 2[편집]


1981년 개봉한 TV판 2기를 재편집한 극장판. TV판과 동시에 제작이 진행되었고 극장판에 들어갈 장면을 TV판을 만들 때 미리 정해두고 그러한 장면들은 극장판 수준으로 만들었다. 그런 장면을 모아서 편집했기 때문에 TV판 재편집 극장판이라고는 해도 질이 높다.

카를로스 리베라호세 멘도사를 중심으로 편집했으며 그 외의 선수들의 이야기나 드라마는 많이 생략되었고 시라키 요코의 비중도 줄었다. 편집이 잘 된 작품으로 시간이 없다면 볼만한 작품이나, 생략된 게 많으므로 제대로 볼 거라면 TV판을 권장한다.

마지막 싸움은 TV판보다 먼저 제작해서 TV판보다 완결편을 선행공개했으며, TV판에도 다시 쓰였다.

오시이 마모루는 1981년에 나온 전세계 모든 영화 통틀어 이게 가장 뛰어났다고 평했다. #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는 TV판과 음향이 다르고 작화나 촬영 미스가 있는 걸 나중에 TV판에서 고쳤다며 TV판이 더 낫다고 평했다.


OST는 '明日への叫び'(내일을 향한 외침)으로 죠 야마나카(ジョー山中)가 불렀다. 그리고 후술할 국내 방영 때 김종서가 부른 번안곡의 원곡으로도 유명하다.

5. 한국 방영[편집]


한국에는 2기가 동아미디어 C&C 시티 미디어라는 곳에서 비디오로 1993년 초에 챔피언이란 제목으로 발매되었고, MBC에서 '도전자 허리케인'이라는 이름으로 방영했다. MBC 방영 당시 번역은 김성연, 녹음 연출은 신석균 PD였다.



이름도 묻지마라 고향도 묻지마라.

싸움과 눈물로 얼룩진 내 인생.

흘러간 세월이 메말라버린 인정에

두 주먹 불끈 쥐면 내일이 샘솟고

험한 세상 가시밭길

고독한 정글은

빛나는 벨트 속에 서광을 비추고

나는 바람타고 달린다.

영광 찾아 달린다.


MBC 방영 시절 제법 인기를 끌었는데, 당시 주제가[9]를 부른 가수부터가 '겨울비'를 비롯해 수많은 히트곡을 내놓으며 성공적인 솔로 커리어를 이어가던 김종서였는데다,[10]1993년 5월 28일 <보거스는 내친구> 후속으로 '스포츠 만화극장'을 신설하여 본편 방송 전에 극장편집판을 부처님 오신 날 특선으로 방영하여 결말을 미리 보여준 바 있다. 이후부터 매주 금요일 오후 5시 10분마다 편성되어 2기부터 이후에 방영했다가 바로 김용비와 결전을 치루기 전에 갑자기 소리소문없이 방영을 끝내버렸다. 한국인 김용비는 페드로라는 이름으로 바꿔버렸음에도 이런 방영 중단에 대하여 애니메이션 평론가이자 애니메이터인 송락현은 한국인을 상대로 했기에 정서적으로 반감을 받을까봐 소리소문 없이 중단했으리라 추정했는데 때마침 1994 미국 월드컵 최종예선전에서 하필 일본한테 0:1로 패배한 직후라 이런 해석도 일리가 있었다.

더불어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후로도 극장편집판 중 하나가 1996년 여름방학 특선으로 8월 17일 토요일 오후 2시에 MBC에서 갑자기 방영된 바 있다. 이 애니는 호세 멘도자와 경기 직전 상대랑 경기를 벌이는 에피소드로 극중 경기를 앞두고 일장기가 나오는 부분이 삭제됐다. 즉 93년 페드로 아니 김용비와 경기 이후 이야기를 담았던 것. 이걸 보면 아무래도... 송락현이 추정한 것이 맞을지도 모르겠다.


1996년 8월 17일 여름방학 특선 방영판 오프닝

1996년 방영판 오프닝은 성우진을 보면 구별할 수 있는데 더불어 93년 방영판보다는 화질이 조금 좋다 바로 1993년판에는 갓 성우 데뷔한 안장혁이나 1994년에야 성우로 대뷔한 김영선이라든지 박조호 (본명인 박지훈으로 나온다.) 1995년에 데뷔한 박소라, 1996년 갓 데뷔한 윤성혜같은 성우 이름이 없는데 1996년 방영판 오프닝에는 이 성우들 이름이 올라와있다.

그리고, 이전 이야기를 다룬 1기 극장판은 상술했듯이 몇 달 뒤인 1997년 1월 25일 토요일 오후 1시 5분에 극장판이 더빙되어 MBC 겨울방학 특선으로 방영했고 이 버젼은 2001년에 크림비디오라는 업체에서 2부로 나뉘어서 비디오로 냈다.

만화책판에서는 한국인 김용비가 킹 코브라란 이름의 태국 국적 인물로 바뀌어서 들어왔다. 버젼은 불명이지만 김용비를 일본 독음 그대로 번역해 일본인으로 변경한 버젼도 있다.

그리고 투니버스 개국 초창기인 1996년에 MBC 당시 성우들을 대다수 섭외해 제작해 전편을 무사히 방영을 끝냈고 극장판도 방영하였다.[11] 워낙 인기가 좋아서 1998년 재방영하기도 했다.

2000년대 중순에 극장판 2편이 대주미디어를 통해 재더빙하여 DVD로 발매한 바 있으며, 2006년에는 극장판이 애니박스에서 '챔피언 죠'라는 이름으로 더빙 방영된 적이 있다.

2020년, 애니박스에서 자막판으로 방영하고 있다. 등급은 19세 이상.


6. OST[편집]




워낙 유명한 작품이다 보니 OST도 잘 나간 축에서 속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TV판 1기 오프닝으로 비토 이사오[12]가 불렀다. 그야말로 바닥을 박박 기는 듯한 분위기가 인상적인 곡으로 작품과 더불어 한 세대를 풍미했다. 2기는 그에 비하면 훨씬 리듬감이 강해졌지만, 아무래도 상징적인 곡은 1기이다. 가사도 인상적인데 만능 예술인 테라야마 슈지가 작사했다.

한국판인 도전자 허리케인의 주제가는 김종서가 불렀으며 지금도 명곡으로 회자되고 있다.[13][14] 사실 이 곡이 명곡으로 꼽히는 것은 김종서의 열창 덕분이고 가사만 보면 분위기만 잡았지 도저히 앞뒤가 안 이어지는 멋진 물건이다. 어쩌면 이게 애니메이션과 어울렸을지도. 또한 투니버스에서 방영할 당시엔 창작곡을 썼으나 현재는 오프닝 영상조차 남아있지 않다. 다행인 것은 투니버스 만화영화 주제가 BEST WE에 오프닝곡이 수록되어 있다.

[1] 이 에피소드를 연출한 사람이 토미노다.[2] 불명이라고 써져있는 경우는 연출한 사람이 콘티도 그린 것이다.[3] 원화 사사카도 노부요시, 신도 미츠오, 카와지리 요시아키 등.[4] 후반부 명장면 대부분은 오오하시 마나부가 그렸다.[5] 시노자키 요시미는 베르사이유의 장미에서도 데자키 오사무와 합을 맞춘 바가 있다.[6] 대부분 재현에 성공했으나 호세와 죠의 승부에서 나온 #슬픈 야수의 눈 (호세가 보고나서 공포에 빠져 이성을 잃게 되는 죠의 눈빛.)은 재현에 실패했다고 감독도 인정했다. 이 장면을 위해 데자키 오사무, 스기노 아키오, 오오하시 마나부, 코바야시 시치로 같은 인물이 덤벼들었으나 그럼에도 실패했다. 이 표정은 심지어 원작자 치바 테츠야 자신 조차도 다시는 못 그린다고 하기도 했다.[7] 1기는 죠가 구토하는 걸 그대로 보여주지만 2기에서는 데자키 오사무가 매번 그래왔던 것처럼 빛이 떨어지는 것 처럼 묘사한다.[8] 각본가가 쓴 시나리오를 데자키 오사무가 직접 뜯어고쳐 콘티로 작성했기 때문에 이 이름으로 스태프롤에 등재되었다.[9] 앞서 언급한 극장판 2의 OST인 '明日への叫び'(내일을 향한 외침)의 번안곡이다.[10] 워낙 바쁜 스케쥴 일정 탓에 잠을 제대로 잘 시간 없이 녹음을 하러 다녔고 차에서도 쪽잠을 자곤 했다고. 김종서는 이 노래를 녹음 했을적에도, 그땐 불면증에 너무 시달려서 무슨 만화의 주제곡인지도 모른채 비몽사몽한 상태로 그냥 불렀다고 털어놓았다.[11] 완전히 그대로는 아니고 죠나 맘모스 사범 등의 주요 인물들은 그대로지만 카를로스 성우인 김명수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이 다른 성우로 대체되었다. MBC판 성우진을 그대로 가져오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였을 듯.[12] 배우이면서 동시에 가수로 한 가락한 인물이다. 내일의 죠를 제외하고 오타쿠계에서 알려질만한 참여작은 사립 저스티스 학원 정도. OP와 삽입곡 모두 불렀는데, OP 뜨거운 고동이 스쿨럼블의 매드무비에서 사용되면서 한동안 돌아다녔다.[13] 번안곡이다. 원곡은 내일의 죠 2 극장판 주제가 明日への叫び. 노래는 조 야마나카 (ジョー山中,1946~2011). [14] 다만 인터뷰에 의하면 김종서 본인은 워낙 배고픈 무명 시절 부른 것이어서 잘 기억나지 않는다는데 이 주제가가 들어간 2기는 MBC에서 1993년에 방영되었고 당시 김종서는 1992년에 낸 1집이 히트해서 이미 유명한 스타였다. MBC에서 과거에 가수들의 일대기를 라디오 드라마식으로 한 적이 있었을 때 MBC 측에서 '아무래도 좋으니 취향대로 만들어주십시오' 라고 했던 내용이 김종서편에 나온 적이 있었다. 아마 잊고 싶은 기억인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내일의 죠 문서의 r2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내일의 죠 문서의 r2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