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플래닛/출시상품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레일플래닛

파일:레일플래닛 로고_신.png

1. 개요
2. 현재 판매중인 전개도
3. 일반형 전개도 목록
4. 커팅형 전개도 목록
5. 주문제작 상품
6. 기타 상품
6.1. 키링
6.2. 탁상달력
6.3. 메모지
6.4. 기타
7. 사건 사고
7.1. 2021년 2월 서버 다운 사건
7.2. 2022년 12월 서버 다운 사건



1. 개요[편집]


지금까지 판매했던 레일플래닛 전개도, 주문제작상품, 기타상품을 정리한 문서다.
홈페이지바로가기
전개도바로가기
출시예정 전개도바로가기
전개도 조립강좌바로가기
주문제작상품바로가기
기타상품바로가기
또타 캐릭터 상품바로가기
렐플이 전개도 다운로드바로가기

2. 현재 판매중인 전개도[편집]



3. 일반형 전개도 목록[편집]


  • (괄호) 안에 기재되있는 건 행선지이고 표기된 연도는 최초 발행연도다.
  • 커팅모형은 별도로 분리하고 여기엔 일반형 모형만 기술한다.
  •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의 경우에 도색 구분은 아래와 같다.
도색 구분도색 설명
초기도색열차가 등장한 당시의 최초 도색(1970-80년대~1995)[1][2]
구도색1995년 철도청 한국철도 CI 제정에 의한 도색(1995~2005)[3][4]
자석도색2005년 한국철도공사 개편 당시 새로 제정된 도색(2005~)[5][6][7]
  • 미출시 전개도는 취소선 처리하였다.
  • 서울교통공사의 경우에는 노선마다 도색이 다르지만, 해당 노선에서 도색상의 차이는 크게 없어 별도로 신/구 도색 표기를 하지 않는다.

3.1. 수도권 전철 1호선[편집]



파일:초저항123.png
초저항(K) [8]
[[파일:한국철도공사 1x45편성(자석 도색).jpgheight=150]]
중저항 [9][10]
파일:한국철도공사 1x83편성(자석 도색).jpg
신저항 [11]
파일:한국철도공사 311x26편성(자석 도색).jpg
납작이 [12]
파일:한국철도공사 311x43편성(자석 도색).jpg
동글이 [13]
파일:코레일311083.jpg
뱀눈이
파일:20210920_134826.jpg
삼눈이
파일:1582875469294-4.jpg
주둥이
파일:1호선_312008.png
신주둥이
파일:class_1000.jpg
초저항(S)
파일:Resized_1565105062996.jpg
개조저항
파일:107편성vf.jpg
S차(VVVF)


운영 기관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한국철도공사초저항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2017년인천(초기도색)
수원(구도색)
2021년[14]성북(초기도색)[15]
의정부북부(구도색)[16]
중저항2017년/2018년인천(구도색)
소요산(자석도색)[17]
2018년금정(초기도색)
2018/2021년/2023년소요산,서동탄,병점,용산급행(자석도색)
신저항2018년인천(구도색)
용산급행(자석도색)
2021년부평(자석도색)
납작이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2017년의정부(구도색)
인천(자석도색)[18]
2020년천안(구도색)[19]
동글이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2018년/2020년의정부북부(구도색)
천안급행(자석도색)[20]
뱀눈이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2017년용산급행(자석도색)
삼눈이한국철도공사 312000호대 전동차2019년청량리(자석도색)[21]
주둥이한국철도공사 312000호대 전동차[22]2021년동두천급행(자석도색)
신주둥이한국철도공사 312000호대 전동차미정미정(신도색)
서울교통공사개조저항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2019/2020년인천[23]
초저항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2022년동대문
S차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2019/2021년광운대,서동탄


3.2. 서울 지하철 2호선[편집]



파일:Seoul Subway Line 2 Train_MELCO.jpg
MELCO초퍼
파일:233편성 성수역.jpg
개조MELCO초퍼
파일:1582607346250.jpg
광폭형GEC초퍼
파일:Seoul Subway Line 2 Train_1st_070722.jpg
인버터 1세대
파일:Seoul Subway Line 2 Train_2nd.jpg
인버터 2세대
파일:Seoul Subway Line 2 Train_NEW.jpg
인버터 3, 5세대
파일:238신정.jpg
인버터 4세대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MELCO초퍼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24]2019년외선순환
개조저항2023년까치산
광폭형 GEC초퍼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광폭형 초퍼제어 전동차[25]2020년성수
인버터 1세대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세대[26]2019년외선순환
인버터 2세대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세대[27]신도림
인버터 3/5세대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3세대[28]2020/2023년[29]순환/까치산
인버터 4세대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4세대[30]2022년신설동

3.3.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파일:345_Chopper.jpg
미개조초퍼
파일:343_Chopper.jpg
개조초퍼
파일:20190220144402_IMG_3913.jpg
인버터제어1세대
파일:335편성갑종.jpg
인버터제어2세대
파일:DSC_0002.jpg
일산선[31]

운영 기관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서울교통공사광폭형 GEC초퍼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32]2019년압구정
한국철도공사일산석 자석도색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33]2021년삼송
한국철도공사일산석 구도색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34]2020년/2023년수서/삼송
서울교통공사인버터제어1세대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35]2019년오금
서울교통공사인버터제어2세대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36]2023년대화
서울교통공사광폭형 개조 GEC초퍼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개조 초퍼제어 전동차2021년구파발


3.4. 수도권 전철 4호선[편집]



파일:1648369365741.jpg
납작이 [37]
파일:1587226446670.jpg
동작이 [38]
파일:IMG_8758.jpg
주둥이
파일:4호선_341038(22.03).png
신주둥이
파일:서울교통공사 4x63.jpg
인버터제어 1세대(S차)
파일:4호선밥통.jpg
인버터제어 2세대

운영 기관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한국철도공사납작이 자석도색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39]2018년오이도
납작이 구도색2018년당고개
동작이 자석도색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40]2017년안산
동작이 구도색2019년안산
주둥이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41]2020년[42]
한국철도공사신주둥이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43]미정미정(신도색)
서울교통공사인버터제어1세대(S차)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4][45]2020년산본
인버터제어2세대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6][47]2022년진접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GEC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2023년[48]사당


3.5. 수도권 전철 5호선[편집]



파일:1579706994008.jpg
1세대
파일:579편성.jpg
2세대
파일:7EFB2998-025B-4C8A-8E37-4FE444FAAB61.jpg
3세대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1세대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49][50]2020년상일동
2세대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51]2021년하남검단산
3세대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52]2022년하남검단산


3.6. 서울 지하철 6호선[편집]



파일:6호선_6137.jpg
1세대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1세대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53]2019년/2023년신내/응암순환


3.7. 수도권 전철 7호선[편집]



파일:1578884978491.jpg
1세대
파일:7054도봉.jpg
2세대
파일:20200111_200319.jpg
3세대
파일:39349394934939494939493949.jpg
4세대
파일:7호선 W701 갑종회송.jpg
5세대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1세대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54]2023년도봉산
2세대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55]2019년부평구청
3세대인천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56]2020년장암
4세대인천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57]2021년석남
5세대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58]2022년온수


3.8. 서울 지하철 8호선[편집]



파일:1587373896616.jpg
1세대
파일:1584361585669.jpg
2세대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1세대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59]2020년가락시장
2세대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60]2022년암사


3.9.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편집]



파일:IMG_1970.jpg
납작이 [61]
파일:한국철도공사 351x27편성.jpg
동글이
파일:351036편성.jpg
뱀눈이
파일:수인분당선왕십리행_351073.png
삼눈이
파일:수인분당선_351044.png
신주둥이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납작이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62]2019년죽전(자석도색)
동글이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63]2022년인천
뱀눈이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64]미정미정
삼눈이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65]2019년인천(자석도색)
신주둥이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66]2023년[67]왕십리

3.1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편집]



파일:대곡역 13편성.jpg
뱀눈이(스테인리스)
파일:대곡역 01편성.jpg
뱀눈이(알루미늄)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스테인리스 차체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68]미정미정
알루미늄 차체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69]2018년문산
자전거열차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자전거열차 전용 도색[70]2019년용문
동해선 알바차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임진강셔틀[71]2020년임진강


3.11. 수도권 전철 경춘선[편집]



파일:경춘선 전동열차-361x12.jpg
뱀눈이
파일:ITX청춘.jpg
ITX청춘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뱀눈이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72]2017년춘천
ITX-청춘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73]


3.12. 수도권 전철 경강선[편집]



파일:Gyeonggang_line_05_Sindundoyaechon_Gonjiam.jpg
삼눈이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삼눈이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74]2018년여주


3.13. 인천국제공항철도[편집]


인천국제공항철도 전동차 전개도는 2017년 3월 18일 검암역에서 진행되었던,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 10주년 기념 종이모형 체험행사 간에 선착순으로 무상배포되었던 전개도였다. 이후 다뿌리지 못한 재고 물량은 배송료를 내는 조건으로 온라인에서 무상으로 배포하였다. 이 이후로 모종의 이유로 더 이상 공항철도 전개도는 출시되지 않고 있다.

파일:AREX.jpg
일반
파일:공항철도_직통열차_신도색.jpg
직통[75]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일반열차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76]2017년서울역(비매품)
직통열차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77]인천공항(비매품)


3.14. 동해선 광역전철[편집]



파일:동해선-381001편성.jpg
삼눈이
파일:korail-381000-17.jpg
주둥이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행선지
주둥이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2세대[78]2019년/2022년부전/남창[79]
삼눈이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1세대[80]2020년/2022년임진강[81]/태화강


3.15. 한국철도공사 소속 고속열차[편집]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비고
KTX-1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2016년
2023년
KTX-산천한국철도공사 110000호대 전동차2023년
2020년[82]
KTX_산천(원강)한국철도공사 140000호대 전동차2019년
KTX_산천(호남)한국철도공사 120000호대 전동차2017년


3.16.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편집]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비고
4400호대EMD GT18B-M2018년/2023년
7300호대EMD GT26CW2017년/2020년레일크루즈 해랑 전용기
7400호대2017년/2022년신도색
7400호대2017년구도색
7500호대2019년고추장도색[83]
8200호대8200호대 전기기관차(오이로슈프린터)2017년/2021년/2022년


3.17. 한국철도공사 소속 여객열차[편집]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비고
PP동차DHC 디젤동차2019년구도색(선두차, 일반실)
2018년신도색(선두차, 일반실, 특실, 식당차)
새마을호 객차새마을호 유선형 객차신도색(일반실)
새마을호 유선형 객차2019년구도색(일반실)
새마을호 리미트 승격형 객차2018년(일반실)
ITX-새마을 열차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2017년/2020년/2023년
무궁화호 리미트객차무궁화호 리미트 객차2017년/2021년신도색
무궁화호 나뭇결객차무궁화호 나뭇결 객차 후기형신도색
무궁화호 나뭇결 카페객차무궁화호 나뭇결 객차 카페객차2017년신도색
무궁화호 해태 특실객차무궁화호 해태 특실객차2021년신도색
무궁화호 리미트객차무궁화호 리미트 객차2019년구도색
CDCCDC 디젤동차2017년신도색(선두차, 일반실)
구도색(꽃무늬테마도색/선두차, 일반실)
2018년/2023년구도색(백제왕관테마도색/선두차, 일반실)
구도색(갈매기와 돌고래 테마도색 A/B[A/B] /선두차, 일반실)
초기도색(국철도색/선두차, 일반실)
RDCRDC 디젤동차2018년/2020년/2023년
NDCNDC 디젤동차2015년
누리로TEC 전동차(1차 단체 개발 버전)
EEC우등형 전기동차2022년
통일호 객차통일호 원조객차형2017년
비둘기호 객차비둘기호 견인형객차2019년


3.18. 한국철도공사 소속 관광열차[편집]


운영기관실제차량명칭출시년도비고
한국철도공사O-TRAIN2019년
레일크루즈 해랑2019년
동해산타열차2021년
교육전용열차2022년


3.19. 한국철도공사 소속 화물열차[편집]


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비고
무개화차무개화차2023년[84]


4. 커팅형 전개도 목록[편집]


  • 커팅형 모형은 일반형 전개도보다 사이즈가 약간 작게 제작된다.[85]
  • 이벤트성 전개도 (반포역 행사용)는 집에서는 맞출수 없다. 비매품이어서 맞추고 가라고 한다.
  • 일반 판매는 거의 진행하지 않으며 이벤트성으로만 발매되고 있다. 2018년에 노량진역 행사와 2019년 경원선 통근열차 운행중단 시기에 발매된 CDC동차 전개도만 일반 판매가 되었다.

운영기관애칭실제 차량 명칭출시년도비고
한국철도공사중저항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2018년철도공사도색(철도박물관 행사용/동인천급행)
신저항철도공사도색(철도박물관 행사용/용산급행)
납작이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신도색(철도박물관 행사용/동두천)
뱀눈이신도색(철도박물관 행사용/소요산)
서울교통공사2호선GEC초퍼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GEC초퍼2019년295편성(반포역 행사용/내선순환)
인버터제어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3세대(반포역 행사용/내선순환)
3호선GEC초퍼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GEC초퍼(반포역 행사용/독립문)
4호선(현대)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현대산2018년(철도랑 놀자! 행사용/사당)
4호선(대우)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대우산2019년(반포역 행사용/당고개)
5호선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반포역 행사용/방화)
7호선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반포역 행사용/부평구청)
한국철도공사자전거열차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자전거열차 전용 도색(용문)
경춘선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춘천)
ITX-청춘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춘천)
CDCCDC 디젤동차신도색(선두차)(중간차)
삼눈이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2020년신도색 선두차 (철도박물관 칙칙폭폭 기차학교 체험학습/인천)[86]

5. 주문제작 상품[편집]


  • 스마트폰 케이스 : 열차 전두부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는 케이스이다.
    • 젤리케이스K : 12,000원
    • 카드케이스K : 17,000원
    • 터프케이스K : 17,000원
    • 하드케이스K : 과거 판매했던 케이스로 터프케이스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 스마트톡K S : 8,000원. 지하역 원형 역명판 디자인으로, 원형 역명판이 없는 섬식역이나 지상역은 제작이 불가하다.
  • 보조배터리K : 5000mA, 10000mA 두가지 용량, 총 2개의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한동안 판매되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단종되었다.


6. 기타 상품[편집]


K : 코레일 라이선스 상품
S : 서울교통공사 라이선스 상품

6.1. 키링[편집]


  • 열차 아크릴 키링K S : 5,000원. 열차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는 키링이다.
  • 행선판 아크릴 키링K S : 5,000원. 여객열차 측면에 끼우는 행선판 모향의 키링이다.
  • ATS 아크릴 키링K S : 5,000원. ATS 열차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키링이다.
  • 역명판 아크릴 키링 K 6,000원. 역명판이 인쇄돼있는 키링이다.
  • 쿨메레일즈! 아크릴 키링K S : 5,000원. 쿨메레일즈! 열차 의인화 캐릭터 키링이다.

6.2. 탁상달력[편집]


연말마다 다른 철도동호회들과 연합하여 탁상달력을 출시한다. 부록으로 미니 종이모형이 포함된다.
  • 2017년 : 레일플래닛 단독 제작. 1호선 뱀눈이, 초저항 미니모형 포함. 표지는 ATS의 KTX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7,000원
  • 2018년 : SBM, 티카페 연합 제작. 분당선 미니모형 포함. ATS동글동글 기지이야기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6,500원
  • 2019년 : SBM, 티카페, 메트로픽스 연합 제작. 중저항 3종 미니모형 포함. 별도 일러스트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5,000원
  • 2020년 : SBM, 티카페 연합 제작. 서울지하철공사 1호선 개조저항과 2호선 초퍼제어 미니모형 포함. 쿨메레일즈!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5,000원
  • 2021년 : 레일플래닛 단독제작, 서울지하철의 전동열차가 미니모형으로 등장했다. 달력 발매 최초로 쿨메레일즈!와 ATS, 동글동글 기지이야기 일러스트가 총 등장했다.
  • 2022년 : 서울도시철도 5호선,7호선 미니모형 포함. 레일플레닛 열차가 그려저있다. 5000원
  • 2023년 : 철도청 5000호대, 2030호대 전동차 미니모형 포함, 표지는 레일플래닛 캐릭터 렐플이가 그려져 있다. 6000원

6.3. 메모지[편집]





6.4. 기타[편집]


  • 행선판 아크릴 자석K : 판매종료
  • 역명판 아크릴 자석K : 판매종료
  • 트라이탄 보틀K : 판매종료. 동글동글 기지이야기의 작가의 그림이 그려진 물통이다.
  • L홀더 파일K : 판매종료
  • 카드형 USB 메모리K : 판매종료
  • 동글동글 기지이야기 머그컵K : 판매종료
  • ATS 머그컵K : 판매종료
  • 쿨메레일즈! 머그컵S : 판매종료
  • 또타 캐릭터 상품S:판매중
    • 또타 가방고리 인형 : 9,900원. 그동안 서울교통공사에서 이벤트 참가할 경우 제공되는 인형과 동일한 인형을 판매하고 있다. 심지어는 제조사도 교통공사 제공품과 동일한 제조사로 단지 차이는 라벨텍에 판매처가 레일플래닛으로 작성된 것 빼곤 동일하다.
    • 또타 뱃지 : 개당 7,500원. 니켈 가공품으로 네가지 형식으로 출시했다.
    • 또타 USB 메모리 : 12,000원. USB 3.0을 지원하는 32GB 용량의 USB 메모리이다.
    • 또타 피규어 : 또타 인형과 동일한 색상이다. 사무실 현장 판매에서는 한정판으로 2~8호선 색상 피규어도 판매한다.
    • 또타 티머니 교통카드(한정판) : 7500원(등기우편비 2500원 포함). 신도림 디큐브시티 또타스토어에서 판매되었던 한정판 교통카드. 방문객이 적었던 평일에 완판되지 않고 남은 카드 재고수량과 팝업스토어 개최 전 카드 검수 과정에서 확인된 인쇄불량 카드에 대해 티머니 본사를 통해 다시 제작한 수량이 포함된다. 1인당 1개씩만 구입 가능.

  • 뱀눈이 부채 : 이건 사무실에서 서비스로 준다.[87]

7. 사건 사고[편집]



7.1. 2021년 2월 서버 다운 사건[편집]


2021년 2월 19일 12시 당시 신규전개도였던 초저항이 출시하기 30분전부터 수많은 소비자가 새로고침을 하면서 서버를 다운 시킨 사건...이 사건 이후로 다시는 출시 시각을 밝히지 않는다.

7.2. 2022년 12월 서버 다운 사건[편집]


2022년 12월 13일 18시경 2023년달력 취소분 재입고시간을 밝혀 또 다시 사용자 급증으로 서버가 다운되었다.[8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3:41:23에 나무위키 레일플래닛/출시상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래서 1995년 이후에 만들어진 신저항부터는 초기도색이 없다.[2] 우유 도색이라고도 불린다.[3] 그래서 2005년 이후에 만들어진 뱀눈이부터는 구도색이 없다.[4] 역삼각 도색이라고도 불린다.[5] 현재 모든 코레일 지하철은 이 도색을 쓰고 있다. 단 경춘선은 제외.[6] 자석도색이라고도 불린다.[7] 참고로 1호선은 자석 그대로, 분당선은 빨간색이 노란색. 4호선은 빨강색이 파란색과 같이 바뀐다.[8] 파일:1782a5f835ac55ca2afbd7f660187ec1.jpg
초저항(구도색)
[9] 파일:한국철도공사 1x56편성(역삼각 도색).jpg
중저항(구도색)
[10] 파일:한국철도공사 1x54편성(터널 도색).jpg
중저항(초기도색)
[11] 파일:한국철도공사 1x83편성(역삼각 도색).jpg
신저항(구도색)
[12] 파일:external/www.2427junction.com/1c01koreaseoul.jpg
납작이(구도색)
[13] 파일:external/www.betanews.net/e5e75a0c.png
동글이(구도색)
[14] 1974년 개통당시 버전은 4량 세트판매(성북역), 일반판은 구도색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행선판은 의정부북부역, 이미 2020년 5주년 이벤트때 전개도 이상형 올림픽을 통해 당선된 모형으로 출시 당일 20분만에 최초 물량이 품절되어 단체에서 추가 물량을 발주했으며, 개통당시 버전은 1인 1세트 제한임에 불구하고 1시간뒤에 품절되었다.[15] 현재 광운대역.[16] 현재 가능역.[17] 또 다른 버전으로는 동인천 급행 버전으로 2018 어린이날 특집 철도축제때 나온 한정판 버전이 있다.[18] 2019년 레솔레파크 겨울축제때 서동탄행 비매품 버전이 나오기도 했다. 링크[19] 이 버전이 구도색 코레일 로고 버전이다.[20] 롤지 버전의 경우 행선지는 천안역급행, 선두차에는 여성-노약자 전용 표시가 붙어있다. 고증오류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실제 신도색 차량 도입 초기에는 해당 표지가 붙어있었다. 참고[21] 2019년 버전이므로 청량리가 가능하다. 만약 2020년 기준이면 시간표 개정으로 청량리가 아닌 청량리 급행이 되어야 한다.[22] 현대로템 제작[23] 양주행은 10량편성 개조저항 111편성에 있다.[24] 현대정공 제작[25] 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 제작[26] 현대로템 제작[27] 현대로템 제작[28] 다원시스 제작[29] 5월 5일 의왕철도축제 행사상품[30] 현대로템 제작[31] 파일:61a-20312.jpg
일산선(구도색)
[32] 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 제작[33] 현대정공 제작[34] 현대정공 제작[35] 현대로템 제작[36] 다원시스 제작[37] 파일:2054편성.png
납작이(구도색)
[38] 파일:attachment/341000_2nd.png
동작이(구도색)
[39] 한진중공업,대우중공업,현대정공 제작[40] 대우중공업 제작[41] 현대로템 제작[42] (당고개, 용산급행, 동인천급행, 회송, 시운전 중 선택) 커스텀 가능, 세트를 사면 스티커가 증정됐었다.[43] 현대로템 제작[44] 대우중공업 제작[45] 서울메트로 버전으로 출시되었다.[46] 현대로템 제작[47] 밥통 특유의 둥근 전두부 때문에 제작자가 애를 많이 먹었다고 한다[48] 5월 6일 의왕철도축제 행사상품[49] 현대정공 제작[50] 서울도시철도 내장재 개조전 전개도이다.[51] 현대로템 제작[52] 우진산전 제작[53] 현대정공 제작[54] 대우중공업 제작[55] 한진중공업 제작[56]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자체제작,로윈 제작[57] 다원시스 제작[58] 우진산전 제작[59] 대우중공업 제작[60] 한진중공업 제작[61] 파일:korail2047.jpg
납작이(구도색)
[62] 대우중공업,한진중공업 제작[63] 현대로템 제작[64] 현대로템 제작[65] 현대로템 제작[66] 현대로템 제작[67] 5월 5일 의왕철도축제 행사상품[68] 현대로템 제작[69] 현대로템 제작[70] 현대로템 제작[71] 현대로템 제작[72] 현대로템 제작[73] 현대로템 제작[74] 현대로템 제작[75] 전개도는 구도색으로 출시되었다.[76] 현대로템 제작[77] 현대로템 제작[78] 현대로템 제작[79] 현장판매 [80] 현대로템 제작[81] 경의중앙선 알바차 [82] 이 버전은 옆 스티커가 붙은 버전이다.[83] 화물전용도색[A/B] 차이점은 선두차문에 그려저 있는 그림이 다른것인데, A는 무지개이고 B는 석양(노을)이다.[84] 5월 6일 의왕철도축제 행사상품[85] 문의해본 바에 따르면 장비로 커팅을 하기 위해서 여백이 필요하여 일반형 모형보다 조금 작게 만들수밖에 없다고 한다.[86] 링크 https://cafe.naver.com/railplanet/12369 코로나 19로 행사 취소로 추측.[87] 근데 왜 수인분당선 삼눈이 편성이 왜 신주둥이(351X44) 편성일까?[88] 정식판매시 1인당 3부 구매가능이라 빨리팔린것도 그렇고 한정수량에 인기까지 워낙 많아서 2023년달력이 무려 23시간만에 팔린탓에 취소분 구매를 대다수가 기다리고 있었고 심지어 입고 시각까지 공개되어 18시에 새로고침하거나 사이트에 많은사람이 들어가는 사람이 급증하여 다운한것으로 추정.얼마나 접속자가 많았으면 서버 터질것에 대비하여 준비까지 했는데 다운될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