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투 킹덤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로드 투 킹덤 FINAL


컴백전쟁 시리즈
SEASON 1SEASON 2
파일:m_logo.png파일:roadtokingdom logo.png파일:엠넷 킹덤 로고.png



파일:roadtokingdom logo.png

[ 노래 목록 ]
[ 2차 경연 - 나의 노래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펜타곤빛나리+봄눈이던, 후이, 유토, 우석Flow Blow, 후이, 이던Flow Blow#
키노, 유토, 우석키노, 네이슨(NATHAN), HOHO네이슨(NATHAN), HOHO
02온앤오프The 사랑하게 될거야황현(MonoTree)#
03골든차일드WANNABE (Sampling Paganini 24 Caprices No.24 In A Minor Op.1)BLSSD, (랩메이킹)이장준, TAGBLSSDDJ Kaesama
@M.any.Plndy
#
04원어스가자 (LIT)김도훈, 이상호, Inner child (Monotree), RAVN김도훈, 이상호, Inner child (Monotree)이후상(RBW), 밍키(RBW)#
05VERIVERYPHOTOWklyCarl Rydén, Cazzi Opeia, Ellen Berg, Gabriel BrandesCoke paris#
06TOOMagnolia (매그놀리아)이스란Tyler Shamy빅싼초, 박해일#
07더보이즈REVEAL (Catching Fire)황유빈Drew Ryan Scott, Justin Reinstein, Phil Schwan, Sean AlexanderOhway!(PRISMFILTER)#
[ 1차 경연 - 왕의 노래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원어스H.O.T. -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유영진유영진, 이후상(RBW), 밍키(RBW)#
02TOO동방신기 - Rising Sun (순수)유영진유영진, 탁(TAK)#
03VERIVERY세븐틴 - 만세WOOZI, S.COUPS, 원우, 민규, VernonWOOZI, BUMZUBUMZU, PUFF#
04골든차일드신화 - T.O.P유영진, 에릭, (랩메이킹)장준, TAG유영진유영진, DJ Kaesama
@M.any.Plndy
#
05온앤오프SHINee - Everybody조윤경Thomas Troelsen, Coach & Sendo황현(MonoTree)#
06펜타곤블락비 - Very Good지코지코, Poptime지코, Poptime, Mimit, Chiic, 후이#
07더보이즈태민 - 괴도 (Danger)서지음, (랩메이킹)선우(THE BOYZ)Thomas Troelsen, Remee S.JackmanThomas Troelsen, Remee S.Jackman, Command Freaks, Curtis.F, NATHAN, Jun_p#
[ 3차 경연 1라운드 - 컬래버레이션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VERIVERY, TOO방탄소년단 - ONPdogg, RM, August Rigo, Melanie Joy Fontana, Michel Lindgren Schulz, SUGA, j-hope, Antonina Armato, Krysta Youngs, Julia RossPdogg, RM, August Rigo, Melanie Joy Fontana, Michel Lindgren Schulz, SUGA, j-hope, Antonina Armato, Krysta Youngs, Julia RossCoke paris#
02펜타곤, 온앤오프BLACKPINK - Kill This LoveTEDDY, Bekuh BOOMTEDDY, R.Tee, 24, Bekuh BoomTEDDY, R.Tee, 24, AVOKID(메이보 키드), 후이#
03더보이즈, 원어스선미 - 주인공TEDDY, 선미, (랩메이킹)이도(ONEUS), 선우(THE BOYZ)TEDDY, 2424, 이후상(RBW), 밍키(RBW)#

[ 3차 경연 2라운드 - 너의 노래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원어스인피니트 - 내꺼하자송수윤, RAVN김승수, 한재호이후상(RBW), 밍키(RBW), 코코두부아빠#
02TOOGOT7 - 하드캐리earattack , 유근earattack , 리시 , 유근Score(13) , Megatone(13) , LUKE (13)#
03온앤오프 - It's Raining박진영 (J.Y. Park `The Asiansoul`)황현 (Mono Tree), 와이엇#
04펜타곤몬스타엑스 - Follow서지음, 브라더수, 주헌, I.MDaniel Kim, Willie Weeks, Andreas Öberg, Skylar MonesWillie Weeks, Minit, 후이#
05VERIVERY마마무 - 고고베베김도훈, 솔라, 문별김건모, 김도훈김도훈, Coke paris#
06더보이즈VIXX - 도원경정일리, 라비Devine ChannelOhway!(PRISMFILTER)#

[ FINAL 경연 ]
트랙아티스트곡명작사작곡편곡링크
01원어스COME BACK HOME박우상, RAVN, 이도김도훈 (RBW), 박우상, 이상호이상호, 박우상, 이후상, 밍키 (RBW)#
02VERIVERYBeautiful-x진리 (Full8loom)영광의 얼굴들 (Full8loom), 진리 (Full8loom), Jake K (ARTiffect)영광의 얼굴들 (Full8loom), Jake K (ARTiffect)#
03더보이즈CHECKMATE조윤경Imazine, 네이슨 (NATHAN), Andreas OhrnImazine, 네이슨 (NATHAN)#
04펜타곤바스키아후이, 우석후이, 네이슨 (NATHAN), 우석, yunji네이슨 (NATHAN), yunji#
05온앤오프신세계 (New World)황현 (Mono Tree), 와이엇황현 (Mono Tree), MK황현 (Mono Tree)#



로드 투 킹덤
Road to Kingdom (2020)
파일:로드 투 킹덤 로고.png
방송사파일:엠넷 로고.svg
제작사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파일:CJ ENM 로고.svg
방송 시간매주 목요일 오후 8시
방송 기간2020년 4월 30일 ~ 2020년 6월 18일
장르서바이벌 프로그램
제작진 기획신정수
연출조욱형, 이병욱, 조혜미
출연 진행이다희, 장성규
참가펜타곤, 온앤오프, 골든차일드, 더보이즈, 원어스, VERIVERY, TOO
제작협찬이니스프리, 후즈팬(Whosfan)
시청 등급파일:Mnet 15 2019.png 15세 이상 시청가
외부 링크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최종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준우승}}}

1. 개요
2. 특징
2.1. 예고편
2.2. 기획 의도
2.3. 경연 방식
3. 참가자
5. 사전 선호도 조사
5.1. 첫 번째 사전 선호도 조사 (90초 퍼포먼스)
5.2. 두 번째 사전 선호도 조사 (1차 경연)
6. 경연 진행 결과
6.1. 90초 퍼포먼스
6.2. 1차 경연 (왕의 노래)
6.3. 2차 경연 (나의 노래)
6.4. 3차 경연 1라운드 (컬래버레이션)
6.5. 3차 경연 2라운드 (너의 노래)
6.6. FINAL 경연 (생방송)
6.7. 합산 결과
7. 평가
7.1. 방영 전 반응
7.2. 방영 후 반응
8. 방영 목록
9. 음원 발매
10. 포스터
11. 여담




1. 개요[편집]


살아남아라, 로드 투 킹덤!

엠넷의 서바이벌 프로그램. 〈킹덤: 레전더리 워〉와 함께 〈컴백전쟁: 퀸덤〉의 후속작으로, 〈로드 투 킹덤〉이라는 이름답게 이번에는 보이그룹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한다.[1] 3월 20일 첫 촬영이 시작되었으며, 4월 30일 첫 방영한다.


2. 특징[편집]



2.1. 예고편[편집]


2020.04 Coming soon그들의 전쟁이 시작됩니다, 살아남아라!


2.2. 기획 의도[편집]


파일:로드투킹덤 introduce_txt.png


2.3. 경연 방식[편집]


파일:로드 투 킹덤 평가 방식.jpg
  • 전작인 컴백전쟁: 퀸덤과 동일하게 3번의 사전 경연과 1번의 생방송 경연으로 이루어진다.
  • 퀸덤에서 진행되었던 출연자들끼리 한 수 위·아래를 뽑는 평가 방식은 폐지되었으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현장 관객 평가가 불가능하게 되면서 동영상조회 누적점수[2]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 탈락 제도도 퀸덤과는 다르게 변경되었다. 2차 사전 경연까지 진행한 후 누적 점수 최하위 팀과 3차 사전 경연까지 진행한 후 누적 점수 최하위 팀, 총 2팀이 중도 탈락하게 되며 파이널 경연인 생방송 경연에는 총 5팀만이 진출한다.
  • 로드 투 킹덤 이후 방영되는 킹덤: 레전더리 워에는 생방송 경연까지의 누적점수 1위팀과 생방송 문자 투표에서 최다 득표팀, 총 2팀이 올라가게 된다. 다만 2팀이 같은 팀일 경우 해당 팀, 1팀만이 킹덤에 올라가게 된다.


3. 참가자[편집]



3월 20일, 공식 라인업이 공개되었다.


4. 에피소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로드 투 킹덤/에피소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사전 선호도 조사[편집]


첫방송 이전에 90초 퍼포먼스와 1차 경연의 일부 영상으로 사전 선호도 조사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득표율은 소수점 첫째자리를 반올림 한 수치이며, 조사 결과는 실제 경연 점수에 반영되지 않는다.


5.1. 첫 번째 사전 선호도 조사 (90초 퍼포먼스)[편집]


3월 30일 15시부터 4월 5일 23시 59분까지 첫 번째 사전 선호도 조사가 진행되었다.#

순번선곡득표율순위영상
1번TOOInto the dysTOOpia2%7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번더보이즈花郞(Sword of Victory)33%1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번펜타곤Road to The Throne13%3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번온앤오프Lights on11%4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번골든차일드Beginning25%2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번베리베리FACE it7%6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번원어스Phantom Of ONEUS10%5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2. 두 번째 사전 선호도 조사 (1차 경연)[편집]


4월 13일 15시부터 4월 19일 23시 59분까지 두 번째 사전 선호도 조사가 진행되었다.#

순번선곡득표율순위영상
1번원어스H.O.T. -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11%5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번TOO동방신기 - Rising Sun (순수)2%7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번베리베리세븐틴 - 만세6%6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번골든차일드신화 - T.O.P23%2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번온앤오프샤이니 - Everybody12%4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번펜타곤블락비 - Very Good15%3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번더보이즈태민 - 괴도 (Danger)32%1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경연 진행 결과[편집]



6.1. 90초 퍼포먼스[편집]


참가자들끼리의 투표로 그 순위를 결정하였다. (팀별로 투표권이 주어짐, 총 투표수: 6)
본인의 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을 대상으로 1위부터 6위까지 투표하여 그에 상응하는 배점을 부여한 후, 각 팀별로 받은 점수를 합산하여 합산 점수가 높은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배점> 1위 100점, 2위 80점, 3위 60점, 4위 40점, 5위 20점, 6위 5점

순번선곡평가최종 점수영상
1위2위3위
4위5위6위
1번TOOInto the dysTOOpia001135

7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3
2번더보이즈花郞(Sword of Victory)420560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00
3번펜타곤Road to The Throne141480

2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00
4번온앤오프Lights on001155

5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3
5번골든차일드Beginning102320

4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0
6번베리베리FACE it112340

3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0
7번원어스Phantom Of ONEUS000145

6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1

90초 퍼포먼스의 점수는 본 경연 점수에 합산되지 않는다.


6.2. 1차 경연 (왕의 노래)[편집]


경연 순서는 90초 퍼포먼스에서 1위를 차지해 1차 경연 큐시트 결정권이 주어진 더보이즈가 결정하였다.
참가자들끼리의 투표로 그 순위를 결정하였다. (개인별로 투표권이 주어짐, 총 투표수: 42)
형평성을 고려하여 참가자들 중 멤버수가 가장 적은 온앤오프와 원어스의 멤버수에 맞춰 팀별 6명에게만 투표권이 주어져, 총 42명만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본인의 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을 대상으로 1위부터 6위까지 투표하여 그에 상응하는 배점을 부여한 후, 각 팀별로 받은 점수를 합산하여 합산 점수가 높은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배점> 1위 100점, 2위 80점, 3위 60점, 4위 40점, 5위 20점, 6위 5점

순번선곡평가최종 점수영상
1위2위3위
4위5위6위
1번원어스H.O.T. -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111725

7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41217
2번TOO동방신기 - Rising Sun (순수)3561510

4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5116
3번베리베리세븐틴 - 만세015935

6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9615
4번골든차일드신화 - T.O.P0121210

5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9122
5번온앤오프샤이니 - Everybody127122590

3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212
6번펜타곤블락비 - Very Good1212102840

2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200
7번더보이즈태민 - 괴도 (Danger)141563000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00

이후 누적 점수로는 1차 경연에서 1위를 차지한 팀의 최종 점수를 10,000점으로 한 환산 점수가 반영될 예정이다.


6.3. 2차 경연 (나의 노래)[편집]


경연 순서는 1차 경연에서 1위를 차지해 2차 경연 큐시트 결정권이 주어진 더보이즈가 결정하였다.
참가자들끼리의 투표(30%)와 온라인 평가단의 투표(70%)로 그 순위를 결정하였다.
참가자들끼리의 투표는 지난 1차 경연과 마찬가지로 진행되었으며, 온라인 평가단의 투표는 각 팀별로 팬덤 20명씩을 선발하여 총 140명이 각각 잘했다고 생각하는 3팀에게 투표하게 되었다.
2차 경연까지 마친 뒤, 누적점수가 최하위인 팀은 탈락한다.

순번선곡평가최종 점수영상
참가자온라인 평가단
1번펜타곤빛나리+봄눈2881.29

2위
3858.97

6위
6740

5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2번온앤오프The 사랑하게 될거야2244.60

3위
6012.82

3위
8257

3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3번골든차일드WANNABE803.96

7위
3589.74

7위
4394

7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4번원어스가자 (LIT)2039.57

4위
6461.54

2위
8501

2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5번베리베리PHOTO1775.18

5위
5833.33

4위
7609

4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6번TOOMagnolia (매그놀리아)1079.14

6위
4128.21

5위
5207

6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7번더보이즈REVEAL (Catching Fire)3000

1위
7000

1위
10000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6.4. 3차 경연 1라운드 (컬래버레이션)[편집]


2차 경연에서 골든차일드가 탈락하여, 더이상 출연하지 않는다.
2팀씩 컬래버레이션 무대를 꾸미는 라운드로 총 3개의 컬래버레이션 팀이 구성되었다.
경연 순서 및 컬래버레이션 팀은 MC들의 뽑기를 통해 결정되었다.
참가자들끼리의 투표(30%)와 온라인 평가단의 투표(70%)로 그 순위를 결정하였다.
투표 참여자들은 지난 2차 경연과 마찬가지이나, 골든차일드가 탈락한 관계로 참가자들은 36명, 온라인 평가단은 120명만이 투표에 참여하게 되었다.
참가자들과 온라인 평가단 모두 컬래버레이션 무대를 보고 1, 2, 3위 팀을 투표하여 그에 상응하는 배점을 부여한 후, 각 컬래버레이션 팀별로 받은 점수를 합산하여 합산 점수가 높은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배점> 1위 10점, 2위 5점, 3위 1점 (참가자들은 본인의 팀에게도 투표할 수 있다.)
다만, 1, 2차 경연과는 다르게 환산 점수를 적용하지 않고 1위 5000점, 2위 3000점, 3위 1000점을 부여하였다.

순번선곡평가최종 점수영상
참가자온라인 평가단
1번베리베리방탄소년단 - ON3000

2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TOO
2번펜타곤BLACKPINK - Kill This Love5000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온앤오프
3번더보이즈선미 - 주인공1000

3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원어스

컬래버레이션 무대의 풀버전 조회수는 동영상 조회 점수에 반영되지 않는다.


6.5. 3차 경연 2라운드 (너의 노래)[편집]


2차 경연에 앞서서 참가자들은 직접 다른 팀의 퍼포먼스 곡을 선곡하였는데, 이때 해당 선곡을 누가 퍼포먼스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이후 2차 경연 결과가 발표되고 3차 경연 컬래버레이션 파트너가 결정된 이후 컬래버레이션 파트너에게 그 선곡이 주어지게 되었다.
경연 순서는 2차 경연에서 1위를 차지한 더보이즈가 결정하였다.
참가자들끼리의 투표(30%)와 온라인 평가단의 투표(70%)로 그 순위를 결정하였다.
투표는 지난 2차 경연과 마찬가지로 진행되었으나, 골든차일드가 탈락한 관계로 참가자들은 36명, 온라인 평가단은 120명만이 투표에 참여하게 되었다.
1라운드와 2라운드 점수를 합산해 누적점수 최하위 팀은 탈락한다.

순번선곡평가최종 점수영상
참가자온라인 평가단
1번원어스인피니트 - 내꺼하자1621.62

6위
5300

4위
6922

4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2번TOOGOT7 - 하드캐리2459.46

4위
2000

6위
4459

6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3번온앤오프비 - It's Raining3000

1위
7000

1위
10000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4번펜타곤몬스타엑스 - Follow2945.94

2위
2700

5위
5646

5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5번베리베리마마무 - 고고베베1702.7

5위
6100

3위
7803

3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6번더보이즈VIXX - 도원경2864.86

3위
6900

2위
9765

2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3차 경연은 컬라버레이션무대와 너의노래무대의 합산 결과로 누적 순위가 도출 되었으며, "최종 탈락팀은 TOO"가 되었다.
(위의 표는 너의노래무대만의 결과이다.)
"1위는 온앤오프, 2위는 더보이즈, 3위는 펜타곤, 4위는 베리베리, 5위는 원어스"

6.6. FINAL 경연 (생방송)[편집]


TOO가 2라운드에서 탈락하여 더이상 출연하지 않는다.
사전에 안내된 생방송 문자 투표가 글로벌 팬 투표(30%), 국내 문자 투표(70%)로 나뉘게 되었다.
글로벌 팬 투표의 경우 '후즈팬' 앱을 통해 투표할 수가 있다.
동영상 조회수는 사실상 1~3차 경연의 점수이기 때문에 아래 표에서는 제외하였다. (그렇다고 1~3차 경연의 순위를 가리는 데 동영상 조회수가 반영된 것은 아니다. 동영상 조회수는 로드 투 킹덤의 최종 순위를 가릴 때만 반영된다.)

펜타곤만 라이브 무대로 진행.

순번선곡평가최종 점수영상
음원 성적글로벌
팬 투표
국내
문자 투표
1번원어스COME BACK HOME-

-위
-

-위
-

-위
-

-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2번베리베리Beautiful-x-

-위
-

-위
-

-위
-

-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3번더보이즈CHECKMATE-

-위
-

-위
-

-위
-

-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4번펜타곤바스키아-

-위
-

-위
-

-위
-

-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5번온앤오프신세계 (New World)-

-위
-

-위
-

-위
-

-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6.7. 합산 결과[편집]


총점 100,000점 (1차 경연 10,000점, 2차 경연 10,000점, 3차 경연 1라운드 5,000점, 3차 경연 2라운드 10,000점, 동영상 조회수 15,000점, 음원 성적 15,000점, 생방송 문자 투표 35,000점)

생방송 경연을 포함한 누적 점수 1위와 문자 투표 최다 득표팀이 둘 다 더보이즈킹덤: 레전더리 워에는 더보이즈만 진출하게 되었다.

데뷔
연도
평가별 환산 점수최종
누적
점수
1차 경연2차 경연3차 경연
1라운드
3차 경연
2라운드
동영상
조회수
음원 성적생방송
문자 투표
2016펜타곤9467

2위
6740

5위
5000

1위
5646

5위
1637417133

3위
60360

3위
2017온앤오프8633

3위
8257

3위
5000

1위
10000

1위
1916227359

2위
78411

2위
2017골든차일드4033

5위
4394

7위
-----8427

1차 탈락
2017더보이즈10000

1위
10000

1위
1000

3위
9765

2위
15000

1위
15000

1위
35000

1위
95765

1위
2019베리베리3117

6위
7609

4위
3000

2위
7803

3위
64903852

5위
31871

5위
2019원어스2417

7위
8501

2위
1000

3위
6922

4위
1079510503

4위
40138

4위
2020TOO5033

4위
5207

6위
3000

2위
445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75em"
6위
---1769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75em"
2차 탈락


7. 평가[편집]



7.1. 방영 전 반응[편집]


  • '킹덤'과 '로드 투 킹덤'으로 방송을 2부 리그로 쪼개면서 방송국에서 나서서 출연하는 가수들의 등급을 나눈다면서 도가 지나쳤고 너무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출연 라인 업에 오른 가수들의 팬들은 대다수가 본인의 가수들이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기를 바라는 쪽으로 여론이 기울어져 있으나 경연 프로그램의 특성상 단기간에 큰 인지도를 모을 수 있으니 어느 정도는 감내해야 한다는 의견 역시 존재한다.

  • 프로듀스 101 시리즈, TV조선 트로트 오디션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여성들을 테스트로 내세운 뒤 잘 되면 남성들로 자리를 채우는 방송가의 관행을 따랐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퀸덤이 잘 됐으면 퀸덤 2를 해야지 왜 킹덤을 하냐는 것. 다만 위 시리즈들 모두 여성편 시즌 2를 런칭했으니 좀 더 지켜봐야 할 여지가 있다. 그리고 퀸덤 2도 실제로 만들어졌다.

  • 4월 2일에 출연자들의 모습이 나오는 예고가 떴는데 반응이 좋지 않다. 예고에는 방탄소년단, GOT7, 뉴이스트, 몬스타엑스, 세븐틴엠 카운트다운 1위 수상 장면을 보여주며 뒤에서 축하해주는 출연자들이 모습과 비교하는 영상이 나오는데, 실제로 출연하는 그룹 중 더보이즈골든차일드가 1위 경험이 있으며 골든차일드엠 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이기 때문이다. 사실 프로그램 런칭 기사가 떴을 때 제작진 측에서 1위 경험이 없는 아직 빛을 못 본 실력 좋은 보이그룹을 대상으로 한다는 기준을 내세웠지만 출연자들의 이름이 공개되고 케이블 음악 방송 1위 경험이 있는 그룹들이 있어 기준이 모호해진 게 아니냐는 반응이 있었다. 그래서 "적어도 음악 방송 1위를 가지고 다른 그룹들과 비교하는 편집은 별로 없겠다"라고 예상하기도 했지만, 엠넷 측에서 인기 보이그룹들의 1위 수상 장면을 넣어 비교하는 예고를 공개해 버리니 출연하는 그룹의 팬들이나 방송을 기다린 시청자들 입장에선 어이없을 수밖에 없다. 국내만이 아니라 외국의 K팝 팬들에게도 반응이 좋지 않다.

  • 4월 28일, [단독]'로드 투 킹덤', 더 치열해진 新 탈락 제도 신설…향후 6팀 대결이라는 기사가 떴는데 역시나 반응이 좋지 않다. 출연 그룹들에게 다양한 무대를 할 기회를 준다는 말만 번지르르한 기획의도와는 다르게 자극적인 탈락 제도를 넣은 이유가 무엇이냐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더군다나 프로듀스 101 시리즈로 논란이 있던 방송사에서 기존에 데뷔한 아이돌 그룹들도 연습생으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올 정도. 심지어 가장 늦게 데뷔한 TOO는 아예 대놓고 엠넷에서 제작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선발된 그룹이다.[3]


7.2. 방영 후 반응[편집]


전작인 '퀸덤'과 비교했을 때 '퀸덤'은 인지도가 어느 정도 있는 그룹이 나온 반면 '로드 투 킹덤'은 아직은 인지도가 부족한 보이그룹이라 대중적인 반응이 적고, 해당 팀의 팬덤들과 여타 아이돌 팬들 정도에게만 관심을 모으고 있는 정도다. 그나마 펜타곤은 '빛나리'라는 히트곡이 있긴 하다.

'퀸덤'보다 방송이 루즈해졌다는 반응도 꽤나 있다. 이는 같은 날에 치른 경연을 두 회차에 나눠서 보여 준 것이 주된 원인으로 보이는데, 특히 3회에서 2차 경연 무대를 펜타곤 1팀만 보여 준 점, 5회에선 순위 발표와 설명으로 질질 끌더니 결국 또 3차 경연 1라운드를 무대 하나만 보여 주고 펜타곤, 온앤오프의 무대를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끊고 다음 회차로 미루는 모습이 지적을 받고 있다.[4]

결과적으로 전작보다 낮은 화제성과 시청률로 마무리했다. 그래도 긍정적 요소를 찾아본다면, 전작인 '퀸덤'과 마찬가지로 점점 무대에서 자신들을 알릴 기회가 줄어들고 있는 아이돌 그룹들에게는 좋은 기회였다. 특히나 보이그룹은 팬들을 제외하면 리스너층이 좁다는 걸 생각하면, 팬덤 유입 및 성장에는 도움이 되었다.[5] 또한, 팬 커뮤니티들에서는 출연한 팀들 팬덤끼리도 동기들이라면서 서로 으쌰으쌰하며 응원해주는 훈훈한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 12월 1일 기준으로 프로그램에 출연한 모든 그룹이 프로그램 종영 후 한번 이상 컴백을 했고 모든 그룹들이 음원이나 음반 등에서 모두 커리어 하이를 이루어냈다. 특히 펜타곤은 로드 투 킹덤을 마감한 후 발표한 10번째 미니앨범에서 데뷔 1472일 만에 첫 음방 1위를 차지했으며, 2022년 2월 4일에는 지상파 음악방송인 뮤직뱅크에서 1위를 차지했다. 로드 투 킹덤 1위를 차지한 더보이즈는 2020년 10월 8일 엠 카운트다운에서 난적 Stray Kids를 꺾는 등 한층 더 성장한 모습을 보였고, 2021년에는 지상파 음악방송 그랜드슬램을 차지하는 그룹으로 자리매김 하였다.원어스 또한 2021년 11월 17일 쇼챔피언에서 첫 음방 1위를 차지한 후 2022년 9월 16일에 뮤직뱅크에서 1위를 하며 데뷔 1347일만에 지상파 1위를 차지했다. VERIVERY 역시 2022년 11월 23일 쇼챔피언에서 첫 음방 1위를 차지한 후 2일뒤인 2022년 11월 25일에 뮤직뱅크에서 1위를 하며 데뷔 1417일만에 지상파 1위를 달성했다. 온앤오프, 골든차일드도 그 이후 케이블 음악방송에서는 1위를 달성했고 지상파 음악방송 1위후보에는 올랐으나[6]1위 차지는 실패하였다. TO1은 아직도 별다른 성과가 없다.

로드 투 킹덤 직후 발매한 앨범의 초동 판매량
앨범 초동지난 최고 초동
발매일앨범명판매량앨범명 (발매일)판매량
골든차일드20.06.23미니 4집 Take A Leap26,9**장[7]미니 2집 奇跡(기적) (18.01.29)26,8**장
VERIVERY20.07.01미니 4집 FACE YOU18,1**장미니 3집 FACE ME (20.01.07)4,8**장
TOO20.07.15미니 2집 Running TOOgether23,0**장미니 1집 REASON FOR BEING : 仁 (20.04.01)5,6**장
온앤오프20.08.10미니 5집 SPIN OFF27,6**장미니 4집 GO LIVE (19.10.07)9,0**장
원어스20.08.19미니 4집 LIVED55,8**장싱글 1집 IN ITS TIME (20.03.24)13,0**장
더보이즈20.09.22미니 5집 CHASE212,6**장정규 1집 REVEAL (20.02.10)48,5**장
펜타곤20.10.12미니 10집 WE:TH64,0**장정규 1집 UNIVERSE : THE BLACK HALL (20.02.12)34,7**장
[1] 단, 〈킹덤: 레전더리 워〉와 〈로드 투 킹덤〉은 출연자 구성에 차이가 있다. 〈킹덤: 레전더리 워〉는 인지도가 높고 인기가 많은 남자 아이돌이 출연해 경연을 펼치는 포맷이며, 〈로드 투 킹덤〉은 대중적인 인지도는 높지 않지만 실력이 뛰어난 남자 아이돌이 출연해 경합을 벌인다. 즉, 출연진들의 인지도(와 클립 영상별 조회수)로 따지면 〈킹덤: 레전더리 워〉가 〈로드 투 킹덤〉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2] 파일:로드 투 킹덤 동영상조회 누적 점수 기준.jpg[3] 사실 전작인 퀸덤에서도 자극적인 자체평가 방식이나 2연속 최하위 시 불명예 방출 등의 조항이 있었기에 초반에는 자극적으로 방송을 이끌어갈 작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전작이 제작진의 당초 의도와 달리 출연자들끼리 서로 끈끈하게 우애를 다지는 등 당초 기획 의도와 달리 훈훈한 분위기로 마무리하면서 마음대로 되지 않았던 전례가 있었던 터라 이번에는 작정하고 자극적으로 갈 수 밖에 없도록 만든 것이 아니냐는 비아냥도 나오고 있다.[4] 퀸덤은 2차 경연부터 3팀/3팀씩 나누어 방송을 내보냈고, 3차 경연의 경우 1라운드인 유닛 경연을 한 회에 전부 몰아 넣은 뒤 2라운드 '팬도라의 상자'는 2차와 마찬가지로 3팀/3팀씩 끊어서 보여 주었기에 끊어지는 느낌이 상대적으로 적었다.[5] 온앤오프가 대표적인 예로, 경연을 거치면서 5-3-2-1위로 1계단씩 올라갔고 파이널 경연 때도 더보이즈에 이어 최종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 더보이즈와 온앤오프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뉴스 기사들 역시 꽤나 존재한다는 점도 한 몫을 할 수 있다.[6] 온앤오프음악중심 2위, 골든차일드뮤직뱅크 2위. [7] 로드 투 킹덤이 끝난 직후 나온 앨범 판매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 다음에 나온 싱글 앨범의 초동 판매량이 53,6**장 인것을 봐선, 방송을 나오기 전 보다 팬덤이 많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방송 직후 앨범의 성적이 눈에 띄게 성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팬덤 유입이 100% 방송 덕분이라고 보기는 힘들지만 어느 정도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방송이 끝난 후 박찬욱 CP는 OSEN과의 인터뷰를 통해 “참가자들의 퍼포먼스가 너무 힘들다. 무대가 길어서 360도를 활용한 퍼포먼스를 준비했는데 4분 안에 모든 걸 다 쏟기 힘들지 않겠나. 게다가 무대에서 가만히 노래만 할 순 없으니 퍼포먼스 위주로 꾸린다면 라이브 대신 AR을 깔아도 된다 했는데 펜타곤은 라이브 하겠다고 하더라. 기본 룰이 무조건 라이브가 아닌데도 펜타곤은 해내더라”고 칭찬했다. 이로써 기본적인 룰이 라이브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


8. 방영 목록[편집]


회차방영 날짜시청률(대한민국 전국)
AGB
1회2020년 4월 30일0.5%
2회2020년 5월 7일0.4%
3회2020년 5월 14일0.4%
4회2020년 5월 21일0.5%
5회2020년 5월 28일0.3%
6회2020년 6월 4일0.6%
7회2020년 6월 11일0.3%
8회2020년 6월 18일0.4%


9. 음원 발매[편집]


1차 (왕의 노래)2차 (나의 노래)3차 (너의 노래)4차 (파이널)
펜타곤Very Good빛나리+봄눈Follow바스키아
온앤오프EverybodyThe 사랑하게 될거야It's Raining신세계
골든차일드T.O.PWANNABE
더보이즈괴도REVEAL도원경CHECKMATE
원어스전사의 후예가자내꺼하자COME BACK HOME
베리베리만세PHOTO고고베베Beautiful-x
TOORising SunMagnolia하드캐리
총 20곡이 공개되었다.

저작권 문제로 모든 무대의 음원이 공개되지는 않았다. 5곡 중에 4곡이 sm

파이널에 진출한 5팀 중 펜타곤을 제외한 4팀은 로드 투 킹덤이 끝난 후에 발매한 앨범에 파이널 음원을 수록했다.


10. 포스터[편집]




11. 여담[편집]


  • RBW, WM엔터테인먼트, 큐브엔터테인먼트, 울림엔터테인먼트는 전작 퀸덤에 이어서 2회 연속으로 참여한다.[8]

  • 전작 퀸덤에서는 솔로인 박봄이 참여했던 것과 달리, 로드 투 킹덤의 출연진들은 전부 단체인 보이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로드 투 킹덤의 참가자는 총 58명[9]으로 전작 퀸덤의 참가자 31명[10]의 약 2배에 해당한다.

  • 외국인 아티스트의 경우 전작 퀸덤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출연했는데,[11] 로드 투 킹덤의 외국인은 일본인[12] 혹은 캐나다인[13]이다.

  • 펜타곤은 멤버 진호가 5월 11일 입대를 해서 3차 경연부터는 군 복무 중인 진호, 건강 악화로 휴식기인 옌안을 제외한 7인 체제로 참여한다.

  • 참가 그룹별 프로필 사진의 경우 전작 퀸덤에서는 그룹의 전반적인 컨셉 및 멤버들의 외모와 체형에 맞춘 다양한 옷을 입고 촬영했지만, 로드 투 킹덤에서는 참가한 모든 그룹이 검은색 정장을 입고 프로필 사진을 촬영했다.

  • 2019년 데뷔한 원어스, VERIVERY를 제외한 5팀은 그룹 재정비를 한 적이 있다.[14][15]

  • 스폰서인 이니스프리에서 5월 18일부터 6월 7일까지 파이널 방청 응모 이벤트를 진행했으나, 코로나19의 장기화로 파이널 경연 진출팀과의 온라인 팬미팅으로 대체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8:13:58에 나무위키 로드 투 킹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8] 소속사 순서대로 마마무, 오마이걸, (여자)아이들, 러블리즈가 퀸덤에 출연했다. 대체로 퀸덤에 출연했던 팀의 후배 관계이지만, 큐브만 유일하게 로드 투 킹덤에 출연하는 펜타곤 쪽이 선배이다. 그래서 퀸덤에선 막내였던 아이들과 반대로 이번에는 제일 선배이다.[9] 펜타곤(8)+온앤오프(6)+골든차일드(10)+더보이즈(11)+원어스(6)+VERIVERY(7)+TOO(10)=58[10] 박봄(1)+마마무(4)+AOA(5)+(여자)아이들(6)+오마이걸(7)+러블리즈(8)=31[11] (여자)아이들 민니(태국), 우기(중국), 슈화(대만). 다양한 국적이 참여하긴 하였으나, 전부 (여자)아이들 한 팀의 멤버로 그 외의 팀들은 전부 한국인들로만 이루어졌다.[12] 펜타곤유토온앤오프. 거기에 이들은 (성씨만 다르고) 본명 또한 유토로 같다. 엄밀히 따지면 펜타곤에는 중국인 멤버인 옌안도 있긴 한데, 옌안은 건강 악화로 2019년 7월부터 휴식 중이라 로드 투 킹덤에 참여하지 않는다.[13] 더보이즈 제이콥케빈. 하지만 이들도 토종 캐나다인은 아닌 한국인 교포들이다.[14] 펜타곤이던, 온앤오프라운, 골든차일드박재석, 더보이즈이 각 그룹에서 탈퇴했고, 이 중 라운과 박재석은 연예계 생활을 전면 중단하였다.[15] TOO는 당초 TO BE WORLD KLASS 최종회에서 한준이 데뷔조로 선발되었으나 방송 후 무단 이탈이 확인되어 제외되고 다음 순위였던 재윤이 데뷔조에 합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