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크 애플링 (r1판)

편집일시 :

루크 애플링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36193919401941
194319461947

}}} ||



파일:MLB 로고.svg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external/baseballhall.org/Appling%20Luke%20Plaque%20291_NBL_0_0.png
루크 애플링
헌액 연도1964년
헌액 방식기자단(BBWAA) 투표
투표 결과84.00% (7회)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36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버디 마이어
(워싱턴 세네터스)
루크 애플링
(시카고 화이트삭스)
찰리 게링거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4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테드 윌리엄스
(보스턴 레드삭스)
루크 애플링
(시카고 화이트삭스)
루 보드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bgcolor=#003831>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시대 ||
||<width=20%> 1대
코니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50 ||<width=20%> 2대
얼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37, 1939 ||<width=20%> 3대
지미 다익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1~1953 ||<width=20%> 4대
에디 주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4 ||<width=20%> 파일: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엠블럼(1954).gif ||
||<-5><bgcolor=#003831>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시대 ||
|| 5대
루 보드로
파일:미국 국기.svg
1955~1957 || 6대
해리 크래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59 || 7대
밥 엘리엇
파일:미국 국기.svg
1960 || 8대
조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1961 || 9대
행크 바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2 ||
|| 10대
에디 로팟
파일:미국 국기.svg
1963~1964 || 11대
멜 머게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4~1965 || 12대
헤이우드 설리반
파일:미국 국기.svg
1965 || 13대
앨빈 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67 || 14대
루크 애플링
파일:미국 국기.svg
1967 ||
||<-5> 파일: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엠블럼.png ||
||<-5><bgcolor=#00383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시대 ||
|| 15대
밥 케네디
파일:미국 국기.svg
1968 || 9대
행크 바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9 || 16대
존 맥나마라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0 || 17대
딕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1~1973 || 13대
앨빈 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5 ||
|| 18대
척 태너
파일:미국 국기.svg
1976 || 19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1977 || 20대
바비 윙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 19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1978 || 21대
짐 마셜
파일:미국 국기.svg
1979 ||
|| 22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0~1982 || 23대
스티브 보로스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84 || 24대
재키 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84~1986 || 25대
제프 뉴먼
파일:미국 국기.svg
1986 || 26대
토니 라 루사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95 ||
|| 27대
아트 하우
파일:미국 국기.svg
1996~2002 || 28대
켄 마카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6 || 29대
밥 게런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11 || 30대
밥 멜빈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21 ||<bgcolor=#e0ffdb,#073300> 31대
마크 캇세이
파일:미국 국기.svg
2022~ ||
||<-5>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svg ||
||<-5><bgcolor=#fff,#191919>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5번
결번루크 애플링
(1931)
재키 헤이스
(1932)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8번
베니 테이트
(1931)
루크 애플링
(1932)
리즈 펑크
(1933)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4번
루 블루
(1932)
루크 애플링
(1933~1943)
그레이 클라크
(1944)
커비 파렐
(1945)
루크 애플링
(1945~1950)
론 잭슨
(1957~1959)
론 핸슨
(1968~1969)
영구결번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등번호 44번
결번루크 애플링
(1964~1966)
바비 호프만
(1974~1975)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등번호 42번
프레디 피츠시몬스
(1960)
루크 애플링
(1967)
조지 라제리케
(1967)

파일:Luke Appling.jpg
시카고 화이트삭스 No. 4
루시우스 벤자민 "루크" 애플링
Lucius Benjamin "Luke" Appling
출생1907년 4월 2일
노스캐롤라이나 주 하이포인트
사망1991년 1월 3일 (향년 83세)
조지아 주 커밍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풀튼 고등학교 - 오겔소프 대학교
신체178cm / 83kg
포지션유격수, 3루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30년 자유계약 (CHW)
소속팀시카고 화이트삭스 (1930~1943, 1945~1950)
지도자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코치 (1964~1966)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감독 (1967)

1. 개요
2. 커리어
3. 은퇴 이후
4.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5. 플레이 스타일
6. 연도별 성적
7. 이모저모



1. 개요[편집]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동한 명 유격수로,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영구결번자이자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유격수다.


2. 커리어[편집]


마이너리그에서는 타격 재능을 맘껏 뽐내며 홈런도 자주 치곤 했던 그였지만, 유격수 수비 실력이 초창기엔 심하게 안 좋았던 점은 시카고 컵스의 입단제의를 받지 못하고 같은 동네에서도 인기에서 밀리던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가는 계기가 되었다. 삭스에서도 초창기에는 훈련 도중에 손가락이 부러져서 시즌을 마감하는등 가지가지[1]했지만 1933년 더블헤더에서 실책을 범하고 기죽어있던 그에게 감독이 조언한 "홈런 말고도 경기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많다"는 말에 발전의 실마리를 찾고 그 해부터 9년 연속 3할의 스타트를 끊는다. 특히 백미는 1936년으로, 그해 겨우 6홈런으로 128타점을 찍고 .388로 1900년대 로저스 혼스비 이후 우타자 최고 타율[2]을 기록하며 아메리칸리그 최초의 유격수 타격왕 타이틀 획득에 성공했다.

1943년에도 타격왕을 차지한 애플링은 1944년과 1945년에는 37세의 나이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느라 많은 경기를 빼먹었다. 그는 전쟁 이후에도 역사에 남을 기록을 남겼는데, 40대의 나이로 OPS .800을 넘은 선수라는 기록을 갖게 되었다. 이를 달성한 애플링 말고 다른 선수가 역대 단 세명 뿐인데, 그들은 1800년대의 캡 앤슨과 역대 40대 최다 홈런 기록 보유자 칼튼 피스크, MLB 역대 최고의 리드오프인 리키 핸더슨, 그리고 약쟁이까지 포함해도 배리 본즈넬슨 크루즈가 추가될 뿐이다. 그러다가 1950년 부진하자 바로 유니폼을 벗었다.

지금까지도 그는 프랭크 토마스, 폴 코너코 등과 함께 삭스 프랜차이즈 각종 타자 랭킹에서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3. 은퇴 이후[편집]


이후 그는 많은 팀들에서 타격코치로 활동하며 사기적인 선구안과 뱃 컨트롤 능력을 후배들에게 전수했고, 메이저리그 감독도 역임했다.

이후에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의 팀에서 타격 인스트럭터로 활동하다 1991년 1월 초 8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4. 명예의 전당 입성[편집]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은 투표 7수 끝에 1964년 84%의 득표율로 쿠퍼스타운에 입성했다. 화이트삭스에서는 당연히 그의 번호 4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했다.

4.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편집]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루크 애플링910314957
HOF 입성자 평균2714410050

  • JAWS - Shortstop (9th)
career WAR7yr-peak WARJAWS
루크 애플링74.543.859.1
유격수 HOF 입성자 평균66.742.854.8


5. 플레이 스타일[편집]


파일:external/static.ddmcdn.com/luke-appling-hof.jpg
애플링은 2000년대 말부터 한국프로야구에서 인구에 회자되는 용규놀이를 궁극에 가깝게 자행한 선수라 할 수 있다. 비록 20년간 통산 홈런이 50개도 안되는 똑딱이[3]였지만, 테드 윌리엄스[4]부럽지 않은 당대 최고의 선구안과 뱃 컨트롤 능력을 바탕으로 무수히 많은 파울타구를 양산해내며 상대 투수들을 기진맥진하게 만들곤 했다.

그의 용규놀이의 백미는 한 타석에서 28구 던지게 한 후 볼넷[5]이라는 정신나간 컷컷컷놀이를 자행한 기록에서 잘 알 수 있다. 불같은 강속구로 유명했던 당대 최고의 투수 밥 펠러로부터 15연속 파울을 기록하기도 했다. 재미있는 일화로 애플링의 친구들이 경기장으로 애플링을 찾아왔고, 애플링은 친구들에게 사인을 해주기 위해 구단 관계자에게 공 몇 개를 요구했다. 하지만 당시 미국은 대공황 시기라 경제가 어려웠고, 구단 측에서는 개당 2.75달러나 하는 공이 아까웠는지 지급을 거부해버렸다는 것. 빡친 애플링은 첫 타석에 들어서자 마자 10연속 파울을 기록한 뒤 경기를 보고 있던 관계자에게 "여기 27달러 50센트요. 그리고 난 이제부터 시작입니다."라고 일갈했다. 이후로는 애플링이 공을 달라고 하면 무조건 넙죽넙죽 갖다바쳤다고 한다.

투수들은 차라리 안타를 빨리 맞고 말지 저런 놈과 승부하는건 치가 떨린다고들 했다고. 30년대 양키스의 에이스이자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에 빛나는 투수 레드 러핑은 애플링에게 풀카운트에서 10구 연속 파울 뒤에 볼넷을 내줬고, 다음 타자에게 만루홈런을 맞았다고 한다.[6] 아무튼 이 엄청난 능력을 바탕으로 첫 1933~1941 9년 연속 3할 타율을 친 정교한 컨택과 함께 역대 리드오프 출루율 2위에 빛나는 .399를 기록, 역대 최고의 리드오프를 논하는 자리에 있어 명함을 내밀게 되었다. 비록 리드오프치고 도루능력은 딱히 뛰어나지 않아서[7] 그쪽 분야의 올타임 본좌인 리키 헨더슨에 비해 많이 밀리는 모양새지만, 그래도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20년 프랜차이즈 플레이어로서 역사에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6.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루크 애플링의 역대 MLB 기록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1930CHW626820022200.308.308.385.6920.00.0
193196331691341362892927.232.303.313.616-0.9-0.5
193213953213420103666394036.274.329.374.7031.01.9
193315167119736106908565629.322.379.443.8224.55.4
19341185161372862756135927.303.384.405.7881.72.0
1935153656161286194711212240.307.437.389.8266.47.0
19361386182043176111128108525.388.474.508.9817.17.2
193715466518242849877188628.317.407.439.8466.06.1
193881339891400414414217.303.392.350.7421.71.8
1939148633162166082561610537.314.430.368.7984.34.3
194015064019727130967936935.348.420.442.8625.45.5
194115467818626819357128232.314.399.390.7895.05.3
194214261314226437853176323.262.342.341.6822.83.3
194315567719233236380279029.328.419.407.8257.77.4
1944제2차 세계대전 참전 (군복무)
1945CHW18702122112101127.368.478.5261.0051.01.1
19461496591802751595567141.309.384.378.7625.86.3
19471395731542908674986428.306.386.412.7974.44.8
194813959415616206347109435.314.423.354.7773.63.5
194914261914821558258712124.301.439.394.8335.25.1
1950501443034011132128.234.300.320.620-0.10.1
MLB 통산
(20시즌)
242210254274944010245131911161791302528.310.399.398.79872.677.5


7. 이모저모[편집]


  • 사실은 왼손잡이였다고 한다. 어릴 적 야구를 배울 때 내야수 툴을 갖췄지만 왼손잡이임을 아쉬워하던 코치의 조언에 따라 오른손으로 야구를 배웠고[8] 타격도 오른손으로 배웠다.

  • 그의 활동 시기는 삭스의 암흑기였기 때문에 2,528경기에 출전한 컵스의 어니 뱅크스 다음으로 많은 정규시즌 경기(2,422경기)에 출전하고 포스트시즌 경험이 없는 선수로 남게 되었다.

  • 1982년 워싱턴 RFK 스타디움에서 열린 올드 타이머's 게임 행사에서 61세의 워렌 스판을 상대로 비거리 76m 짜리 홈런을 날린 적이 있다. 참고로 그때 애플링의 나이는 75세.

[1] 선수생활 내내 부상에 대한 염려와 엄살이 지나치게 심했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Old Aches and Pains. [2] 최후의 4할타자 빌 테리테드 윌리엄스, 1994년 4할에 아깝게 실패한 토니 그윈은 모두 좌타자였다. 조 디마지오의 최고 타율은 .381이었다. [3] 라고만 하기엔 억울한 것이, 2루타 개수는 홈런이 적은 선수 치고는 굉장히 많았다. 물론 통산 2루타 개수도 슬러거들과 비교하기엔 좀 많이 부족하지만.[4] 참고로 마지막 4할 타자란 수식어 때문인진 몰라도 테드가 애플링처럼 똑딱이형 타자인 줄 잘못 아는 경우가 있는데, 전혀 아니며 오히려 정반대이다. 테드는 사기급 선구안에 파워도 엄청난 완성형 타자다. 통산 홈런이 무려 521개로 역대 20위이며 이는 약물시대 최고의 청정거포인 빅 허트와 같은 수치다. 또한 MLB 통산 출루율 1위, 장타율 2위, OPS 2위이기도 하다. 참고로 장타율, OPS 부문 올 타임 넘버원은 야구의 신[5] 다만 투구수 기록이 공식화한 것은 이로부터 한참 후이므로 이 기록은 비공식 기록으로 남았다.[6] 이 직후 러핑은 강판되었고, 덕아웃으로 돌아가 글러브를 벽에다 집어던졌다고 한다.[7] 통산 도루가 179개로 20년을 뛰었으니 연평균 9개가 안된다. 커리어 하이로 27개를 기록한 1943년을 제외하면 20개를 넘긴 시즌도 없다.[8] 야수가 왼손잡이(좌투)면 내야수중에서는 1루수 밖에 못본다. 그나마 1루수도 딱히 오른손잡이에 비해 유리한건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3:35:33에 나무위키 루크 애플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