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무리 텔레패스/애니메이션 (r2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별무리 텔레패스


파일:kirara_logo.gif
망가타임 KR 코믹스 애니메이션 작품
[ 펼치기 · 접기 ]





별무리 텔레패스 (2023)>
星屑テレパス
Hoshikuzu Telepath
파일:별무리 텔레패스 한글 메인 키비주얼 2탄.pn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5.1.2. ED
5.2. 삽입곡
6. 회차 목록
7. 해외 공개
7.1. 대한민국
7.1.1. 방영 전 정보
7.1.2. 첫 방영 이후
8. 평가
8.1. 방영 전
8.2. 방영 후
9.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별무리 텔레패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카오리, 제작사는 스튜디오 5조, 방영 시기는 2023년 10월.


2. 공개 정보[편집]


  • 망가타임 키라라 2022년 11월호(10월 7일 발매)에서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으며 키 비주얼, 제작사, 제작진, 방영 연도 등이 공개되었다.


2.1. PV[편집]


티저 PV

PV 제2탄

PV 제3탄

애니박스 PV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별무리 텔레파스 TVA화 결정.jpg
파일:별무리 텔레패스 한글 메인 키비주얼 1탄.png
제작 결정 비주얼메인 비주얼 1탄


3. 줄거리[편집]


여고생들이 우주를 향하는 "청춘 로켓" 스토리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서투른 여고생 코노호시 우미카는 자칭 우주인인 아케우치 유우와 만나 무려 우주를 향하는 약속을 한다.

그리고 부학급위원장인 타카라기 하루노나 등교 거부중인 라이몬 마타타키와의 만남 속에서 로켓을 만들게 되며――

여고생들이 로켓을 만들어 우주를 향하는 "청춘 로켓" 스토리.

출처

외계인과 만나고 싶어 하는 코노호시 우미카는

입학식에서 스스로 외계인이라고 하는

아케우치 유우와 만난다.

우미카는 유우와 친해지고 싶지만

소심한 성격 탓에 말을 꺼내지 못하는데..

애니박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별무리 텔레패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등장인물성우
코노호시 우미카후나토 유리에
아케우치 유우후카가와 세리아
타카라기 하루노나가무타 모에
라이몬 마타타키아오키 시키


5. 음악[편집]



5.1. 주제가[편집]



5.1.1. OP[편집]


OP>
点と線
점과 선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이토 미쿠
작사와타나베 시오(渡部紫緒)
작곡사카베 고
편곡
발매일2023.10.11.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오오시마 카츠야(大島克也)
연출
작화감독사카이 타카히로(酒井孝裕)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5.1.2. ED[편집]


ED>
天体図
천체도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산도리온
작사야기누마 카나(やぎぬまかな)
작곡야기누마 카나(やぎぬまかな)
PC 음악 클럽(パソコン音楽クラブ)
phritz
편곡PC 음악 클럽(パソコン音楽クラブ)
phritz
발매일2023.10.18.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우메키 아오이(梅木 葵)
연출
작화
채색
촬영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5.2. 삽입곡[편집]




6.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제1화彗星エンカウント
혜성 인카운터
타카하시 나츠코카오리사카이 타카히로
(酒井孝裕)
-日: 2023.10.09.
韓: 2023.11.06.
제2화夕焼ロケット
저녁놀 로켓
카오리
하마사키 토오루
(濱崎 徹)
하마사키 토오루코스게 히로시
(小菅 洋)
사카이 타카히로日: 2023.10.16.
韓: 2023.11.06.
제3화爆薬メカニック
폭약 메카닉
린린
(リンリン)
우에다 신이치로
(植田慎一郎)
나가야마 메구미
(永山 恵)
타카무라 료타로
(高村遼太郎)
마사키 유타
(正木優太)
무카이가와라 아키라
(向川原 憲)
-日: 2023.10.23.
韓: 2023.11.13.
제4화決戦シーサイド
결전 씨사이드
시미즈 사토시
(清水 聡)
사사키 타츠야
(佐々木達也)
타나카 츠바사
(田中 翼)
코스게 히로시
오오하라 히로시
(大原 大)
사코에 사라
(迫江沙羅)
사카이 타카히로日: 2023.10.30.
韓: 2023.11.13.
제5화無限ドリーマー
무한 드리머
야마다 카나
(山田花名)
카오리아와이 시게노리
(粟井重紀)
코스게 히로시
마사키 유타
무카이가와라 아키라
日: 2023.11.06.
韓: 2023.11.20.
제6화乾杯イニシエーション
건배 이니시에이션
타카하시 나츠코요시다 타이조
(吉田泰三)
코레모토 아키라
(是本 晶)
히라타 카츠조
타카무라 료타로
타나카 츠바사
나가야마 메구미
아다치 유스케
(安達祐輔)
日: 2023.11.13.
韓: 2023.11.20.
제7화大胆リーダーシップ
대담 리더쉽
노부타 유우하마사키 토오루사카이 타카히로
타나카 츠바사
타카무라 료타로
무카이가와라 아키라
아다치 유스케
reboot
日: 2023.11.20.
韓: 2023.11.27.
제8화出陣ウルトラハイパワードリィーム
출진 울트라 하이 파워 드림
日: 2023.
韓: 2023.11.27.
제9화日: 2023.
韓: 2023.12.04.
제10화日: 2023.
韓: 2023.
제11화日: 2023.
韓: 2023.
제12화日: 2023.
韓: 2023.


7. 해외 공개[편집]



7.1. 대한민국[편집]


파일:애니박스 현 로고.png 신작 시간표
[ 낮~저녁 시간표 ]
[ 심야 시간표 ]
시간
21​:00
)
)>
파일:wavve 아이콘.svg(애니원)
반요>
야샤히메
2기
(자막)
(2편)
22​:00
)>
(2편)
건담 월드[br]히어로즈[br]([[파일:태극기_태극.png) (2편)>
파일:wavve 아이콘.svg(애니원)
)>
파일:wavve 아이콘.svg(애니원)
원피스 27기>
(자막)
(재방+본방)
원피스 27기>
파일:챔프TV 로고.svg
원피스 27기>
(파일:태극기_태극.png)
파일:wavve 아이콘.svg(애니원)
22​:30
43[br]세인고교[br]남자 배구부[br]([[파일:태극기_태극.png)>
파일:wavve 아이콘.svg(애니원)
루팡 3세>
PART 6
(자막)

파일:챔프TV 로고.svg
{{{#!wiki style="height: 8px; margin: 0px -10px -5px -10px; background: #07f; display: none"
반요
야샤히메
2기
(자막)
파일:wavve 아이콘.svg(애니원)
{{{#!wiki style="height: 8px; margin: 0px -10px -5px -10px; background: #f53; display: none"
23​:00
루팡 3세
PART 6
(자막)

(재방​+본방)
{{{#!wiki style="height: 8px; margin: 0px -10px -5px -10px; background: #496; display: none"
>
25​:00
월드 트리거
3기 (자막)

(2편)
25​:30
월드 트리거
3기 (자막)

파일:챔프TV 로고.svg
루팡 3세>
PART 6
(자막)
26​:00
반요>
야샤히메
2기
(자막)
파일:챔프TV 로고.svg
{{{#!wiki style="height: 8px; margin: 0px -10px -5px -10px; background: #07f; display: none"
)
파일:챔프TV 로고.svg
{{{#!wiki style="height: 8px; margin: 0px -10px -5px -10px; background: #07f; display: none"
{{{-2 파일:wavve 로고.svg 애니박스 채널 공식 스트리밍 [로그인 필요]

wavve(옛 POOQ(푹TV))는 2017년 7월 17일부로
실시간TV 서비스가 SD화질 한정으로 무료화되었다.


[include(틀:대원방송 국내방영작 시청 정보
,편성표=애니박스편성표, header=별무리 텔레패스, 방영=자막
<! 대원방송 각 채널별 본방송 시간표 >
,애니박스본방=월요일 &nbsp;밤 10시
, 애니박스본방2=화요일 &nbsp;밤 24시
<! 틀 색상 상세 설정 >
,제목글자색=Gold, 제목배경색=RoyalBlue
,스케줄글자색=#24b, 스케줄배경색=#acf
;border-left:Medium Solid RoyalBlue
;border-right:Medium Solid RoyalBlue
/* 상세 설정 끝 */)]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7.1.1. 방영 전 정보[편집]


애니맥스 코리아애니플러스에서 방영할 것 같은 느낌이지만 결국 이 두 방영국에서 한일 동시방영작으로는 들여오지 않았고 이후 대원방송에서 판권을 사서 2023년 11월 6일부터 애니박스에서 매주 월요일 밤 10시에 자막으로 두 편씩 연속 방영한다. #

매주 화요일 밤 24시[2]에도 재방송된다.


7.1.2. 첫 방영 이후[편집]




8. 평가[편집]



8.1. 방영 전[편집]


원작이 망가타임 키라라 계열이면서 백합계인 만큼 애니화에 대해 고무적인 반응이 많았다. 그 후 스태프가 공개되자 우려의 반응도 조금 있었는데, 감독인 카오리는 대체로 감독작들이 평균 이상은 하지만 기복이 좀 있으며, 시리즈 구성으로 악명높은 타카하시 나츠코가 붙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둘이서 만든 유유시키는 평이 괜찮았고 타카하시 나츠코가 맡은 다른 키라라 계열 작품인 코믹 걸즈 역시 평이 나쁘지 않았기에 망가타임 키라라 팬들 사이에서의 반응은 괜찮은 편. 제작사인 5조 역시 키라라 계열 원작인 A채널금빛 모자이크 시리즈를 괜찮게 뽑아낸 이력이 있기에 스태프 공개 시점에서는 호의적인 반응이 더 많다.


8.2. 방영 후[편집]


주연급 성우진이 거의 없는 상황[3]에 연기력에 있어 기본적으로 탄탄하다라는 내용이 주를 잇고 있다.

음악, 연출, 작화 등 전체적으로 호평이 많다. 원작의 캐릭터 감정선을 잘 이끌어내면서 애니메이션에 맞게 잘 연출했다는 평이 많으며, 특히 이마파시의 작화가 굉장히 예쁘게 뽑혀 백합 커뮤니티 등지에서 화제가 되었다.

다만 키라라 작품으로 기대작에 올랐음에도 스트리밍 서비스를 FOD에서 독점을 하는 중이라 비판을 받고 있다. 다행히 TV 방영 이후 일주일 한정으로 Tver에서 무료로 방영한다고 하여 그나마 시청을 하려는 여론은 잠잠해졌으나, 대부분이 스트리밍을 통해 보는 상황이라 흥행에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d애니메스토어 등 타 서비스의 경우 매화 유료로 대여하는 방식으로 이용해야한다.

9. 기타[편집]


  • 망가타임 키라라 본지에서 슬로우 스타트 이후 5년만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키라라계 작품들의 애니메이션화는 꾸준히 이루어졌으나, 캐럿과 맥스 중심으로 전개되었기에 의외로 본지에서의 애니메이션화가 적었던 상황이었다.

  • 망가타임 키라라 2022년 11월호에서의 애니메이션화 발표는, 매년 3~4작품씩 애니화를 하다가 쉬어가는 것인지 퀄리티에 집중하는 것인지 작품 수를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신규 작품으로는 RPG 부동산 이후 1년 8개월, 기존 작품의 후속작 발표를 포함해도 길모퉁이 마족 2번가 이후로 1년 2개월만의 키라라계 애니메이션화 발표.

  • 또한 사쿠라 트릭 이후로 9년만의 첫 공식 키라라계 백합 애니메이션. 키라라계 자체가 백합 요소를 함유한 작품이 많고, 최근 작품들도 당장 위의 두 작품을 포함하여 상당수가 이러한 요소를 함유하고 있으나 편집부가 백합임을 공언한 작품은 사쿠라 트릭 이후로 처음이다.

  • 동시에 레이와 시대에 연재를 시작한 망가타임 키라라 계열 작품 중 첫 애니메이션화 작품이다. 2019년 5월에 레이와 시대가 시작되었고, 당월 9일에 발매한 6월호부터 연재가 시작되었기에 애니메이션화 작품을 넘어 망가타임 키라라 전 계열지를 통틀어 레이와 시대 첫 연재작이기도 하다.

[2] 즉, 매주 수요일 밤 00시.[3] 코노호시 호노카의 동생인 호나미 역의 요우미야 히나, 선생님인 아카네 역의 타카모리 나츠미, 라이몬 마타타키 역의 아오키 시키를 제외하고 대부분은 주연급은 아니며, 특히 우미카 역과 하루노 역의 경우에는 첫 주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별무리 텔레패스 문서의 r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별무리 텔레패스 문서의 r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