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2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삼성 라이온즈

}}} ||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기본 정보삼성 그룹삼성스포츠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2군
주요 인물구단주·대표이사 유정근단장 이종열감독 박진만2군 감독 정대현주장 구자욱
경기장1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포항 야구장2군 경산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스프링캠프 온나손 아카마 볼파크재활 삼성 트레이닝 센터이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주요 문서선수단등번호유니폼마스코트 블레오사건·사고왕조암흑기기롯삼한
관련 문서삼적화여름성이마양채최박조원수박차JOKKA곤규엽굴비즈김헌곤 유니버스삼나쌩 · 삼상바 클럽프랜차이즈 스타
라이벌전88고속도로 씨리즈클래식 씨리즈싸대기 매치재계 라이벌 시리즈
영구 결번10 양준혁22 이만수36 이승엽
최종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52002200520062011201220132014
현재 시즌삼성 라이온즈/2024년
팬덤 정보응원가(구단 · 선수)|삼갤삼튜브사자 사랑방사자후김상헌(응원단장)허니크루치어리더대구아재
지역 연고경북고대구고상원고포철고경주고강릉고설악고도개고예일메디텍고
틀 문서
역대 시즌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1차지명응원단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Samsung Lions
창단1984년(40주년)
법인 설립1982년 3월 5일(42주년)
법인명㈜삼성스포츠
업종명스포츠 클럽 운영업
상장 유무비상장 기업
기업 규모대기업
구단명삼성 라이온즈 2군 (1984~ )
모기업제일기획
연고지경상북도 경산시 (1984~ )
구단주유정근
사장유정근
단장이종열
감독73 정대현
소속 리그 변천남부리그 (1990~2014, 2016~ )
옐로우리그 (2015)[1]
홈구장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1987~ )
1군삼성 라이온즈
워드 마크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svg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퓨대기]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퓨대기]
퓨처스리그 우승 (9회)
남부리그1992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2000년, 2004년, 2010년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0.712
1998년 60경기 42승 1무 17패
최저 승률0.333
2016년 96경기 30승 6무 60패
최다 승52승
2022년 103경기 52승 4무 47패
최다 패61패
2023년 98경기 37승 0무 61패
1. 개요
2. 홈구장
3. 역사
3.1. 1980년대
3.2. 1990년대
3.3. 2000년대
3.4. 2010년대
3.5. 2020년대
4. 역대 감독
5. 역대 성적
6. 역대 개인 기록
6.1. 통산
6.2. 단일 시즌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BB아크, 씨를 뿌리는 사람들

삼성 라이온즈의 2군 야구단. 삼미 슈퍼스타즈OB 베어스에 이어 세 번째로 창설한 2군이다. 1990년 2군 리그가 창단한 이래 계속 남부리그에 속해 있다.


2. 홈구장[편집]


  •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1987~[2]


3. 역사[편집]



3.1. 1980년대[편집]


1984년에 박창용 전 대구상고 감독을 2군 감독으로 선임하고 1985년에는 천보성을 코치로 뒀고, 1988년에는 장명부[3]를 투수코치로 영입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다른 팀들은 2군 감독이 아닌 2군 코치가 2군 감독역을 맡고 있었다.


3.2. 1990년대[편집]


2군 리그가 생긴 후 1990년대에서는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1992년 첫 우승 이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총 5시즌 연속 남부리그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일본 마무리 훈련이나 미국 교육리그에 선수들을 파견할 정도로 선수 육성에도 상당히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4]. 신동주, 이동수, 정경훈, 최익성 등이 이 시기에 2군에서 기량을 닦고 1군에 올라와 맹활약한 대표적인 선수들. 그러나 타자에 비해 투수들의 성장은 지지부진했고[5] 팀은 번번이 KBO 한국시리즈에서 고배를 마셔, 1990년대 후반부터 삼성 라이온즈는 현대 유니콘스와 함께 육성보다는 선수를 사들여 팀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2군 운영은 항상 뒷전이었다.


3.3. 2000년대[편집]


2000년, 2004년, 2010년에도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2000년대에도 곽용섭[6], 박석민, 최형우 등의 선수가 나왔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2군에 전보다 관심을 덜 가지면서 최형우는 2005년 남부리그 타격 2위를 하고도 방출될 정도로 방만한 운영을 했다[7]. 또한 2군 중심타자였던 곽용섭과 박석민이 입대했을 때인 2006년과 2007년에는 젊은 유망주 기근에 시달리기도 했다[8]


3.4. 2010년대[편집]


그래서 2010년대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운영 방침이 선수를 육성해서 키우자!로 바뀌게 되었고 2군에 적극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두산 베어스 못지 않은 화수분 야구가 가능하게 되었다[9]. 지원도 빵빵해서 한국프로야구 2군팀 중 유일하게 2012년부터 매년 해외 전지훈련을 실시하고 있다#역시 돈 없는 구단 하지만 2군 지원과는 별개로 1군이 잘 나가다 보니 신인 지명에서 좋은 유망주 수급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는데다 2차 드래프트의 시행으로 그나마 있는 유망주들이 거의 다 빠져나가거나 하는 이유 등으로 팀 성적은 퓨처스리그 전체에서 중하위권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파해보고자 BB 아크도 만들었지만 이 역시 신통치 않은 상황[10].

2015시즌 부터는 옐로우 리그에 소속될 예정이었으나, 편의 때문에 북·중·남부리그로 이름을 바꾸면서 남부리그 소속으로 남았다.

2016년 3월 9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개장 첫 경기를 했다. 상대는 kt wiz 2군 관련 기사

2016년에는 남부리그 꼴찌에 2005년도의 역대 최저 승률을 갱신하며 최악의 성적까지 기록했는데, 시즌 후 올라온 삼성 2군 관련 기사에 따르면 스카우트 실패, 어차피 떠날 거라 자기는 상관 없다는 무책임한 일부 코치, 노후화된 시설, 부진한 성적 탓에 고참급은 군기를 잡는 등,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라고.

감독 교체의 여파로 2군 코칭스태프도 물갈이되면서 2017년에는 예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2018년 시즌이 끝난 후에 1군 준주전과 백업, 2군 주전들[11]을 포함 방출하고 이후에 2018년 드래프트와 육성선수로 들어온 15명 전부를 구단 최초로 재계약하면서 2군에도 대대적인 선수 세대교체가 일어나고 있다.



3.5. 2020년대[편집]




4. 역대 감독[편집]


}}}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074ca1> ||
||<bgcolor=#ffffff> 1대 ||<bgcolor=#ffffff> 2대 ||<bgcolor=#ffffff> 3대 ||<bgcolor=#ffffff><-2> 4대 ||
||<width=20%><bgcolor=#ffffff> 박창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9) ||<width=20%><bgcolor=#ffffff>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width=20%><bgcolor=#ffffff>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3) ||<width=20%><bgcolor=#ffffff>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5) ||<width=20%><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
||<bgcolor=#ffffff> 5대 ||<bgcolor=#ffffff> 6대 ||<bgcolor=#ffffff> 7대 ||<bgcolor=#ffffff> 8대 ||<bgcolor=#ffffff> 9대 ||
||<bgcolor=#ffffff> 정순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7) ||<bgcolor=#ffffff> 이철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bgcolor=#ffffff>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bgcolor=#ffffff>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bgcolor=#ffffff>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4) ||
||<bgcolor=#ffffff> 10대 ||<-2><bgcolor=#ffffff> 11대 ||<bgcolor=#ffffff> 12대 ||<bgcolor=#ffffff> 13대 ||
||<bgcolor=#ffffff>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9) ||<bgcolor=#ffffff> 장효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양일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bgcolor=#ffffff>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6) ||<bgcolor=#ffffff> 성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
||<bgcolor=#ffffff> 14대 ||<bgcolor=#e0ffdb,#073300> 15대 ||<-3><|2><bgcolor=#ffffff>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svg ||
||<bgcolor=#ffffff> 오치아이 파일:일본 국기.svg
(2020~2021) ||<bgcolor=#e0ffdb,#073300> 박진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삼성 라이온즈 No.
정대현
鄭大炫 | Chong Tae-Hyon
(2024~ )


5. 역대 성적[편집]


연도소속 리그팀명순위경기수승률비고
1990년단일리그삼성 라이온즈 2군5위/8팀62295280.509
1991년남부리그4위/4팀36126180.417
1992년1위/4팀36186120.583
1993년2위/4팀36161550.514
1994년1위/4팀36196110.633
1995년1위/4팀60336210.611[12]
1996년1위/4팀60316230.574
1997년1위/5팀76455260.634
1998년1위/4팀60421170.712
1999년3위/4팀60254310.446
2000년1위/4팀60374190.661
2001년3위/4팀60305250.545
2002년3위/4팀60246300.444
2003년4위/4팀66247350.407
2004년1위/4팀72376290.561
2005년4위/4팀76258430.368
2006년4위/4팀782513400.385
2007년3위/4팀90349470.420
2008년2위/4팀903910410.488
2009년4위/4팀90424440.467[13]
2010년1위/5팀102516450.531[14]
2011년2위/5팀102488460.511
2012년4위/6팀1003811510.427
2013년3위/6팀100488440.522
2014년4위/6팀893710420.468
2015년옐로우리그3위/4팀102446520.458
2016년남부리그6위/6팀96306600.333
2017년5위/6팀94406480.455
2018년6위/6팀94338530.384
2019년5위/6팀99405540.426
2020년5위/6팀81365400.474
2021년3위/6팀88416410.500[15]
2022년3위/6팀103524470.525
2023년6위/6팀98370610.378

6. 역대 개인 기록[편집]


커리어 전체가 아니라 삼성 소속일 때만의 기록으로, 상무나 경찰 같은 군경팀 시절 기록도 제외했다. 단, 투수의 사사구와 타자의 득점 기록은 2006년 이후 기록 한정이다. 2군 기록의 경우 KBO는 2005년까지 연감에 각 투수의 사사구와 각 타자의 득점을 표기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과거에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상대적으로 경기가 적어서 투수의 평균자책점이나 타자의 타율 정도를 제외하면 경기수가 많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누적 기록이 상위일 수밖에 없다.


6.1. 통산[편집]


투수
부문이름기록삼성 소속 시즌
등판경기임현준194경기2011~2021
평균자책점[16]정성훈2.761996~2002
승리김기태43승2007~2018
패전김기태34패2007~2018
세이브홍정우25세이브2015~현재
홀드임현준30홀드2011~2021
이닝김기태593⅔이닝2007~2018
피안타김기태632개2007~2018
피홈런황수범36개2011~2018
탈삼진김기태387개2007~2018
사사구황수범296개2011~2018
타자
부문이름기록삼성 소속 시즌
출장경기김정혁503경기2011~2017
타율[17]김정혁0.3362011~2017
출루율김정혁0.3982011~2017
장타율문선엽0.5172010~2017
타석모상기1849타석2006~2014
타수모상기1574타수2006~2014
안타모상기460개2006~2014
2루타김승관99개1995~2004
3루타김종호23개2007~2012
홈런김승관64개1995~2004
타점모상기340타점2006~2014
득점모상기255득점2006~2014
도루정형식95개2009~2014
사사구모상기250개2006~2014
삼진모상기294개2006~2014


6.2. 단일 시즌[편집]


투수
부문이름기록시즌
등판경기양지훈48경기2010
두영진2013
평균자책점김현욱1.421993
승리곽동훈11승2010
패전정홍준10패2009
정광운2019
세이브홍정우15세이브2019
홀드임현준10홀드2011
이닝정성훈130이닝[18]1996
피안타강유삼138개2005
피홈런백준영13개2005
탈삼진정성훈106개1996
사사구황수범99개2011
타자
부문이름기록시즌
타율김정혁0.418[19]2011
안타정형식105개2010
2루타김종호26개2010
이성규2016
3루타김종호10개2010
홈런모상기21개2011
타점모상기83타점2011
득점정형식74득점2010
도루정형식39개2010
사사구백상원64개2010
삼진이태훈74개2021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0:23:45에 나무위키 삼성 라이온즈/2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BO가 2015 시즌 퓨처스리그의 각 리그 이름을 블루리그(북부), 레드리그(중부, 신설), 옐로우리그(남부)로 정했는데 정작 시즌 들어가면서 해당 명칭은 사라지고 북부/중부/남부리그로 불리게 되었다. 중부리그는 2015년에만 운영되었다.[퓨대기] A B 퓨처스리그 대학생 기자단 공식 계정[2] 포항 야구장 개장 후 포항을 홈구장으로 쓰려고 포항시와 협약을 맺었지만 삼성 구단과 포항시 모두 협약을 두고 서로에게 유리하게 해석하며 갈등을 빚는 바람에 이뤄지지 않았다. 2016년 들어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개장으로 삼성이 포항 경기를 줄이면서 2군의 포항 이전은 사실상 무산됐다.[3] 하라는 투수 육성은 안하고, 1군 투수 운용에 사사건건 간섭하면서 1년만에 짤렸다.[4] 특히 1995년에는 2군 선수 전원이 단일 팀으로 미국 애리조나 교육리그에 참가하기도 했다.[5] 박용준과 최한경은 1군에서 혹사당한 탓에 선수 생활이 짧았고, 이상목은 1993년 시즌 중 박선일과 트레이드돼 빙그레 이글스로 간 다음 에이스로 성장했고, 허삼영은 허리 부상으로 일찍 은퇴했다. 이밖에 2군에서 활동하다 1군에 올라온 투수는 이상훈김인철 등이 있는데, 그나마 김인철은 어깨 부상으로 결국 타자가 됐다.[6] 2003년 신인지명 2차 2라운드에서 지명된 좌타자로, 당시 2차 1라운드 지명자였던 강명구보다 더 많은 계약금을 받고 입단했다. 입단 당시부터 2군 유망주 중 1명으로 손꼽혔지만, 군제대 후 어깨 부상으로 재활하는 사이 포지션이 겹치는 채태인에게 밀려 2008년에 방출됐고 이후 LG나 두산을 전전했지만 결국 1군에 자리잡지 못했다.[7] 다만 2007년까지만 하더라도 2군에 대한 위상은 현저히 낮았다. 특히 삼성의 경우에는 2군 본즈의 원조인 김승관의 사례가 있다 보니, 최형우가 2007년 경찰 야구단에서 타격 7관왕을 했음에도 2008년 시즌 전까지는 최형우의 1군 활약에 대해서 부정적인 전망이 더 많았다.[8] 그나마 2004년부터 1군 주전이 된 조동찬과 2005년 입단한 조영훈이 있었지만, 2007년에 각각 부상과 부진으로 조평신 1, 2호기라는 별명만 얻었다. 이 둘을 빼면 당시 삼성 1군에서 서른을 눈 앞에 둔 박한이가 제일 어린 선수였다.[9] 다만 이는 구단의 언플이고 화수분 정도는 아니고 매년 1~2명 정도 1군으로 올라오는 수준.[10] 그도 그럴 것이 류중일 감독이 BB 아크 설립 당시 코칭스태프의 확충도 요구했지만 새로운 코치 영입 없이 기존에 있던 코치들을 지도위원으로 임명했고, BB 아크의 시설도 기존 역사관을 리모델링한 거라 따로 훈련하는 장소가 없다. 설립 취지는 좋았지만 실적을 내기에는 그 여건 자체가 안 좋다.[11] 안성무, 황수범, 김기태 등은 삼성 2군에서 가장 이닝을 많이 먹은 투수 3명이다.[12] 해태와 공동 1위[13] 무승부를 패전으로 간주해 계산된 승률이다.[14] 원래 2009년과 2010년에는 무승부를 패전으로 간주해서 당시 승률은 0.500였다. 이후 2020년대 들어 KBO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예년처럼 무승부를 제외하고 승률을 계산해 KBO 홈페이지에서는 0.531로 나온다.[15] NC와 공동 3위[16] 300이닝 이상 기준. 참고로 이 기준을 만족하는 역대 삼성 2군 투수는 곽동훈, 구준범, 김기태, 라형진, 이동걸, 이수민, 정성훈, 정인욱, 황수범 등 9명이다.[17] 1000타석 이상 기준. 참고로 이 기준을 만족하는 역대 삼성 2군 타자는 김성표, 김승관, 김정혁, 김종호, 모상기, 문선엽, 박규대, 백상원, 백승민, 손주인, 송준석, 우동균, 이태호, 정형식 등 14명이다.[18] 참고로 이 당시는 팀당 60경기였다. 팀 이닝의 1/4 가량을 정성훈 혼자서 책임진 셈.[19] 남부리그 단일시즌 최고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