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타르

덤프버전 :

문서가 있는 지역별 장기 계열 게임
[ 펼치기 · 접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차투랑가
유럽
체스 / 변형 체스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장기
변형장기
샤타르
샹치
쇼기
변형 쇼기
동남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사만시
센테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33px-Shatar_in_Hulun_Buir_National_Museum.jpg

후룬베이얼 민족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샤타르판과 기물.[1]

1. 개요
2. 특징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ᠰᠢᠲᠠᠷ᠎ᠠ, шатар(몽골어) / Shatar

몽골의 전통 보드게임으로 추상전략게임의 일종. 티베트에서도 둔다.[2]

8×8 사이즈의 말판 위에서 흑색 진영과 백색 진영이 왕을 잡는 게임이다.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체스판처럼 무늬가 있는 판을 쓰게 되었다. 10×10 사이즈로 두는 히아샤타르(Hiashatar)도 있지만 대중적이지는 않다.


2. 특징[편집]


기본적으로 체스를 바탕으로 약간의 오리지널 룰이 추가된 구조로 되어 있다. 흑백으로 나뉘는 체스와 달리, 전통 샤타르 기물은 황록으로 나뉜다.

  • 너영 (ᠨᠣᠶᠠᠨ/Ноён/Noyon/왕)[3]: 전통적인 왕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킹으로 대체한다. 전후좌우와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인다. 체스의 킹이나 쇼기의 왕장/옥장과 같으며, 초기 배치도 체스의 킹과 비슷하다. 캐슬링은 없다.

  • 하통 (ᠬᠠᠲᠤᠨ/Хатун/Khatun/왕비)[4]: 전통적인 왕비의 모습 또는 녹색 갈기가 있는 백사자눈표범 등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퀸으로 대체한다. 전후좌우 일직선으로 원하는 만큼, 그리고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쇼기의 용왕(승급한 비차)과 같고, 체스로 치면 킹과 룩을 합친 것이라 볼 수 있다.

  • 머르 (ᠮᠣᠷᠢ/Морь/Mori/말): 평범한 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나이트로 대체한다. 직선 한 칸 이후 대각선 한 칸을 움직이며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있다. 체스의 나이트와 같다.

  • 테렉 (ᠲᠡᠷᠭᠡ/Тэргэ/Tereg/수레): 오르도[5]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룩으로 대체한다. 전후좌우 일직선으로 움직인다. 체스의 룩이나 장기의 차와 같다.

  • 테메 (ᠲᠡᠮᠡᠭᠡ/Тэмээ/Temee/낙타): 평범한 낙타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비숍으로 대체한다. 대각선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체스의 비숍과 같다.

  • 후 (ᠬᠦᠦ/Хүү/Khüü/소년): 어린아이 또는 새끼 사자나 새끼 표범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폰으로 대체한다. 앞으로 한 칸씩만 움직일 수 있고, 대각선의 진행 방향에 있는 적만 잡을 수 있다. 체스의 폰과 같다. 끝행까지 도달하면 하통으로 승진한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0:00:09에 나무위키 샤타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물은 상아로 제작되었다고 한다.[2] 티베트와 몽골은 같은 티베트 불교를 믿기 때문에 비슷한 문화권이라고 볼 수 있다.[3] 본래 귀족, 영주라는 뜻이다. 몽골어로 왕은 '칸(Khan)', 황제(대칸)는 '카안(Khaan)이다.[4] 다른 이름으로는 베르스 (ᠪᠡᠷᠰᠡ/Бэрс/Bers/부인) 또는 바르 (ᠪᠠᠷᠰ/Бар/Bar/호랑이)가 있다.[5] ᠥᠷᠳᠥ/Ордо/Ordo. 왕들이 사용하는 게르가 실린 대형 수레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