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615 (r2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온수동과 구로구청을 오갔던 구 6615번에 대한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6권역 문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6권역번 문단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6권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세풍6615번_뉴비106.png파일:세풍6615번_개선형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1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천왕이펜하우스)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00
막차23:10막차23:40
평일배차13~20분주말배차15~22분
운수사명세풍운수인가대수7대(예비 1대)[1]
노선양천공영차고지 - 서서울생활과학고.궁동도서관 - 수궁동주민센터 - 온수역 - 성우아파트 - 차병원.새소망교회 - 항동우남퍼스트빌 - 푸른수목원 - 천왕역 → 천왕이펜하우스 → 연지타운2단지 → 천왕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세풍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8.1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18년 11월 19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원래는 부천시 안곡로, 소사동로 구간을 경유하려 했으나 부천시와의 협의 문제로 인해 신설 이틀 전인 2018년 11월 17일에 임시 우회 경로를 따라 운행하는 상태로의 개통 방침을 확정했다.[2]

  • 2019년 1월 31일부터 신설 정류장인 퀸즈빌 정류장을 경유한다. 관련 공문

  • 항동지구 추가 입주를 앞두고 2019년 3월 8일부터 신설 정류장인 푸른수목원 정류장과 오류2동 주민센터 항동분소 정류장을 경유한다. 관련 공문

  • 파일:6615변경노선도.png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부천시 운행구간 조정이 확정되어 2019년 4월 22일부터 원래 노선대로 온수역과 역곡고가를 경유한다. 그리고 같은 날부터 오류2동행정복지센터, 오류2동새마을금고 정류장에도 추가로 정차한다. 관련 공문

  • 2019년 8월 19일에 6513번에서 감차된 차량 1대가 이 노선의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 그로인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차량이 1대씩 증차 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대당 일 운행횟수도 증편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14회씩 증회되었으며 평일 배차간격은 15~22분에서 13~20분으로,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은 20~28분에서 15~22분으로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

  • 2020년 2월 1일에 양천차고지 방향은 '오류2동행정복지센터', '오류2동새마을금고' 정류소를 미경유하고, 광덕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퀸즈빌로 가도록 변경되었다. 천왕동 구간은 신설 당시로 환원된 셈.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3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2회씩 증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 변동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천왕역에서 항동철길, 푸른수목원과 연계되는 유일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이다.

  • 당초 온수역 경유하기 위해 부천시를 관통하여 항동지구를 가는 것으로 계획되었으나, 서울특별시에서 부천시에 '부천을 경유하겠다'라고 일방적으로 통보를 해버려 부천시에서 불허했고,[3] 부천시와의 협의 완료 시까지 임시로 우회 운행하도록 계획을 바꿨다.[4] 이 때문에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직접 연계 기능이 잠깐 사라졌었다. 2019년 4월 22일 이후로는 부천시를 경유하며, 성우아파트와 차병원(새소망교회) 정류장만 정차한다.[5]

  • 부천시에 진입하면서 6614번보다 유한대학교와 가깝게 연계되는 서울 시내버스가 되면서 양천구에 거주하는 유한대학교 학생들의 수요가 늘었다.


  •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평일에도 기본 18~20분을 기다리는 일이 허다하다. 덕분에 항동지구에서 천왕역 갈 때 배차간격이 제일 무난한 56-1번이 흥하고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15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413명-
2019년1,755명△ 1,342
2020년2,279명△ 524
2021년2,177명▽ 102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8년 자료는 개통일인 11월 19일부터 12월 31일까지 4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서울 시내버스의 승객이 크게 감소한 반면, 이 노선은 오히려 승객이 늘었다. 코로나19가 없었다면 큰 폭으로 이용객이 늘었을 것이다.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15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천왕이펜하우스6단지
17985
구로우체국.이펜하우스5단지후문
17201
천왕이펜하우스4단지
17984
연지타운2단지
17399
천왕이펜하우스3단지입구
17848
천왕역
17202
천왕역
17982
이상 회차 구간
천왕역
17473
오남중학교
17197
퀸즈빌
17130
별장쉐르빌앞
17804
푸른수목원
17361
푸른수목원
17363
항동복합행정센터
17362
항동복합행정센터
17364
항동우남퍼스트빌
17160
항동우남퍼스트빌
17151
새소망교회
45203
차병원
45201
성우아파트
45204
성우아파트
45200
온수역
17185
온수역
17184
우신고등학교
17183
우신고등학교
17182
수궁동주민센터
17188
수궁동주민센터
17189
수궁119안전센터
17190
수궁119안전센터
17191
예림디자인고.오류고.서울공연예술고
17192
예림디자인고.오류고.서울공연예술고
17193
서서울생활과학고.궁동도서관
17195
서서울생활과학고.궁동도서관
17194
신정숲속마을아파트
15321
신정숲속마을아파트.댓골마을입구
15322
양천공영차고지
15373 · 15718


5. 연계 철도역[편집]




[1] 예비차는 필요시 6716번과 공유하는 다중노선 예비차가 투입된다.[2] 임시 우회 경로는 오리로 직통으로 부천시 구간을 우회한 후, 서해안로를 통해 항동지구에 들어갔다가 유턴해서 나온 뒤 천왕이펜하우스 구간을 돌고 다시 항동지구를 들어갔다가 P턴해 나온 뒤 오리로로 좌회전, 기점으로 복귀하는 방식이다. 관련 공문 포털 사이트 지도에는 유턴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항동지구7단지 도로를 끼고 P턴하여 회차한다. 관련 공문(부분공개) 관련 게시물[3] 물론 부천시에서 노선 운행을 불허한 사유는 일방적으로 통보한 것 말고도 더 있다. 부천시 구간에서 역곡고가를 경유하는데, 이곳은 상습 정체구간인 만큼 부천시 구간을 무정차하는 상태로 이 노선이 들어오면 교통혼잡만 가중시킨다는 것.[4] 지자체 간 갈등에 의해 노선이 한쪽 지자체만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된 또 다른 사례는 위례신도시343번이 있다. 이쪽은 50번 증차를 계속 불허하자 거꾸로 성남시도 343번의 성남 지역 통행을 불허했고, 결국 343번이 교묘하게 서울 지역만 통행하게끔 되어버린 것. 현재는 2020년 2월 변경으로 성남시를 들어간다. 이렇게 교통정체를 이유로 경기도 노선들의 증편이나 신설은 불허하면서, 정작 자기네 노선은 통보만 하는 서울특별시의 행태에 버스 동호인들은 자업자득이라며 깠다.[5] 지금도 부천시가 보강빌라.대흥아트빌과 양지초교 정류장에도 정차를 요구했지만 서울시가 거부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