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웅 이순신(1962)

덤프버전 :

>
유현목 감독 장편 연출 작품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파일:교차로(유현목).png파일:유전의애수.png파일:잃어버린청춘.png
교차로 (1956)유전의 애수 (1956)잃어버린 청춘 (1957)
파일:그대와영원히.png파일:인생차압.png파일:구름은흘러도.png
그대와 영원히 (1958)인생차압 (1958)구름은 흘러도 (1959)
파일:아름다운여인.png파일:오발탄.png파일:임꺽정.png
아름다운 여인 (1959)오발탄 (1961)임꺽정 (1961)
파일:아낌없이주련다.png파일:성웅이순신.png파일:김약국의딸들.png
아낌없이 주련다 (1962)성웅 이순신 (1962)김약국의 딸들 (1963)
파일:푸른꿈은빛나리.png파일:잉여인간.png파일:아내는고백한다.png
푸른 꿈은 빛나리 (1963)잉여인간 (1964)아내는 고백한다 (1964)
파일:춘몽.png파일:순교자.png파일:푸른별아래잠들게하라.png
춘몽 (1965) 순교자 (1965)푸른 별 아래 잠들게 하라 (1965)
파일:태양은다시뜬다.png파일:특급결혼작전.png파일:막차로온손님들.png
태양은 다시 뜬다 (1965)특급 결혼작전 (1966)막차로 온 손님들 (1967)
파일:종야.png파일:공처가삼대.png파일:한(유현목).png
종야 (1967)공처가 삼대 (1967)한 (1967)
파일:수학여행(유현목).png파일:악몽(유현목).png파일:한(속).png
수학여행 (1968) 악몽 (1968)한(속) (1968)
파일:아리랑(유현목).png파일:여(김기영).png파일:몽땅드릴까요.png
아리랑 (1968)여 (1968) 몽땅 드릴까요 (1968)
파일:카인의후예.png파일:나도인간이되련다.png파일:여보(유현목).png
카인의 후예 (1968) 나도 인간이 되련다 (1969) 여보 (1970)
파일:분례기.png파일:불꽃(유현목).png파일:문(유현목).png
분례기 (1971) 불꽃 (1975)문 (1977)
파일:옛날옛적에훠어이훠이.png파일:장마(유현목).png파일:다함께부르고싶은노래.png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1978)장마 (1979)다함께 부르고 싶은 노래 (1979)
파일:사람의아들.png파일:상한갈대.png파일:말미잘(유현목).png
사람의 아들 (1980)상한 갈대 (1984)말미잘 (1994)
상세정보 링크 열기


역대 이순신 관련 영화
[ 펼치기 · 접기 ]


성웅 이순신 (1962)
聖雄 李舜臣
파일:성웅 이순신(1962) 포스터.jpg
감독유현목
원작이은상
각색나소운
기획정봉규
제작김영화
주연김승길
촬영김학성
조명최의정
편집김영희, 양성란
음악김동진
미술이봉선
제작사세연영화사
개봉일1962년 4월 14일
개봉관국도극장
1. 개요
2. 상세
3. 등장인물
4. 줄거리



1. 개요[편집]


유현목 감독의 1962년 개봉 영화.


2. 상세[편집]


충무공 이순신의 일대기와 임진왜란의 활약상을 담은, 유현목 감독의 두 번째 사극 연출작[1]이다. 원작은 시조 시인으로 잘 알려진 이은상. 이은상은 와세다대학 사학과를 나온 사학자이기도 한데 난중일기를 초역하고 충무공 이순신장군기념사업회장을 역임하는 등 이순신 연구자로도 명성이 높다.

파일:성웅 이순신(1962) 한 장면.jpg
타이틀 롤 이순신 역을 맡은 배우는 김승길이다. 세연영화사가 이순신 역을 뽑기 위해 공모한 신인배우 콘테스트에서 선발된 김승길은 당시 44세, 7남매의 아버지로 현직 토건회사 사장이었다. 오래 전 연극무대 경험이 있기는 하나 15년 전인 1947년 《민족의 새벽》이라는 단 한 편의 영화에 출연한 이력이 전부인 신인 아닌 신인이다. 이 영화 이후 다른 작품 활동이 없는 걸 보면 본업으로 돌아간 듯하다.


3. 등장인물[편집]




4. 줄거리[편집]


전라 좌수사 이순신(김승길 분)은 왜적의 침입을 예상해 장비를 정비하고 거북선을 건조하는 등 임전 태세를 기해오던 중, 임진년 6월 왜란을 당하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우지만 한때 모함을 받고 옥살이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변할 줄 모르는 이순신의 구국일념은 출옥 후 백의종군의 길을 선택하고 다시 전라수사를 제수 받는다. 그리하여 노량진 앞바다에서 왜적들을 몰아내던 중 11월 18일 적탄을 가슴에 맞고 장렬하게 전사한다.



여담으로 무한도전에서 개그맨 정준하가 그의 아버지인 정자룡씨가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0:50:51에 나무위키 성웅 이순신(196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첫 번째는 《임꺽정》(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