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클K/한국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주요 편의점 브랜드[A]
파일:GS25 로고.svg파일:CU 로고.svg파일:세븐일레븐 한국판 로고.svg파일:이마트24 로고.svg
GS25[1]
CU[2]
세븐일레븐[3]
이마트24[4]
특수 편의점 브랜드[B]
파일:스토리웨어 로고.svg파일:하나로미니 로고.svg파일:와마트.png
스토리웨이[5]
하나로미니[6]
와마트(PX)[7][8]
군소 편의점 브랜드[C]
한국IGA 계열 브랜드
파일:IGA마트.png파일:IGA마트+.png파일:IGA익스프레스.png파일:온앤오프24.png
IGA마트[180개]
온앤오프24[8개][무인]
더맘마[우린] 계열 브랜드홈웨이 계열 브랜드
파일:씨스페이스 로고.svg파일:블루25.jpg파일:홈웨이.png파일:스마트24.png
씨스페이스24[325개]
블루25[77개]
홈웨이[26개]
스마트24[8개][무인]
기타 브랜드
파일:편의점사랑.png파일:레몬비 로고.jpg파일:로그인 편의점 로고.svg파일:포시즌마트.png
편의점사랑[63개]
레몬비[59개]
로그인[58개]
포시즌마트[55개]
파일:데이앤데이 로고.png파일:마마트.png파일:해빛로고.png파일:알리바이 로고.jpg
데이앤데이[54개]
마마트[49개]
해빛[77개]
알리바이[46개]
파일:하프타임.png파일:베스트올.png파일:웨이스탑.png파일:행복플러스25시.png
하프타임[38개]
베스트올[37개]
웨이스탑[30개]
행복플러스25시[24개]
파일:웨더 편의점 1.png파일:굿앤굿스 로고.png파일:개그스토리마트 로고.svg파일:오케이365.png
웨더[14개]
굿앤굿스[12개]
개그스토리마트[5개]
오케이365[2개]
가맹점 모집 종료 편의점 브랜드[D]
파일:인더라인25.png파일:ing25.png파일:우리들.jpg파일:미스터마트.jpg
인더라인25[45개]
아이앤지25[25개]
우리들[13개]
미스터마트[6개]}}} ||
파일:솔드아웃.png파일:굿타임24 로고.jpg파일:굿마트.png파일:오렌지데이.jpg
솔드아웃[7개]
굿타임24[19개]
굿마트[29개]
오렌지데이[5개]
무인 편의점 브랜드[무인]
파일:신구멍가게.png파일:마켓무 로고.png파일:봉봉24.png파일:Hi24 로고.png
신구멍가게24[173개]
마켓무[76개]
봉봉24[56개]
Hi24[21개]
파일:무인플러스마트.png파일:마켓101.png파일:안자는가게 로고.png파일:뉴들365 로고.png
무인플러스마트[18개]
마켓101[15개]
안자는가게[6개]
뉴들365[3개]
[ 없어진 편의점 펼치기 · 접기 ]
합병된 편의점 브랜드
파일:미니스톱 로고.svg파일:바이더웨이 로고.svg파일:로손화질개선.png파일:써클K 로고.png
미니스톱[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세븐일레븐]
로손[세븐일레븐]
써클K[씨스페이스24]
주유소 편의점 브랜드
파일:ampm.png파일:OK마트.png파일:조이마트 로고.png파일:hanwha_oldlogo.png
ampm[1]
OK마트[2]
조이마트[3][4]
프라자마트[5]
기타 편의점 브랜드
파일:365plus_bi_edited.gif파일:베스토아 로고.jpg파일:스파 로고2.png파일:롯데세븐.png
365플러스[6]
스파메트로[7]
롯데세븐[8]
[세븐일레븐] A B C [씨스페이스24] [1] 유공(현 SK에너지)의 브랜드, 미국과의 계약 종료 후 모든 점포가 OK마트로 변경됨[2] SK네트웍스(구 SK글로벌)의 브랜드, 사업 철수 후 모든 점포가 CU로 전환됨[3] 구 LG스타[4] GS칼텍스(구 LG칼텍스정유)의 브랜드, 사업 철수 후 모든 점포가 GS25에 합병됨[5] 한화에너지(현 현대오일뱅크)의 브랜드, 일자미상으로 사업 철수[6] 구 홈플러스365[7] 구 스파/핫스파[8] 한국 최초의 편의점 브랜드, 세븐일레븐과는 관련없는 롯데쇼핑의 별도의 브랜드이다.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A] 점포 수 1000개 이상[1] 구 LG25[2] A B 2023년 기준[3] A B 2023년 기준[4] 구 위드미[B] 공기업 및 협동조합 산하[5] A B C 2023년 기준[6] A B C 2023년 기준[7] A B 2023년 기준[8] A B C 2023년 기준[C] 점포 수 1000개 미만[180개] 2021년 기준, IGA마트IGA마트+IGA익스프레스 통합 점포 수[무인] A B C 모든 점포가 완전 무인으로 운영[우린] 기존에 씨스페이스24블루25를 운영하던 (주)우린을 2023년에 더맘마가 인수하였다.[325개] 2023년 기준[77개] A B 2023년 기준[26개] 2023년 기준[63개] 2023년 기준[59개] 2021년 기준[58개] 2023년 기준, 2020년 당시 153개[55개] 2023년 기준, 2018년 당시 99개[54개] 2023년 기준[49개] 2021년 기준[46개] 2023년 기준[38개] 2022년 기준[37개] 2022년 기준[30개] 2023년 기준[24개] 2023년 기준[14개] 2023년 기준[12개] 2023년 기준[D] 홈페이지 사라짐 • 가맹사업 및 가맹점 모집은 종료되었지만 남은 점포들은 운영 중[45개] 2023년 기준[25개] 2023년 기준[13개] 2023년 기준[19개] 2023년 기준[29개] 2023년 기준[173개] 2022년 기준[76개] 2023년 기준[56개] 2023년 기준[21개] 2022년 기준[18개] 2023년 기준[15개] 2023년 기준




써클K
써클•케이
파일:써클K.jpg
법인명써클케이코리아(1989~1999)[1]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초 개점1989년 10월 5일
업종명체인화 편의점
모기업한양그룹(한양유통)(1989~1997.09)
한화그룹(1997.09~1999)
후신 씨스페이스(현 씨스페이스24)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여담



1. 개요[편집]


언제나 O•K 어디서나 써클•케이

파일:써클케이1.jpg
파일:써클케이2.jpg
1990년대 써클K의 모습 11990년대 써클K의 모습 2


2. 역사[편집]


1989년 10월 5일, (주)써클케이코리아가 써클K 1호점인 원효1호점을 개점하였다.
1990년 3월 17일, 대학로점을 개점하였다.

1990년 8월, (주)써클케이코리아가 가맹점 사업에 진출하였다.
이후 동년 10월 11일부터 POS시스템을 도입하였고, 10월 15일부터 본격적으로 가맹점 모집을 시작하였다.
이후 동년 11월 8일, 가맹1호점인 미아점이 개점하였다.

가맹점 사업 진출 이후 많은 점포가 개점하였다.
아래는 신문 기사를 통해 확인되는 개점 점포 목록이다.

1990년 12월 29일, 가맹3호점인 장위3호점 개점

1990년 12월 31일, 가맹4호점인 장위1호점 개점

1991년 4월 19일, 가맹9호점인 혜화점 개점

1991년 5월 4일, 가맹10호점인 길음3호점 개점

1991년 5월 24일, 가맹12호점인 종암1호점 개점

1991년 6월 18일, 가맹13호점인 상계5호점 개점

1991년 6월 19일, 가맹14호점인 쌍문3호점 개점

1991년 6월 21일, 가맹15호점인 미아3-2호점 개점

1991년 7월 2일, 가맹16호점인 삼산2호점 개점

1991년 8월 8일, 가맹17호점인 월곡4호점 개점

1991년 8월 10일, 가맹18호점인 종암2호점 개점

1991년 8월 27일, 가맹21호점인 동선4호점 개점

1991년 12월 19일, 가맹36호점인 안암4호점 개점

1991년 12월 19일, 37호점인 대치직영점 개점

1997년 9월, 한화그룹이 (주)써클케이코리아를 계열사로 편입하였다.

1999년, 미국 써클K와 기술협력 계약만료로 써클K 라이선스 계약 기간이 만료되었다. 이후 재계약을 하지 않고 독자 브랜드로 영업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모든 매장이 씨스페이스로 리뉴얼되었고, 법인명이 '써클케이코리아'에서 '한유통'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씨스페이스로 전환된 매장은 직영점과 가맹점을 합쳐 총 111개였으며, 간판 교체 비용은 모두 본사가 부담하였다. 그리고 사실상 한화그룹에서 계열분리되었다.[2]

당시 한유통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89년 편의점 업태가 국내에 도입된 후 10년 동안 시행착오를 거쳐 한국형 운영 시스템이 완성됨에 따라 더 이상 상표 사용료를 내면서 외국 상표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게 됐다. 또 지난해까지 매출액의 0.9%를 로열티로 지급했지만, 이 비용을 자체 교육과 점포 컨설팅에 활용하면 점포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라고 한다. 하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좋지 않은 선택이였다.

이후 씨스페이스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씨스페이스24 문서 참고.


3. 특징[편집]


한양그룹한화그룹이라는 대기업이 운영했는데도 불구하고 고전을 면치 못했다.

점포 수는 1991년 12월 기준 82개, 1993년 10월 기준 161개, 1994년 12월 기준 245개, 1996년 2월 기준 286개로 당시 꽤 많은 점포를 운영하며 주요 편의점 브랜드에 속해있었다. 특히 1991년부터 시작하여 1990년대 초반에 점포 수가 많이 늘었었다.

하지만 한화그룹이 인수한 이후 1998년부터는 신규 출점하는 점포보다 폐점하는 점포가 더 많아 폐점률 55%를 기록하는 등 후반부로 갈수록 점포수가 줄어들었고, 결국 씨스페이스로 변경될 때는 111개의 점포만 남아있었다.


4. 여담[편집]


파일:써클케이 동아일보.jpg
동아일보에 게재된 써클K의 광고
가맹점 모집 광고의 멘트가 상당히 특이한 편이였다. 오른쪽 아래를 잘 보면 써클케이와 함께 성공하실 분들을 딱 1000분만 모십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가맹점을 모집하다고 되어있다. 선착순 1000명 물론 실제로 1000호점까지는 도달하지 못했고 최대 300호점에서 만족해야 했다.

특이하게도 1991년 6월에 '써클케이코리아 사보'를 창간하였다. 대기업도 아닌 편의점 운영 기업에서 사보를 발간한 것은 특이한 케이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16:40:11에 나무위키 써클K/한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99년에 미국 써클K와의 계약이 종료된 이후 법인명을 '한유통'으로 변경하고, 브랜드명을 씨스페이스로 변경하였다. 사실상 한화그룹에서도 분리되었다.[2] 이후 2011년에 다시 한화그룹에 편입되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