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물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모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전자기기의 능력에 대한 내용은 에뮬레이터 문서
에뮬레이터번 문단을
에뮬레이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禮物
2. 預物


1. 禮物[편집]


글자 그대로 예의를 담아 주는 물건.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결혼을 할 때 신랑 신부 양측에서 기념 삼아 서로 주고받는 물건을 가리킨다. 품목이나 가격에 딱히 정해진 기준은 없지만 주로 신랑은 명품 시계, 신부는 명품 가방이나 반지, 목걸이 등 귀금속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2. 預物[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高預物
?[1] ~ 248년

고구려의 왕족.

동천왕의 아들이며, 또한 중천왕의 동생이었다.

248년, 형제인 사구과 더불어서 형인 중천왕을 상대로 모반을 꾀하였다가 실패하였고, 결국 사구과 함께 형벌을 받고 죽었다.

당시에는 왕위계승 방식이 기존의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변화하던 시기였는데,[2] 예물과 사구는 이러한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오히려 반발하며 왕위를 찬탈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1] 224년 이후[2] 대무신왕때부터 산상왕 이전까지는 형제상속이 부자상속보다 더 잦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0:55:02에 나무위키 예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