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버스 1113 (r5판)

편집일시 :


파일:KD1113-a.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대체 경로
4.3. 외대 통학 방법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시 직행좌석버스 111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용인 1113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버랜드)종점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종점행첫차05:10기점행첫차06:30
막차22:30막차23:50
평일배차30~40분주말배차45~55분
운수사명대원고속인가대수7대[1]
노선에버랜드 - 라마다용인호텔 - 전대·에버랜드역 - 포곡중.에버찜질사우나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도사마을 - 초부리 - 갈담리 - 외대사거리 - 매산리 특수전학교 - 양벌리 - 경기광주역입구 - 경기광주터미널 - 밀목.광주시청 - 밀목빌라단지 - (→ 번천삼거리 → 상번천 →/← 번천초교 ←) - 경기광주IC - 중부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상일IC - 상일초교 - 초이동(중) -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중) - 둔촌2동주민센터(중) -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중) - 천호역(중) - 천호대교 → 광진청소년수련관 → 강변북로 → 테크노마트앞.강변역(D) → 광장동현대아파트 → 천호역(중)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에버랜드 ~ 강변역 간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8.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파일:bus-20180428-221803-002.jpg
1990년대의 모습
  • 1994년경에 당시 광주와 강변역을 잇던 113번 좌석버스의 급행격으로 만든 노선으로 KD 최초의 직행좌석버스이다. 구천면길을 경유하던 13번과 113번과 달리 천호대로 직통으로 운행하였여 차별화를 두었다. 또 1995년부터 1005-1번과 함께 교통카드 시범운행을 한 노선이기도 한다.

  • 그러나 1995년 이후 광주에서 중부고속도로를 경유하여 바로 서울로 가는 1113-1번, 하남에서 천호역, 강변역까지 천호대로로 바로 이어주는 일반시내버스 112번이 이 개통되며 어중간한 위치에 있던 1113번은 외면받기 시작한다.

  • 1996년 외대로 연장되었다가 얼마 안가 시내버스 13-1번으로 형간전환 되었다.

  • 이후 외대~강변역으로 재개통하였고 1113-1번과 똑같이 중부고속도로를 경유하며 하남시를 미경유하는 노선으로 개통하였다. 세부 노선은 외대-모현-광주-보건소-밀목-중부고속도로-상일동-천호동-강변역.

  • 2003년경에 에버랜드 연계를 위해 에버랜드-모현 구간을 연장한다.

  • 에버랜드 연장 이후 1500-2번과 마찬가지로 에버랜드 정문 근처 주차장까지 진입했던 노선이나 주차장에 주차공간이 부족한데다 주말에는 나들이 온 차량과 버스가 뒤엉켜 배차간격 유지에 어려움을 겪어 에버랜드KD 운송그룹, 경남여객이 협상을 해 2011년 2월부터 에버랜드 밖 환승주차장까지만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11월 1일에 '장지사거리 - 경기광주역 - 광주중앙고 - 구3번종점 - 광주종합터미널 - 보건소.공설운동장 - 자원봉사센터 - 파라다이스아파트 - 광주시청 - 경기광주IC' 구간이 1113-1번과 비슷하게 '장지사거리 - 포은대로 직통 - 광주종합터미널 - 송정교 - 광주하남교육청 - 밀목 - 경기광주IC'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7년 10월 12일에 '대성아파트 - 매곡초교 - 양벌쌍용1차 - 장지사거리 - 경기광주터미널 - 밀목 - 번천' 구간이 '대성아파트 - 태전힐스테이트5지구 - 광주경찰서 - 광주시청 - 번천'으로 바뀌었다. 관련 게시물

  • 그러나 양벌리 주민들의 민원이 많아서 2017년 10월 20일에 원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4월 20일부터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준공영제 실시로 인해 1117번 출신 2대가 증차되었다.




4. 특징[편집]


  • 만약 구리, 남양주에서 에버랜드를 가고자 한다면 사릉이나 덕소, 또는 구리시내에서는 천호역까지의 시간도 그다지 오래 걸리지 않기 때문에 천호역에서 1113번을 환승하는 방법이 더 유리하다. (덕소의 경우 112-1번을 타고 상일초교에서 환승.) 다만 진접이나 마석, 호평, 평내, 별내 일대에서는 잠실역까지 이동이 더 수월하기 때문에 5700번이나 2호선 탄 다음에 강남역에서 5002번 이용이 더 낫다.

  • 에버랜드에서 탑승시, 매표소에서 감성교복, 오렌지주차장 방면으로 약 400m 이동하면 에버랜드 노선버스터미널이 있는데 거기서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승차장은 10번 승강장이며, 매표는 따로 하지 않는다. [2][3]

  • 에버랜드부터 외대사거리까지는 1500-2번과, 포곡농협부터 경안중.ICT폴리텍대학까지는 20번과, 왕산4리부터 경안중.ICT폴리텍대학까지는 60번과 노선이 동일하다.

  • 강변역에서는 1번 출구 건너편 구의공원 앞 D정류소에서 승차하면 된다. 1113번 시리즈를 타는 위치가 따로 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입구인 외대사거리를 경유하나 배차간격이 길고, 동서울터미널(강변역)까지는 교내에서 출발하는 1117번이 존재하여 천호동, 둔촌동, 상일동 통학생[4] 제외한 외대생들은 이용을 잘 안 하는 편이다.

  • 이 노선의 주 역할은 에버랜드 이용객 수송 외에도 광주시내에서 강동구, 강변역 가는 승객들을 수송하는 것이다. 다만 노선길이는 긴데 비해 수요가 저조해 운행 댓수가 적어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다. 광주시내는 1113-1번이 빗자루 배차로 폭풍처럼 승객을 쓸어담고, 2014년에는 입석금지로 인해 신설된 1113-2번이 더 나은 배차간격으로 광주시내의 승객을 흡수해서 그런지 제대로 힘을 못쓰고 있다. 아무래도 운행 거리가 비슷한 1113-1번이 지나는 곤지암, 초월읍은 인구가 많은 지역인데 비해 1113번이 지나는 매산리, 양벌리는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기본적으로 노선을 유지되기 위한 최소 요구치가 부족한 것이 수요 저조에 영향을 끼치는 듯 하다. 그나마 현재는 경강선 개통 이후 승객이 늘어난 20번을 일부 분담하며 미약하게 나마 수요가 늘어난 상황이다.

  • 2017년 10월 기준 KD 운송그룹 경기광주 면허 직행좌석 노선들 중 승차량이 1000명 이하로 떨어지며 뒤에서 1위를 기록했다. 그러다 이후 다시 어느 정도 복구되었는데 노선 특성 상 1113-1번과 1113-2번과의 경합이 많이 발생해서 승차량이 왔다갔다 하는 듯하다.


4.1. 시간표[편집]


2019년 10월에 촬영한 것이다. #


4.2. 대체 경로[편집]



(1) 5700번 이용[5][6]
(2) 5002번 타고 강남역 가서 서울 2호선 환승



  • 모현/외대 - 강변역(동서울터미널)
    • 1117번[7] 버스 이용 또는 20번 또는 60번을 이용한 다음 광주터미널에서 1113-1번, 1113-2번 이용

(1) 왕산4리(외대입구)에서 20번[8]이나 60번을 타고 광주터미널 앞 버스 정류소에서 1113-1번, 1113-2번 버스 환승[9]
(2) 천호역행 하교통학버스 이용 [10]



4.3. 외대 통학 방법[편집]


용인 버스 1005
용인 버스 1117
용인 버스 1150
용인 버스 1303

용인 버스 1005
용인 버스 1117
용인 버스 1150
용인 버스 1303번 직행좌석버스를 타면 된다. 단, 백년관까지만 간다.
외국어대입구↔한국외대종점 구간만 갈 때 학교버스회사 간 계약을 맺어 교통카드를 찍거나 현금을 내지 않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11]
  • 주의!: 1500-2번 버스는 외국어대입구-학교 구간도 유료이니 사거리와 학교만 오갈 때는 타지 않는 것이 좋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D56; font-size: .95
무료 교내셔틀버스(빵차)}}} ||
무료 교내셔틀버스(빵차)
[1] 토요일 / 공휴일 5대 운행.[2] 2020년 4월 14일부터 에버랜드 대중교통정류장이 정문과 가까운 위치로 이전되어 더이상 셔틀버스를 이용하여 전대.에버랜드역 앞 주차장으로 갈 필요가 없어졌다.[3] 강변, 천호, 광주, 모현 등지에서 오는데 실수로 전대.에버랜드역 정류소에서 내렸다면 2주차장 무료셔틀버스를 이용하면 된다.[4] 이마저도 학교에서 운행하는 천호동행 하교통학버스가 있어 여기도 이용을 잘 하는 편은 아니다.[5] 판교테크노밸리, 수서역, 잠실역 경유[6] 단, 여기도 배차간격이 꽤 긴 편에 속한다.[7] 모란역, 잠실역 경유[8] 광주터미널 바로 앞까지 가지 않으나, 경안동공영주차장(종점)에서 내리면 광주터미널(이마트) 건물이 보인다.[9] 1113-1번, 1113-2번 버스가 1113번보다 더 배차가 좋다.[10] 외대생과 교직원 한정, 정규학기 평일에만 운행.[11] 학교 출발 차량을 탄 경우, 외국어대입구까지만 무료다. 이후부터 가면 유료니 탈 때부터 돈을 내야 한다.
모현지석묘입구 정류소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s-2.6|인문경상관] ||까지 운행한다.(그래서 어문학관, 교양관, 인문경상관 가는 경우는 광역버스를 타다 기숙사나 도서관에서 내려 빵차로 갈아타는 사람이 많다.) 하행은 지석묘 맞은편 외대.모현빌라 정류소까지만 운행한다. 정규학기(전체)와 계절학기(대면 시) 평일에만 운행한다. [12]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에버랜드 리조트 (2).png 에버랜드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터미널 출발중간 경유노선
시외>*입구(전대리) 경유
직행좌석>{{{#!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5700A/B
일반시내
66-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5%"90



[12] 대면이 가능했을 때, 동계방학 중 신입생 신체검사·영어진단평가기간이나 새터 1일차와 마지막날에는 특별운행했었다.[13] 강변역행 한정, 광진청소년수련관 정류소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