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자지령 다그온 (r1판)

편집일시 :


용자 시리즈 목록

[ 펼치기 · 접기 ]



로봇용사 다그온 (1996~1997)
勇者指令ダグオン
Brave command DAGWON
파일:용자지령다그온.jpg

1. 개요
2. 줄거리
3. 특징
4. 등장인물
4.1. 다그온 팀
4.2. 조력자
5. 설정
5.1. 메카
5.2. 기타 설정
6. 음악
7. 회차 목록
8. 에피소드 가이드
9. 한국 방영
9.1. 편성 변경
10. 평가
11. 미디어 믹스
12. 모형화
13. 기타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auctions.c.yimg.jp/oppp0000-img450x600-1466666533ovpjr514802.jpg
1996년 2월 3일 ~ 1997년 1월 25일 방영. 전 48화

용자 시리즈의 7번째 작품. 감독은 모치즈키 토모미이며, 작품의 배경은 방송연도와 같은 1996년~1997년.[1][2] 또한 작중 배경인 '산카이 시'(더빙명은 강산시)는 일본의 지역인 시즈오카현을 배경으로 한듯. 주제는 청춘이라고 한다. 모치즈키 토모미 감독이 원래 청춘물로 유명하긴 한데 감독이 정한 건 아니고 기획 단계에서 그렇게 다 정해진 뒤에 감독으로 캐스팅된 것이라고 한다.

애니메이션 제목 및 주인공 용자들을 가리키는 '다그온'은 브레이브 성인의 언어로 '용자'를 의미한다.

2. 줄거리[편집]


우주의 악당들을 잡아둔 감옥에서 반란이 일어나 감옥이 통째로 탈취당하고 악당들이 지구를 노리는 상황에서 브레이브 성인 하나만 딸랑와서 니들이 지구를 지키라면서 책임전가 후 돌아가는 엘드란 시리즈가 생각나는 전개로 시작된다.[3] 게다가 지구의 장비들을 사람이 타고 있는 채로 스캐닝[4]한 것을 보면 엘드란보다 더할지도 모른다. 몰래 비밀기지와 메카 등도 전부 다 구비시켜놓은 걸 보면 브레이브 성인은 엘드란과 행동방식이 꽤나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특징[편집]


용자 시리즈를 통틀어서 제목이 주역 메카를 가리키지 않는 유일한 작품이다. '다그온'은 주역 뿐만 아니라 본작의 모든 용자들을 가리키는 이름이다.[5] 다만 국내 더빙판 기준으로는 국내에서 로봇수사대 K캅스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용자경찰 제이데커도 포함된다. 해당 작품에 나오는 용자들을 가리키는 단어인 '브레이브 폴리스'가 국내에서 '로봇수사대 K캅스'로 로컬라이징되었기 때문이다.

황금용자 골드란을 제외하고 도입부 나레이션이 들어간 사실 상 마지막 작품이다.

지금까지 작품들과는 노선이 살짝 달라서 미청년들의 학원물적 요소가 추가되었다.

기본적으로 용자 ≠ 인간이라는 지금까지의 구성에서, 인간이자 용자인 청년들이 활약하게 되는 새로운 구성을 가지고 있다. 물론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에서 이미 카토리 유우타로가 나오기는 하지만 사실 그는 인간의 모습을 취하고 있을 뿐, 인간은 아니다. 이후 이 두가지 요소가 잘 섞여서 용자왕 가오가이가시시오 가이에게 이어진다.

산카이 고교생[6]인 엔, 카이, 신, 요쿠, 류가 사르갓소의 악당들이 일으키는 사건에 휘말리게 되고, 브레이브 성인에 의해 반 강제적으로 용자 다그온으로 임명된다. 이후 다양한 악당들과 새로운 동료들과 만나고, 때로는 고전하나 다시 강해져서 싸워 나가며, 당연히 추가용자도 나온다.

각각의 캐릭터의 개성이 확실해서 열혈 문제아, 꽉 막힌 선도부 등등 캐릭터들이 만들어내는 이야기도 볼 만한 거리다. 로봇이 날뛰는 세계관이지만 일상과 리얼리티를 강조해 무기가 부러져서 필살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거나, 슈퍼 파이어 다그온은 억지로 만든 기능인데다 미완성이라 합체후에 엄청난 체력적 부담이 간다든가, 한번 파괴된 기체는 자력으로 복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전투 후에는 기지 내에서 수리를 한다든가. 지구제 기계들을 카피한 로봇들은 내열기능이 없어서 단독으로 대기권 돌파를 못 한다든가, 거기다가 주인공인 다이도우지 엔이 교감에게 걸려 화장실 청소를 명목으로 불참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기존 시리즈보다 좀 더 현실적인 묘사가 많다.

기본적으로 캐릭터들이 커맨더로 트라이 다그온해서 다그 텍터라는 파워슈츠를 입고 싸운다. 로봇은 주인공들과 개개인의 비클 머신과 융합하여 용자로 변형하게 된다.[7] 이런 요소는 카토리 유우타로에서 이어진 것으로 이후 시시오 가이에게도 이어진다. 물론 둘은 인간이 아니다. (카토리는 안드로이드에 깃든 외계인의 영혼, 시시오 가이는 G스톤의 사이보그(TVA)->에볼류더(TVA 최종결전 이후->FINAL))

로봇 이름도 일반 융합합체 상태[8]에서는 '다그 XX', 합체 이후에는 'XX 다그온' 식으로 통일되어 있다. 기존 용자들이 주역 용자 라인, 혹은 서포트 용자 팀 구성원들끼리만 통일된 이름을 사용했던 것과 대비된다.[9]

용자 시리즈의 전통 요소인 '주인공 소년과 로봇의 교감'에서 다그온 일행은 소년의 입장에서도, 로봇 입장에서도 모두 포함되는데 라이안건키드와의 교류는 소년의 입장에서, 토베 마나부와의 교류는 주역 로봇의 입장에서 이루어진다는 것도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처음에는 보통 '용자인데 웬 전대?'라고 의문을 가지게 된다(사실상 슈퍼전대 시리즈 애니화 버전).[10] 실제로도 작품 자체가 호불호가 갈려서 미소년 전대물 쯤으로 까이고 실제로도 용자 시리즈의 쇠퇴에 한몫 했다.[11] 고등학생 남아들이 만들어가는 이야기가 주가 되기 때문에 부녀자 및 여성 오타쿠들을 비롯한 여성 유저들에게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용자특급 마이트가인이상으로 어필하게 되나, 용자 시리즈 주 시청층인 아이들에게는 감정이입의 요소를 빼앗아간 형국이 되어 인기가 저하하게 되었다. 게다가 인간이 직접 용자가 되어 싸우다 보니 인간과 로봇의 교감이라는 용자 시리즈 본연의 기획의도가 퇴색되었고, 그에 따라 트랜스포머 느낌이 옅기로 유명했던 용자특급 마이트가인보다도 더욱 트랜스포머 느낌이 옅어졌다.[12][13]

이 작품이 흥행 실패해서 용자왕 가오가이가를 끝으로 용자 시리즈가 완결이 됐다는 루머가 돌고 있지만 그건 용자 시리즈는 선라이즈타카라의 스폰서를 받아 만드는 시리즈였는데 이 작품을 만들고 반다이에 인수가 결정되면서 가오가이가가 끝이 된 것일 뿐이다. 이 작품의 흥행은 평타는 친 정도였다고 한다. 모치즈키 감독은 OVA가 나온 것도 여성 팬의 인기 덕이라고 했다. 그리고 애초에 이 작품이 망했으면 가오가이가가 나올 리가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감독이 "인기가 내 생각보다 없었다." 라고 한 말이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아주 대박까진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망한 작품도 아니다.

4. 등장인물[편집]



4.1. 다그온 팀[편집]









4.2. 조력자[편집]




4.3. 악역 - 우주감옥 사르갓소[편집]


[ ???(스포일러) ]



5. 설정[편집]



5.1. 메카[편집]


다그온 시리즈는 특이하게도 고글을 쓴 메카닉이 단 한 대도 없다.[14] 또한 눈의 색상이 라이너 팀은 주황색, 나머지는 모두 녹색이다.



  • 섀도우 다그온
    • 다그 섀도우/섀도우 제트/섀도우 드래곤
    • 섀도우 가드(수호 로봇)
      • 가드 타이거(수호 타이거)
      • 가드 울프(수호 울프)
      • 가드 호크(수호 호크)

  • 슈퍼 라이너 다그온
    • 라이너 다그온
      • 터보 라이너/다그 터보
      • 아머 라이너(파워 라이너)/다그 아머(다그 파워)[15]
      • 윙 라이너/다그 윙
    • 드릴 라이너/다그 드릴
  • 썬더 다그온
    • 썬더 셔틀 (썬더 우주선)
    • 썬더 바이크 (썬더 오토바이)




5.2. 기타 설정[편집]



  • 풍운 고등학교 - 산카이고 주변에 있는 또다른 고등학교. 사복학교인 산카이 고교와는 달리 교복이 의무인듯 하다. 쿠로이와 게키가 이 학교에 다니며, 드라마 cd에 의하면 카이의 여동생 나기사도 이 학교에 다닌다고 한다. 기숙사를 운영하지만 그 기숙사의 질이 낡은데다, 게키는 부하 100명을 둔 일진에, 나기사도 심성은 착하다지만 고갸루 패션을 즐기는 갸루라는것을 보면 질이 좋지 않은 날라리 학교인듯 하다.

6. 음악[편집]




  • OP: 빛나라! 다그온(輝け!!ダグオン)[16]
  • ED: 바람 속의 프리즘(風の中のプリズム)[18]
    • 노래는 둘 다 Nieve.[17]

공식적으로는 2장의 OST 음반이 발매되었다. 각종 음원 사이트에서도 찾을 수 있다.
- Command of Braves Dagwon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Vol. 1 (총 17곡 수록)
- Command of Braves Dagwon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Vol. 2 (총 17곡 수록)

용자 시리즈 20주년 기념 앨범 BRAVEST(HARVEST)에서 본 곡은 TOP GUN이라는 유닛이 맡았는데 멤버가 기동전사 V건담의 주제가를 부른 카와조에 토모히사와 기동무투전 G건담의 주제가를 부른 우시마 요시후미. 원래는 기동전사 V건담의 엔딩곡을 부른 나가토모 죠세이도 있었지만 나가토모가 현재 탈퇴해 2인조로 활동 중이다. 본 앨범에서 남자 보컬이 맡은 곡은 이 작품을 포함해 2곡이다.


7. 회차 목록[편집]


  • 전편 뱅크신 콘티, 연출 : 야마구치 유지
  • 뱅크신 작화: 스즈키 타쿠야, 스즈키 타츠야[19], 나카타니 세이이치, 야마네 리히로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誕生! 勇者高校生
宇宙砂塵サンドール星人登場
탄생! 용사 다그온
우주 모래먼지 샌드루 성인등장
아라키 켄이치
(荒木憲一)
모치즈키 토모미타니구치 고로오구로 아키라日: 1996.02.03.
韓:
제2화空中都市作戦
宇宙蟻ザゴス星人登場
공중도시 작전
우주개미 자코스 성인 등장
己葉新樹히사유키 히로카즈日: 1996.02.10.
韓:
제3화ダグファイヤー戦闘不能
液体生命体ガロン星人登場
다그파이어 전투능력 상실!
액체생명체 갈론 성인 등장
키쿠치 카즈히토
(菊池一仁)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02.24.
韓:
제4화最終兵器を破壊せよ
宇宙仙人デスパルス星人登場
비장의 무기를 파괴하라!
우주선인 데스바루스 성인 등장
스기시마 쿠니히사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03.02.
韓:
제5화ファイヤーダグオン発進せず
宇宙電人エレクトロン星人登場
발진하라! 파이어 다그온
우주전인 엘렉트론 성인 등장
카와세 토시후미미나미 야스히로
(南 康宏)
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무로이 세이진
(室井聖人)
日: 1996.03.09.
韓:
제6화ゲームオーバー
宇宙幽霊カオス星人登場
게임 오버
우주유령 카오스 성인 등장
아라키 켄이치타니구치 고로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03.16.
韓:
제7화サルガッソの謎
看守ロボガードロイド登場
사르갓소의 비밀
간수 로보 가드로이드 등장
히다카 마사미츠오구로 아키라日: 1996.03.23.
韓:
제8화キケンな眠り
爆睡宇宙獣モグネール登場
다그온! 잠에서 깨어나라!
깊은 잠 우주짐승 모그넬 등장
스가 요시유키
(菅 良幸)
키쿠치 카즈히토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03.27.
韓:
제9화昆虫大パニック
宇宙鳥人ガラバード星人登場
애벌레 대소동
우주 새인간 갤러버드 성인 등장
키타지마 히로아키
(北嶋博明)
스기시마 쿠니히사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03.30.
韓:
제10화強さを我が手に
吸収宇宙人キラード星人登場
우리에게 강인함을
흡수 우주인 킬러드 성인 등장
야마다 야스노리
(山田靖智)
미나미 야스히로무로이 세이진日: 1996.04.06.
韓:
제11화復讐の10万光年
宇宙皇帝アーク星人 宇宙剣士ライアン登場
10만 광년을 기다린 복수!
우주황제 아크 성인 우주검사 라이언 등장
아라키 켄이치타니구치 고로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04.13.
韓:
제12화新たなる仲間
鋼鉄宇宙人アルマー星人登場
다그온의 새로운 동료
강철우주인 아르마 성인 등장
카와세 토시후미己葉新樹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04.20.
韓:
제13화炎の新必殺剣
銀河獣人ワイルディー登場
불타는 라이언 검!
은하수인 와일디 등장
스가 요시유키키쿠치 카즈히토우에다 요이치
(植田洋一)
日: 1996.04.27.
韓:
제14화心優しき宇宙獣
星獣グリフィン 星獣使いロッド星人登場
눈물을 남긴 우주의 야수
성수 그리폰 성수 사용자 로드 성인 등장
야마다 야스노리스기시마 쿠니히사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05.04.
韓:
제15화暴走ダグアーマー
宇宙魔女サキュバス登場
다그파워! 꼭두각시가 되다!
우주마녀 서큐버스 등장
키타지마 히로아키미나미 야스히로무로이 세이진日: 1996.05.11.
韓:
제16화閃光のダグベース
宇宙蟻ザゴス星人登場
다그베이스의 비밀
우주개미 자코스 성인 등장
아라키 켄이치타니구치 고로테라오카 이와오1996.05.18.
韓:
제17화弱虫ツヨシと宇宙石
宇宙炎人フェニックス星人登場
겁쟁이와 우주석
우주염인 피닉스 성인 등장
스가 요시유키야마모토 유스케
(山本裕介)
己葉新樹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05.25.
韓:
제18화マリアの幽霊退治
宇宙幽霊船バンダー星人登場
마리아의 유령퇴치작전!
우주유령선 반다 성인 등장
카와세 토시후미키쿠치 카즈히토日: 1996.06.01.
韓:
제19화ダグオンNO.6
宇宙植物シード星人 植物獣ドランゴラン登場
다그온 NO.6
우주식물 시드성인 식물수 드란고란 등장
아라키 켄이치스기시마 쿠니히사우에다 요이치日: 1996.06.08.
韓:
제20화突撃! ダグドリル
宇宙商人ヌーベル星人登場
돌격! 다그드릴
우주상인 누벨 성인 등장
야마다 야스노리나가무로 후미츠키
(氷室文月)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06.15.
韓:
제21화男! 涙の友情合体
死神宇宙人ヒュドロン星人登場
사나이! 우정의 합체
사신우주인 휴드론 성인 등장
키타지마 히로아키타니구치 고로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06.22.
韓:
제22화風に舞う白い羽根
宇宙の悪魔デモス登場
쌍둥이의 슬픈 운명
우주의 악마 데모스 등장
나카노 무츠미
(中野 睦)
히다카 마사미츠己葉新樹무로이 세이진日: 1996.06.29.
韓:
제23화宇宙の大樹
機械植物メカージュ星人 ガンドロイドT96登場
우주의 거대한 나무
기계식물 메카주 성인 간드로이드T96 등장
사카모토 고
(坂本 郷)
키쿠치 카즈히토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07.06.
韓:
제24화その名はガンキッド
機械植物メカージュ星人登場
그 이름은 건키드
기계식물 메카주 성인 등장
스기시마 쿠니히사우에다 요이치日: 1996.07.13.
韓:
제25화誓いの無限砲
宇宙皇帝アーク星人 宇宙アメーバキャメロン登場
무한포의 맹세
우주황제 아크 성인 우주 아메바카메론 등장
아라키 켄이치나가무로 후미츠키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07.20.
韓:
제26화ねらわれたガク
宇宙の破壊者デマッカ星人登場
표적이 된 혁이!
우주의 파괴자 데마카 성인 등장
키타지마 히로아키모치즈키 토모미오구로 아키라日: 1996.07.27.
韓:
제27화猫が消える日
宇宙鼠マウザー星人登場
버림 받은 고양이들
우주쥐 마우자 성인 등장
카와세 토시후미타니구치 고로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08.03.
韓:
제28화去りゆく君へ
宇宙グモパイダ星人登場
물러가는 너에게
우주 그모바이다 성인 등장
야마다 야스노리己葉新樹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08.10.
韓:
제29화青い星の戦慄
恐怖宇宙人ラドンパ星人登場
푸른 별의 위기
공포 우주인 라돈파 성인 등장
나카노 무츠미키쿠치 카즈히토무로이 세이진日: 1996.08.17.
韓:
제30화地球氷河期5分前
宇宙皇帝アーク星人登場
지구빙하기 5분전
우주황제 아크 성인 등장
아라키 켄이치
사카모토 고
스기시마 쿠니히사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08.24.
韓:
제31화剛力! パワーダグオン
宇宙女王蟻クイーンザゴス登場
강력! 파워 다그온
우주여왕벌 퀸 자코스 등장
아라키 켄이치히다카 마사미츠타니구치 고로우에다 요이치日: 1996.09.07.
韓:
제32화噂の刑事エン&ゲキ
凶悪宇宙警官デスコップ登場
잠복 근무!
흉악우주경찰 데스캅 등장
스가 요시유키나가무라 후미츠키야마모토 메구미
(山本 恵)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09.14.
韓:
제33화嵐を呼ぶ学園祭
台風宇宙人フットバー星人登場
태풍의 눈
태풍우주인 후드버 성인 등장
키타지마 히로아키오구로 아키라토라다 이사오
(虎田 功)
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09.21.
韓:
제34화エン、成層圏で戦う
要塞宇宙人パット星人登場
우주에서의 한판 승부
요새 우주인 패드 성인 등장
나카노 무츠미키쿠치 카즈히토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09.28.
韓:
제35화電撃登場ダグサンダー
宇宙魚人サバラス星人登場
등장! 일곱번째 다그온
우주어인 사바라스 성인 등장
아라키 켄이치스기시마 쿠니히사나카지마 츄지
(なかじまちゅうじ)
日: 1996.10.05.
韓:
제36화サルガッソの支配者
電波宇宙人パルス星人登場
사르갓소 지배자
전파우주인 펄스 성인 등장
야마다 야스노리타니구치 고로우에다 요이치日: 1996.10.12.
韓:
제37화幽霊トラックを追え!
暴走宇宙人トラッカー星人登場
유령 트럭을 쫓아라!
폭주 우주인 트러커 성인 등장
스가 요시유키나가무로 후미츠키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10.19.
韓:
제38화復活の白い翼
宇宙の阿修羅シュラ登場
부활의 하얀 날개
우주의 아수라 수라 등장
나카노 무츠미토라다 이사오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11.02.
韓:
제39화吠えよ! ライアン
宇宙皇帝アーク星人登場
울부짖는 라이언
우주황제 아크 성인 등장
키타지마 히로아키키쿠치 카즈히토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11.09.
韓:
제40화望まざる対決
ワルガイア星人ヒドー登場
루나의 뜨거운 눈물
와르가이아 성인 히드 등장
아라키 켄이치스기시마 쿠니히사나카지마 츄지日: 1996.11.16.
韓:
제41화禁断の超合体
合成宇宙人ゼルマー登場
탄생! 슈퍼 파이어 다그온
합성 우주인 젤마 등장
야마다 야스노리타니구치 고로우에다 요이치日: 1996.11.23.
韓:
제42화割れたダグテクター
ワルガイア3兄弟登場
다그온! 절체절명의 위기
와르가이아 3형제 등장
스가 요시유키나가무로 후미츠키스즈키 타츠야스즈키 타쿠야日: 1996.11.30.
韓:
제43화勇者たち宇宙へ
爆弾宇宙人ボンバー星人登場
우주로 간 용사들
폭탄우주인 봄버 성인 등장
사카모토 고오구로 아키라토라다 이사오테라오카 이와오日: 1996.12.07.
韓:
제44화攻防! ダグベース
ワルガイア星人ゲドー登場
다그베이스를 사수하라!
와르가이아 성인 게드 등장
키타지마 히로아키키쿠치 카즈히토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日: 1996.12.14.
韓:
제45화奇跡の勇者たち
ワルガイア星人マドー登場
기적의 용사들
와르가이아 성인 마드 등장
스가 요시유키스기시마 쿠니히사야나기사와 테츠야日: 1996.12.21.
韓:
제46화サルガッソ大爆発
超生命体ジェノサイド登場
대폭발! 우주감옥의 최후
초생명체 제노사이드 등장
아라키 켄이치타니구치 고로마츠무라 야스히로
(松村康弘)
미노와 사토루
(箕輪 悟)
日: 1996.12.27.
韓:
제47화燃えろ! 炎の勇者エン
超生命体ジェノサイド登場
불타는 용사 다그온
초생명체 제노사이드 등장
나가무로 후미츠키테라오카 이와오日: 1997.01.18.
韓:
제48화オレたちの未来へ…
우리의 미래를 향해
모치즈키 토모미오구로 아키라日: 1997.01.25.
韓:


8. 에피소드 가이드[편집]


#1vs 외계 범죄자샌드루 성인
주요 등장인물 첫 등장
#2vs 외계 범죄자자고스 성인
다그 파이어, 첫 합체 시전
#3vs 외계 범죄자갈론 성인
라이너팀 첫 등장
#4vs 외계 범죄자데스바루스 성인
라이너 다그온, 첫 합체 시전
#5vs 외계 범죄자일렉트론 성인
-
#6vs 외계 범죄자카우스 성인
-
#7vs 외계 범죄자아크 성인
무명의 죄수 in 가드로이드
다그 섀도우, 첫 합체 시전
#8vs 외계 범죄자자고스 성인(feat 모그넬)
-
#9vs 외계 범죄자가라버드 성인
-
#10vs 외계 범죄자킬러드 성인
-
#11vs 외계 범죄자아크 성인
라이안 첫 등장
#12vs 외계 범죄자아르마 성인
-
#13vs 외계 범죄자와일디&와일돈
-
#14vs 외계 범죄자로드 성인
-
#15vs 외계 범죄자서큐버스 성인
-
#16vs 외계 범죄자자고스 성인
6번째 전사 합류
#17vs 외계 범죄자피닉스 성인
-
#18vs 외계 범죄자반다 성인
-
#19vs 외계 범죄자시드 성인
-
#20vs 외계 범죄자누벨 성인
-
#21vs 외계 범죄자휴드론 성인
라이너 다그온, 파워업
#22vs 외계 범죄자데몬스 성인
-
#23~24vs 외계 범죄자기계식물
건키드 첫 등장
#25vs 외계 범죄자카멜론
-
#26vs 외계 범죄자데믹카 성인
-
#27vs 외계 범죄자마우저 성인
-
#28vs 외계 범죄자파이더 성인
국내 미방영
#29vs 외계 범죄자라돈파 성인
-
#30~31vs 외계 범죄자아크 성인
자고스 여왕
파이어 점보&아크성인 리타이어
갤럭시 루나 첫 등장
[20]
#32vs 외계 범죄자히도
데스캅
와루가이아 성인 첫 등장
#33vs 외계 범죄자후토바 성인
-
#34vs 외계 범죄자패트 성인
-
#35vs 외계 범죄자사바라스 성인
-
#36vs 외계 범죄자히도
펄스 성인
신참 대뷔전
#37vs 외계 범죄자트랙커 성인
-
#38vs 외계 범죄자슈라 성인
파이어 점보 복귀
#39vs 외계 범죄자아크 성인
누벨 성인
-
#40vs 외계 범죄자히도
-
#41vs 외계 범죄자마도
제르마
파이어 다그온, 파워업
#42vs 외계 범죄자히도
브레이브 성인의 죽음
#43~47vs 외계 범죄자초생명체
마도&게도
최종결전
#48에필로그


9. 한국 방영[편집]




한국에서는 2001년 11월 27일부터 2002년 7월 16일까지 '로봇용사 다그온'이라는 이름으로 매주 화요일 오후 6시 15분마다 SBS 및 8개 지역민방[21]에서 방영됐다.[22] 한국에서는 용자 시리즈 중 애니박스가오가이가 파이널을 빼면 가장 마지막으로 방영되었으며 유일하게 SBS에서 방영된 용자 시리즈이다.[23] 다른 작품들에 비해 왜색이 거의 없는 편에 속해서 그나마도 왜색이 아니라 선정성 때문에[24] 방영 불발된 28화와[25] 약간씩의 수정을 빼면 거의 무수정으로 방영되었다.

오프닝의 작사/작곡은 준스드림, 노래는 가수 이 각각 맡았는데 캔의 파워풀한 가창력에 비하면 아쉬운 노래지만 그런대로 잘 뽑혔다. 멜로디를 생각하면 차라리 원곡을 번안해서 불렀으면 더 잘 어울렸을 지도 모른다. 성우 캐스팅은 여타 용자 시리즈와 비교했을 때에는 나쁘지는 않았으나, 주인공이었던 강열의 성우인 엄태국이 인물의 열혈적인 성격을 살리지 못한지라[26] 주인공 성우에 대한 평은 좋지 못했다.

용자 시리즈 더빙이 다 그렇듯 이 작품 역시 성우 중복이 상당히 심한데, 단역의 대다수가 이원준, 이종혁, 홍소영, 한호웅, 은영선 등이 최대 다굴을 당했고, 이후 후반부에는 루나의 김상현, 라이의 이미자를 제외하면 그냥 뺑뺑이(...)[27] 후반부의 주요 악역들인 와루가이아 3형제마저도 중복을 돌렸으며, 심지어 진 최종보스초생명체 제노사이드마저 전나무의 성우인 한호웅이 맡았다. 반대로 하자면 엄태국, 홍성헌, 변영희, 김상현, 김민석, 이미자가 중복이 적거나 없었다.[28] 사와무라 신(전나무)의 성우인 한호웅을 제외하면 용자 시리즈 더빙에 참여해본 적이 없는 성우들로 구성되어있다.

게다가 방영년도가 2002년이란 점에 주목하자. 즉 2002 한일 월드컵 개최시기였다. 이미 경쟁작 <디지몬 테이머즈>에 시청률 면에서 밀린 데다 그해 2월 12일 방송분은 설날 특선으로 결방됐고, 6월에는 월드컵 붐까지 겹쳐 결방이 상당히 잦아 정상 방영된 건 6월 10~18일 정도였다. 심지어 아예 시간대까지 밀려버리는 일도 부지기수였다. 결국 시도는 좋았어도 한일 양국 통틀어 흑역사가 된 슬픈 사례.[29][30]

아쉬운 성우 캐스팅과는 별개로 번역 및 로컬라이징은 원작에 맞게끔 충실히 되었다. 원작에서 주인공 이름들에 맞게 적절하게 맞춘 한칭이라거나, 거의 대부분의 대사 번역들은 일본어 원판이랑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90년대만 해도 로봇애니에서 밥먹듯이 해대던 잔인 & 선전 & 과도한 액션 장면 편집/수정도 시대가 밀레니엄 새해였던 시기라 거의 없었던 편이다.

방영 당시 손오공에서 국내 방영판을 바탕으로 한 VHS 비디오테이프를 냈고, 2006년도에 재능방송에서 재방영을 한 적이 있었다.[31]

완구는 손오공에서 타카라제를 정발해 국내 생산으로 찍었다(2001년에 초판 발매).[32] 허나 가동형식의 피규어였던 다그 텍터 피규어, 썬더 다그온, 다그 베이스 등 일부 제품군이 발매되지 않았다. 그로 인해 소형 피규어는 슈퍼 라이너 다그온 합본에 들어있는 다그 드릴의 드릴 게키만이 발매되었으며, 다른 멤버 5명의 소형 피규어는 다그 베이스, 우츠미 라이의 피규어는 썬더 다그온에 들어있던 나머지 국내에 들어오지 못했다. 평소에는 손오공이 일본에서 없었던 오리지널 장난감을 따로 제작해서 내준 경우가 있으나 이 작품만은 예외적으로 오리지널 장난감을 따로 제작하지 않았다.[33] 다른 용자들이 전부 발매되거나 오리지널 장난감을 따로 발매했는데 그 대신 많이 빠져봐야 1~2개 정도 빠진 것에 비하면 참으로 불쌍한 수준.[34][35]

한국에서는 선정성이 심해서 결방된 28화 빼곤 전부 국내 더빙 방영. 그와중에 38화는 자료가 아예 유실되어서 더이상 볼 수 없다.

한국에서 소개되지 못한 엑스카이저와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덜했던 마이트가인은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끝었고 반대로 일본에서 상업적으로 부진했던 다간, 가오가이가는 한국에서 흥행에 성공했지만[36] 다그온은 양국 다 흥행하지 못했다.

SBS 방영 당시 번역은 박순아/박주이, 녹음연출은 김성환 PD가 맡았다.


9.1. 편성 변경[편집]


  • 2002년
    • 2월 12일: 설날특집 동물시트콤 <개성시대> 편성으로 휴방.
    • 6월 3일: 2002 한일월드컵 C조 <브라질:터키> 중계방송으로 휴방.
    • 6월 4일: 2002 한일월드컵 H조 <일본:벨기에> 중계방송으로 휴방.
    • 6월 18일: 월드컵 특집 <이제는 8강이다> 편성으로 인해 5시 55분으로 땡겨짐.
    • 6월 24일: 월드컵 특선 <영광의 그라운드> 편성으로 휴방.
    • 6월 25일: 월드컵 특집 <가자! 요코하마로> 편성으로 휴방.
    • 7월 1일: 월드컵 특집 <리얼코리아> 때문에 청춘시트콤 <오렌지> 1회가 편성 지연되어 휴방.
    • 7월 2일: <월드컵 성공 개최기념 국민 대축제>의 편성으로 인해 5시 55분으로 땡겨짐.


10. 평가[편집]


애니 자체는 잘 만들어서 나름대로 고등학생들의 청춘을 잘 살렸으며, 전대와 메카를 잘 조합시켰다는 좋은 평을 받기도 한다. 몇몇 황당한 전개를 빼면 스토리도 나쁘지 않은 편. 원판은 다른 용자 시리즈보다 성우 중복이 적다. 주요인물은 토베 마리아 = 건키드나가사와 미키 정도. 한국판도 이 둘이 똑같이 은영선이다.

그러나 당시 경쟁 프로그램인 신세기 에반게리온이나 아따아따, 그리고 울트라맨 티가(관서지방 제외) 등이 대두. 존재감을 상실하게 되었으며 특히 작품의 분위기가 꽤 어두운 편인데다 고등학생들의 청춘이라는 주제는 용자 시리즈의 주요 시청층인 아동들에게 어필하기 힘들어서 그런지 완구 판매 실적도 시청률도 전작들보다 떨어졌고[37] 이는 모치즈키 감독도 여러 인터뷰에서 많은 사람들이 보지 못해서 아쉽다고 여러 번 거론한 바가 있다.

물론 제작진측에서도 대책을 강구하지 않은 건 아니어서, 중반 이후 아역들의 출연이 늘어났고, 본편 종료후 CM 사이에 엔딩 테마가 흐르기 전, 시청자로부터 온 소식을 소개하거나, 파이어 엔이 유치원 등을 방문하는 등의 미니코너 '다그온 클럽(ダグオンくらぶ)'을 3화부터 운영해오는 등의 대책이 행해졌지만 주 시청자인 저연령층의 시리즈 이탈을 막을 수는 없었다.[38]

합체 신과 필살기 뱅크 신 연출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유명한데 모치즈키 토모미 감독이 메카닉 연출은 잘 하지 못해서 야마구치 유지에게 대부분을 맡겼다고 한다. # 뱅크신 작화는 스즈키 타츠야, 스즈키 타쿠야형제와 나카타니 세이이치, 야마네 리히로가 그려냈다. [39] 거의 같은 사람들이 그려내서 작화마다 이질감도 없고 모두 균등하게 퀄리티가 뛰어나다. 다만 평상시 기본 작화가 시대에 맞지 않게 떨어지는 편. 작화의 완성도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채색을 신경쓰지 않는 선라이즈 작품답게 작품 전체에 명암표현이 거의 전무하다.[40] 퀄리티를 신경써야 할 1화부터 명암이 그냥 없다.[41]

베테랑 애니메이터 사사카도 노부요시가 담당한 에피소드도 꽤 되는데 사사카도가 이런 미소년 그림체를 소화할 수 있는 애니메이터가 아니다보니 영상이 꽤 괴멸적이다. 다만 38화(부활의 하얀날개)를 기점으로 작화에 명암을 넣는 등 퀄리티가 급상승한다. 특히 최종화는 OVA급 퀄리티로, 용자물 중 1화와의 갭으로는 역대급이다.[42] 마지막 화의 작화감독 오구로 아키라는 당시 게임 회사 스퀘어 에닉스로 이적해 애니메이터를 은퇴할 생각이었기 때문에 최종화를 자신의 마지막 작품이라 생각하고 특히나 더 공들였다고 한다.[43] 과감하게 로봇 전투 비중을 낮추고 인간 드라마에 비중을 둔 모치즈키 토모미 감독의 연출과 오구로 아키라의 극장판 급 작화가 어우리져 엔딩은 화룡점정이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시청자들의 평가가 굉장히 높은 작품으로 방영 후 한참이 지나서도 열광적인 팬들이 팬 모임 활동을 가지는 작품이다. 모치즈키 토모미 감독은 자신있는 작품으로 여러 번 거론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이 흥행에선 큰 재미를 보지 못한 것에 대해선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후속 프로그램인데다 용자 중 인기 1위를 자랑하는 용자왕 가오가이가를 라이벌로 두는데[44] 팬 이벤트에서 반쯤 농담이긴 했지만 "가오가이가 같은 거 보다 다그온이 더 재밌다고 자부한다" 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 그리고 팬들이 '그러면 논란되지 않습니까?' 라고 하자 모치즈키 감독은 "내가 그랬다고 이름박고 트위터에 뿌려" 라고 했다고 한다.


11. 미디어 믹스[편집]


주 시청층이 여성들이기 때문에 드라마 CD나 캐릭터 앨범, 앤솔로지 등도 많이 발매되었다. 동인지도 매우 많다. 성우들로 진행하는 라디오 토크쇼도 있었으며 물론 내용도 애들용 방송이 아니였다.[45] 미소년이 많이 나오고 여성 팬이 워낙 많아서 부녀자 용자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는데 그런 걸 노리는 연출은 거의 없다. 감독 모치즈키 토모미도 그런 것은 하나도 노리지 않았다고 한다. # 그래서 다그온 팬들은 사람들이 부녀자 용자라는 말을 하면 매우 화를 낸다. 다만 나중에 나온 OVA는 확실히 여성 팬을 노리고 나온 게 맞으며, 이는 모치즈키 토모미도 인정한 부분이다. 하술하겠지만 OVA 자체가 여성팬들의 투고로 인해 만들어진 작품이기 때문.

드라마 CD 중 몇장은 표지 컨셉을 사계절로 잡았다.스토리는 거기와는 별개로 각각 다르며,특히 여름편에서는 스토리가 다따로따로 되어있다.

참고로 후에 상하편식 OVA인 용자지령 다그온 수정 눈동자의 소년이 제작되는데, 티비판 결말에서 다그비클을 전부 반납하다보니 여기서는 그냥 로봇이니 뭐니 그런 건 없고 거의 캐릭터들만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최후의 떡밥, 다그온 시리즈 7명 전원 합체라는 최종형태 파이널 다그온이 등장하긴 한다.[46] 이 OVA는 여성팬들의 서명으로 만들어졌다.


12. 모형화[편집]


DX 완구로는 파이어 다그온, 파워 다그온, 섀도우 다그온, 슈퍼 라이너 다그온, 건키드, 라이안이 발매된 바 있다. 다그 베이스썬더 다그온은 정식 발매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에서 구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다그온은 용자 시리즈 중 인기가 그닥 없었던 만큼 수집하려는 사람이 사실 그렇게 많지는 않은 편이다. 그렇지만 라이너 다그온, 섀도우 다그온 등은 레어 아이템이 되었다.

다그온 완구 CF(15분 24초 부터)
국내 다그온 완구 CF

링크를 통해 DX Full set를 구경할 수 있다.

링크를 통해 STD Full set를 구경할 수 있다.

2020년에 슈퍼 미니프라 발매가 확정되었다. 발매를 알리는 글 말미에 「Do not say four or five」라는 떡밥을 날려서 의외로 라이너 다그온이 먼저 발매될 가능성이 생겼으나, 실제론 주인공인 파이어 다그온이 먼저 나왔다(11월 출시). 반다이의 포괄적인 용자 시리즈 개입으로서는 사실상 4번째.

그런데 주역기인 슈퍼 파이어 다그온과 무장인 건키드&라이안만 나오고 곧바로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로 넘어가버려서 정작 라이너 다그온은 나오지 못했다.


13. 기타[편집]


  • 한국에선 29화 라돈파의 상자 에피소드가 인간 비판 드립과 엮여 재조명을 받았다.


[1] A B C D E F G H I 다그온 멤버들이 설정상 1978~1981년대생이다.[2] 전작인 황금용자 골드란도 방송연도와 작품 배경 연도가 동일하지만, 다그온 만큼 노린 것은 아니었다.[3] 특히 멤버들이 처음에 배틀 슈트를 입고 정체를 숨기는 부분에선 원기폭발 간바루가와 비슷하다.[4] 다만 증기기관차가 모티브인 드릴 라이너의 경우 증기기관차 자체가 더 이상 운행되지 않기 때문에 박물관에 전시된 것을 탈취하여 본떠 만들었으며 썬더 다그온을 구성하는 다그 비클은 아예 지구제가 아니다.[5] 그래서 메카들도 라이안과 건키드를 제외하면 모든 용자로봇의 이름에 다그온이 붙는다.[6] 더빙판은 강산고등학교라 나온다. '산카이'도 해석하면 산과 바다(山海)라 의미가 대충 맞는다. 직역했다면 학교명은 '산해고등학교'가 된다.[7] 이 때의 연출은 각 다그온의 몸이 영체화되어 다그 비클에 깃드는 식이다.[8] 타 작품으로 하면 그냥 개별 변신에 가깝다.[9] 그나마 간접적으로는 조종하는 비클이 열차인 카이, 신, 요쿠, 게키에 한해 라이너라는 이름으로 팀 구성이 가능하다.[10] 1화의 전투 장면도 전대물처럼 다그온들이 먼저 파워슈트를 입은 상태로 적을 쓰러뜨리나 그 적이 바로 죽지 않고 거대화하게 되자 다그 비클을 부른 다음 그걸 조종해서 마무리를 짓는 식이다. 단, 용자 시리즈 특성상 1화에서는 주인공인 엔만 다그 비클을 부른 뒤 조종(정확히는 그걸 로봇으로 변신시키고 엔은 그 로봇과 융합)하여 해결했다.[11] 이 당시 로봇물이 신세기 에반게리온열풍이 너무 큰 탓도 있고 선라이즈가 건담 시리즈 하나도 실패했었다. 방영년도가 로봇물 쇠퇴 시기였다.[12] 마이트가인도 다그온처럼 로봇보다 인물 위주로 전개되어 트랜스포머 느낌이 옅기는 하나 용자특급대의 용자로봇들은 최소한 딱 한 기체를 제외하면 모두 인격을 지닌 순수 로봇이기 때문에 그래도 마이트가인 쪽이 다그온에 비하면 트랜스포머 느낌이 좀 더 많이 남아있는 셈이다.[13] 비슷한 트랜스포머 시리즈를 찾자면 마찬가지로 인간이 변신하는 트랜스포머 초신 마스터포스가 있겠다. 시기상으론 초신 마스터포스가 원조.[14] 엑스카이저는 드릴 맥스, 파이버드는 가드팀 일원이 모두 멧 온 기믹으로 고글을 쓸 수 있고 드릴 바론, 아쿠아 바론이 기본적으로 쓰고 있다. 다간은 세이버즈, 마이트가인은 봄버즈, 제이데커는 건맥스가 쓰고 있고 골드런은 캡틴 샤크가 반쪽짜리 고글을 쓰고 있다. 가오가이가는 마이크 사운더스 13세와 건 머신이 해당.[15] 유일하게 메카 이름이 바뀌었는데 왜그런지는 의문.[16] 참고로 이 곡은 용자 시리즈 오프닝곡 중에 유일하게 영어 버젼이 있는 곡이다. 제목은 we are dagwon, 가수는 원곡과 마찬가지로 Nieve. 그리고 보너스 트랙이 아니라 작중에서 나온 적이 있다. 11화에서의 전원 합체신으로 먼저 나왔으며, 이후 26화 후반부에도 나온다. 한국판에서는 11화에서는 영어 버전이 그대로 나왔으며(진짜 원곡 그대로 나왔다. 용자 시리즈 통틀어서 국내 방영시 원판의 곡이 그대로 나온 유일한 경우다.), 나머지는 피니쉬 및 차회예고에서 쓰는 오프닝곡 어레인지 버전으로 대체되었다. 가사가 있는 1절 및 후렴구 영상 풀버전[17] 본명은 코바야시 렌큐, 14세 때부터 작곡활동을 하기 시작한 가수이며 1999년에는 Angela의 멤버인 ATSUKO와 함께 혼성 밴드를 결성하기도 했다.[18]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엔딩도 영어 버젼이 있다. 제목은 Prism in the wind. 가수는 원곡과 마찬가지로 Nieve. 오프닝 영어 버젼처럼 작중에서 나온적이 있다. 28화 후반부에 나온다.[19] 나카타니 세이이치 말로는 대부분 스즈키 형제가 했다고 한다.[20] 이 시점에서 사르갓소의 쿠데타가 벌어졌다.[21] PSB(현 KNN), TBC, KBC, TJB, UBC, CJB, JTV, GTB(현 G1). 참고로 GTB는 방영이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01년 12월 15일에 개국하였으며, JIBS는 방영 막바지인 2002년 5월 31일에 개국하였다.[22] 이 때문에 <드래곤볼>이 매주 월요일만 편성됐으며, 2002년 2월 18일에 <드래곤볼>이 종영된 후 동월 25일부터 월요일에도 편성됐다. 7월 3일엔 수요일에도 확대편성됐다.[23] 로봇수사대 K캅스와 비슷한 경우. 사실 이 둘을 제외하면 용자 시리즈는 거의 다 KBS에서 방영했다. 전설의 용자 다간의 경우에도 SBS에서 방영된 적이 있었지만 이쪽은 KBS와 비디오판 등등 더빙판이 따로 여러 개 존재한다는걸 감안하면 완전히 SBS에서만 방영된 건 다그온이 유일하다.[24] 거기 나오는 우주거미 파이더 성인은 여성형인데 복장이 가슴을 가리다 만 복장이다. 게다가 스토리가 솔로들 눈물 흘리게 하는 스토리.[25] 허나 어째서인지 38화는 분명히 방영됐음에도 불구하고 넷상에서 그 자료를 찾을 수가 없다.[26] 목소리 매치나 엔의 활발한 성격을 표현하는것은 괜찮은지라 얼핏들으면 크게 위화감 없어보이는데 열혈연기의 필수인 샤우팅이 상당히 약했다. 이로 인해 막장 열혈 연기력에 한 몫 했을지도 모르며, 아니면 연기를 못한건 아니나 열혈연기에 더럽게 안맞는다.가 맞을지도 모른다.[27] 특히 여자 성우 중 홍소영은 다그온 내에서 등장하는 주인공 일행들의 동생(토메 마나부, 하시바 미나코) 혹은 여자친구(후지이 유카리, 세리자와 에리카)랑 여성 악역들을 모두 맡았다.(그나마 15화에서의 에리카, 서큐버스를 중복으로 맡은 것은 서큐버스가 에리카로 둔갑해서 활동한 적이 있기에 그나마 옹호는 되겠지만, 나머지는...)[28] 이 6명 중 5명은 고정배역 하나만 맡았으며, 변영희도 중복이 있었지만 김나래(요쿠), 히도 두 캐릭만 맡아 의외로 적은 편.[29] 황당하게도 비슷한 시기에 KBS2에서 방영한 정의의 용사 카봇은 용자 시리즈가 아닌 트랜스포머 시리즈임에도 방송사 및 방영시기가 적절하게 겹쳐서(방영시기는 월드컵이 끝나고 한 달 정도 지난 뒤였다) 한국에서 용자 시리즈 인기의 막차를 제대로 잡아탄다.[30] 이는 <디지몬 테이머즈>나 <도라에몽> 등 같은 시기에 방영한 애니메이션들도 같은 처지다.[31] 이 외에도 2000년대에 재방영을 한것은 2000년엔 가오가이거(용자왕 가오가이가), 2004년엔 K캅스(용자경찰 제이데커), 2005년에 선가드(태양의 용자 파이버드)도 각각 투니버스에서 재방영을 했었다.[32] 그 이전인 1996년에는 500원에 판매하는 조립 식완이 나온 바 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자체는 2001년~2002년에 방영된 터라 그 텀이 길었던 셈.[33] 다간 : 프라모델, 변신 패트롤카, 다간 팽이, 다간 패트롤카 등, 선가드 : 슈퍼 썬더바론, K-캅스 : 데커드 비밀본부, 데커드 패트롤카, 골드런 : 골드런 기사단, RC카, 파워 킹스톤, 가오가이거 : STD 가오가이거, 폴리스카, 마이트가인 : 폴리스다이버 다이캐스트 자동차 등.[34] 사실 손오공에서 다그 베이스와 썬더 다그온을 수입/생산하지 않은 것은 악성재고를 우려한 탓이 컸다. 일단 다그온이 국내에 방영되던 시기가 용자 시리즈가 서서히 쇠퇴하는 무렵이었고, 이후로도 용자 완구 재고 처리를 위해 2004~2006년까지 케이블 채널에서 재방송까지 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비중이 낮고 악성재고 우려가 높은 제품군을 들여오지 않았다고 봐야 한다.[35] 썬더 다그온의 경우 작중 후반부인 34화에서 등장하며, 등장 횟수도 4회로 매우 적다. 다그 베이스의 경우 이와 유사한 제품군인 용자특급 마이트가인마이트스테이션이 악성재고 상태였기 때문에 손오공에서 수입/생산할 의사가 사실상 없었을 것이다.[36] 특히 다간과 선가드는 완구 판매량도 잘 나갔으니 더더욱 그랬다.[37] 주역 기체 파이어 다그온은 용자 시리즈 역대 완구 중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잘 나왔고, 파워 다그온도 비클 형태는 최고의 포크레인 완구라 불릴 정도로 잘 나온데다(비클 형태 가동도 실제 굴착기랑 똑같이 할 수 있고, 로봇모드도 극중에서처럼 탱크 모드로 변형 가능.) 섀도우 다그온/건키드도 전반적으로 괜찮지만 라이너 다그온/라이안/썬더 다그온이 아주 처참했다. 게다가 라이너 다그온은 슈퍼 라이너 다그온이 나왔는데도 다그 드릴 단품이 안 나와서 라이너 다그온 단품만 산 사람들을 엿먹였다(한국 기준).[38] 12화 다그온 클럽에서는 주제가를 부른 Nieve가 특별출연하기도 했다.[39] 모치즈키에 따르면 대부분 스즈키 형제고 다른 애니메이터는 도운 정도라고 한다.[40] 전작들도 시대상 조금 작게 그려지거나 일상부분은 생략하긴 했으나, 이 작품은 그냥 안 쓴 수준.[41] 가오가이가와 자주 비교가 되는데 이 작품도 가오가이가와 작화는 별 차이가 없고 채색 때문에 평이 갈리는 것이다. 가오가이가도 뱅크 신을 그린 사람들은 스즈키 형제와 나카타니 세이이치로 똑같다. 대신 가오가이가는 채색에 꽤 신경을 쓴 애니메이션이라 거기서 느낌이 갈리는 것이다.[42] 특히 엔이 돌아온 후 마리아를 포함한 나머지 다그온들과의 재회 장면이 절정이었다.[43] 실제론 이게 마지막은 아니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몇 작품 더 했다. 2018년에는 스퀘어 에닉스에서 퇴사해 다시 애니메이터를 하고있다.[44] 사실 가오가이가도 방영 당시에는 시청률이나 완구 판매나 모두 부진했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서야 재평가된 케이스.[45] 엔의 토치카 코이치와 카이의 코야스 타케히토가 메인 DJ이며 게스트가 나오는 식. 후반부터 종반까지는 류의 키사이치 아츠시도 함께 한다. 이 방송은 니코동에 남아있다.[46] DVD 2탄에 이 피규어를 첨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