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트 메리필드

덤프버전 :

위트 메리필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92021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8년 ~ 201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호세 알투베
(휴스턴 애스트로스)
위트 메리필드
(캔자스시티 로열스)
호세 아브레우
(시카고 화이트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7년 ~ 201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도루왕
라자이 데이비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위트 메리필드
(캔자스시티 로열스)
말렉스 스미스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도루왕
아달베르토 몬데시
(캔자스시티 로열스)
위트 메리필드
(캔자스시티 로열스)
호르헤 마테오
(볼티모어 오리올스)

파일:MLB 로고.svg 2021년 메이저 리그 2루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콜튼 웡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위트 메리필드
(캔자스시티 로열스)
브렌든 로저스
(콜로라도 로키스)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15번
알렉스 리오스
(2015)
위트 메리필드
(2016~2022)
맷 더피
(2023)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1번
제로드 다이슨
(2021)
위트 메리필드
(2022)
결번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15번
라이멜 타피아
(2022)
위트 메리필드
(2023)
결번

파일:블루제이스메리필드.jpg
위트 메리필드
Whit Merrifield
본명위틀리 데이비드 메리필드
Whitley David Merrifield
출생1989년 1월 24일 (35세)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플로렌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데이비 카운티 고등학교 -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신체185cm / 88kg
포지션유틸리티 플레이어 (2루수, 외야수 등)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10년 드래프트 9라운드 (전체 269번, KC)
소속팀캔자스시티 로열스 (2016~2022)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2~2023)

1. 개요
2. 선수 경력
2.1.1. 마이너 리그
2.1.2. 2016 시즌
2.1.3. 2017 시즌
2.1.4. 2018 시즌
2.1.5. 2019 시즌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연도별 기록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 국적의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드래프트 순위에서 볼 수 있듯 기대치도 낮았지만 늦은 나이에야 기량이 만개해 월드 시리즈 우승 이후 암흑기에 빠진 캔자스시티의 주축으로 성장한 만성형 선수다.


2. 선수 경력[편집]



2.1. 캔자스시티 로열스[편집]


파일:Whit_Merrifield_Kansas_City_Royals.webp

2.1.1. 마이너 리그[편집]


아마추어 시절에는 스피드를 제외하고 특별히 좋은 기량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2010년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9라운드 269순위에 지명되었다.

마이너에서도 성장이 그리 빠르진 않았고, 2014년이 되어서야 트리플 A에 도달할 수 있었다. 대신 마이너 통산 143도루를 했을 정도로 스피드는 빨랐고 포수 제외 모든 포지션을 맡았을 정도로 유틸리티 능력이 좋았다.

트리플 A에서도 대략 3년간 다듬어졌고 만 27세인 2016년에 메이저에 콜업되었다.


2.1.2. 2016 시즌[편집]


시즌 중반인 5월 18일에 콜업되었지만 주전 뎁스가 얇았던 로얄스의 특성 상 금방 주전을 차지할 수 있었다. 파워와 선구안은 아쉽지만 신인 치고는 좋은 컨택, 유틸리티 능력, 좋은 주루 능력을 보여주며 훌륭한 활약을 했다. 최종 성적 81경기 88안타 2홈런 29타점 44득점 8도루 .283 .323 .392를 기록했다.


2.1.3. 2017 시즌[편집]


본격적으로 포텐셜이 터졌다. 그 동안 아쉬웠던 장타 능력이 만개하며 19홈런을 기록했고, 34도루를 기록하며 아메리칸 리그 도루왕을 차지했으며, 1990년 조지 브렛 이후 팀 내 최초로 힛 포 더 사이클을 치기도 했다. 최종 성적 145경기 169안타 19홈런 78타점 80득점 34도루 .288 .324 .460를 기록했다.


2.1.4. 2018 시즌[편집]


작년보다 더 발전하여 약점이던 볼넷 비율까지 개선되었으며 커리어 최초로 3할을 쳤다. 최종 성적 158경기 192안타 13홈런 43도루 60타점 88득점 .304 .367 .438를 기록해 시즌 최다 안타, 최다 도루 2관왕을 차지하며 MVP 득표를 받기도 했다.


2.1.5. 2019 시즌[편집]


늦게 메이저에 올라온 탓에 최저연봉을 받는 데다가 캔자스시티의 팜이 워낙 황폐한 탓에 트레이드 설도 돌았지만 시즌을 앞두고 팀과 4년 $16.25M + 클럽 옵션 1년 $10.5M으로 연장 계약을 맺었고, 커리어 처음으로 올스타전 로스터에 선정되었다.


2.2. 토론토 블루제이스[편집]


2022년 8월 2일 맥스 카스티요와 마이너 리그 내야수 사마드 테일러를 상대로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여담으로 코로나 백신을 맞지 않아[1] 토론토 원정에 참여하지 못했는데, 이번 이적을 통해 백신 접종을 하고 합류하게 됐다.

8월 4일 미네소타 트윈스전에서는 5타수 2안타 1타점으로 데뷔전을 치렀다.

9월 24일 탬파베이 레이스전에서 쓰리런 홈런을 쏘아올리면서 시즌 10호 홈런을 기록했다. 최근 4경기 3홈런 6타점으로 타격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2023년에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케빈 가우스먼, 보 비솃과 함께 올스타로 선정되었다.[2]

2023 시즌 후 상호 합의 옵션(뮤추얼 옵션)을 토론토와 메리필드 본인이 모두 거부하면서 바이아웃 50만 달러를 받고 FA 신분이 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가장 돋보이는 능력은 단연 주루 능력으로, 스탯 캐스트 주루 속도가 29ft/s로 빠르긴 해도 엘리트 급까지는 아니지만[3] 주루 센스가 훌륭해서 2년 연속 도루왕을 차지했고, 팬그래프 주루 점수 역시 최상급이다. 주 포지션은 2루수이지만 포수 제외 모든 포지션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만능 수비수고, 라인드라이브 비율이 30%에 달하는 라인드라이브 히터이며 투수친화적인 카우프만 스타디움을 홈으로 쓰면서도 한 시즌에 10개 이상 홈런을 칠 수 있는 갭 파워를 갖고 있다.

단점으로는 리드오프 치고 볼넷 비율이 다소 떨어진다는 점이 있다.

4. 수상 내역[편집]


수상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3회 (2019, 2021,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안타 1위 2회 (2018, 2019)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도루 1위 3회 (2017, 2018, 2021)

5. 연도별 기록[편집]


파일:MLB 로고.svg 위트 메리필드의 역대 MLB 기록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2016KC81332882232442981972.283.323.392.7161.21.5
2017145630169326198078342988.288.324.460.7843.23.2
20181587071924331288604561114.304.367.438.8064.94.5
2019162735206411016105742045126.302.348.463.8113.13.6
2020602657012093830121233.282.325.440.7641.50.8
20211627201844231097744040103.277.317.395.7113.03.8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2022KC/TOR139550126281117058163885.250.298.375.6731.50.1
2023TOR1455921492701166672636101.272.318.382.7001.50.8
MLB 통산
(8시즌)
1052453111842472690588470201280722.284.330.420.75019.918.1


6. 기타[편집]




7. 관련 문서[편집]


[1] 결장한 것 뿐만 아니라 '페넌트를 노리는 팀이었다면 백신을 접종해도 무방하다'는 뉘앙스의 인터뷰를 해서 더욱 까였다.[2] 뒤늦게 선정된 조던 로마노도 포함되었다.[3] 30ft/s 이상이 엘리트 급으로 평가받고 27이 평균 수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4:07:12에 나무위키 위트 메리필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