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혜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윤혜영(동명이인) 문서
윤혜영(동명이인)번 문단을
윤혜영(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아시아양궁연맹 로고.png
아시아 선수권
[ 펼치기 · 접기 ]
1회1980 콜카타2회1981 싱가포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영숙
3회1983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호4회1985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향순
5회1988 홍콩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수녕6회1989 베이징
7회1991 마닐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미8회1993 자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
9회1996 촌부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례10회1997 랑카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혜영
11회1999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현지12회2001 홍콩파일:중국 국기.svg 장쥐안쥐안
13회2003 양곤파일:중국 국기.svg 린상14회2005 뉴델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15회2007 시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성진16회2009 덴파사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현정
17회2011 테헤란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양니엔슈18회2013 타이페이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레이첸잉
19회2015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혜진20회2017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경
21회2019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채영22회2021 다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해진
23회2023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미선24회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여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7이영숙 · 황숙주
1978김진호 · 오영숙 · 황숙주
1979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0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1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백종미 · 양경순 · 전문규 · 황숙주
1982김진호 · 박영숙 · 양경순 · 황숙주
1983 1기김미영 · 김옥경 · 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 신정순
1983 2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서현주 · 정재봉 · 황숙주
1983 3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이순미 · 정재봉 · 황숙주
1984 1기김진호 · 김미영 · 이순미 · 정재봉
1984 2기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1985 1기김미영 · 박민화 · 박정아 · 서은정 · 서향순 · 이숙향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조은신 · 허복자 · 황은희
1985 2기김미경 · 김미영 · 김진호 · 김차남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오영숙 · 이숙향 · 이유미 · 이혜영 · 정재봉
1985 3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이숙향 · 조윤정
1985 4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1986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서향순 · 송영미 · 이선희 · 임명란 · 전애자 · 정민자 · 정재봉 · 지인숙
1986 2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이선희 · 임명란
1987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임명란 · 정재봉
1987/88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애리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황은희
1988 2기김경욱 · 김수녕 · 박정아 · 왕희경 · 윤영숙 · 이선희
1988 3기김수녕 · 왕희경 · 윤영숙 · 임은숙
1989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은경 · 정창숙
1990 1기김경욱 · 김미희 · 김수녕 · 왕희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 한희정
1990 2기김경욱 · 김수녕 · 문영희 · 박정아 · 이문영 · 이은경 · 이장미 · 한희정
1991김수녕 · 김승실 · 문영희 · 이선희 · 이은경 · 조윤정 · 이장미 · 한희정
1992김수녕 · 김승실 · 이은경 · 이선희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1993김경욱 · 김효정 · 염연자 · 이명옥 · 이은경 · 이희정 · 임정아 · 조윤정
1994강경옥 · 강현지 · 김경욱 · 양승숙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한희정
1995김경욱 · 김정례 · 김조순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조미숙 · 황진해 · 박혜정[자격포기]
1996강현지 · 김경욱 · 김남순 · 김은진 · 김조순 · 박명화 · 손민정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조미숙 · 최은주
1997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정창숙 · 조윤정 · 최은주 · 황진해
1998강현지 · 김남순 · 김조순 · 이미정 · 이은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미숙
1999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정창숙 · 하나영
2000강현지 · 김남순 · 김수녕 · 박회윤 · 윤미진 · 정창숙 · 최남옥 · 최은정
2001강현지 · 김경욱 · 김문정 · 박성현 · 우송이 · 최남옥 · 최은정 · 최진
2002김문정 · 박성현 · 박회윤 · 안세진 · 윤미진 · 임귀숙 · 최은영 · 최진
2003박미경 · 박선준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이현정 · 최진
2004김문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정승화 · 정창숙 · 조은지
2005김유미 · 박성현 · 박회윤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이현정
2006김유미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7김문정 · 김희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8곽예지 · 김원정 · 박성현 · 윤옥희 · 이특영 · 이현주 · 주현정 · 최은영
2009곽예지 · 김문정 · 김유미 · 박성현 · 윤옥희 · 이수지 · 주현정 · 한경희
2010곽예지 · 기보배 · 김문정 · 박소희 · 오다미 · 윤옥희 · 장혜진 · 주현정
2011기보배 · 김문정 · 윤옥희 · 장혜진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현주 · 한경희
2012기보배 · 김민정 · 김유미 · 심예지 · 윤옥희 · 이성진 · 장혜진 · 전나영 · 정다소미 · 정지민 · 최현주 · 한경희
2013기보배 · 윤옥희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2014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전훈영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 홍수남
2015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 홍수남
2016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2017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장혜진 · 최미선 · 최민선 · 홍수남
2018강채영 · 박미경 · 안산 · 이은경 · 장혜진 · 정다소미 · 최미선 · 최민선
2019강채영 · 안산 · 장혜진 · 전인아 · 정다소미 · 조아름 · 최미선 · 최민선
2020강채영 · 곽진영 · 안산 · 윤옥희 · 장민희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1강채영 · 안산 · 오예진 · 유수정 · 임해진 · 장민희 · 정다소미 · 최민선
2022강채영 · 김수린 · 안산 · 이가현 · 이은아 · 임시현 · 정다소미 · 최미선
2023강채영 · 기보배 · 김소희 · 안산 · 임시현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자격포기] 소속 학교 사정으로 입촌 포기



윤혜영
尹惠榮 | Yoon Hyeyoung
파일:하계올림픽윤혜영2.png
출생1977년 3월 15일 (47세)
충청남도 보령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홍성여자고등학교 (졸업)
강남대학교 (학사)
용인대학교 (교육학 / 석사)
종목양궁
신체166cm, 59kg
약력서울대학교 강사
1. 소개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수상 기록
5. 둘러보기



1. 소개[편집]


대한민국의 前 여자 양궁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초등학교에 양궁부가 있어 양궁을 우연히 시작하게 되었다. 사실 처음부터 양궁에 관심이 있었던 건 아니었어고, 4학년이 되던 해, 등교를 하던 어느 날, 복도를 따라 걷는데 화살이 날아가는 소리가 유난히 크게 들려서 신경도 안 쓰고 그냥 지나치는 날이 많았는데, 그날따라 과녁에 꽂히는 소리가 참 통쾌하고 멋있어 보였다고 한다. 복도를 끝까지 걸었을 때 ‘양궁을 해야지’하고 생각하게되었다는 후문이다. 그 때 당시 담임선생님이 또 때 마침 양궁부 감독이어서, 선생님이 팔을 보더니 '양궁을 하기 좋은 팔'이라고 칭찬을 들었고, 팔이 휘어 있으면 양궁을 시작할 수조차 없는데 팔이 곧았기 때문에 양궁을 잘 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하게됐다고 한다. '그 말에 힘이 나서 처음부터 양궁을 더 열심히 했던 것 같다'고 한다.

양궁부가 있는 학교로 진학해야 했기 때문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다녔다. 부모님과도 떨어져 지낸 시간이 길다고 한다. 할머니와 둘이서 살게 될 때도 있었는데 힘든 점이 정말 많았다고 한다. 어린 나이에 부모님과 떨어져 산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그녀의 아버지께서 어린시절부터 윤혜영을 많이 지지했다고한다. 어머니는 윤혜영이 떨어져서 혼자 학교에 다니는 걸 엄청나게 많이 반대했지만, 아버지는 “꿈을 위해서라면 가라"며 윤혜영의 꿈을 뒷받침 해주었기에 지금의 윤혜영이 탄생됐다고 해도 무방하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을 때는 기분이 좋았다고 한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다는 것, 시상대 맨 위에 올라간다는 경험을 누구나 할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큰 사람이 되어야겠다, 올림픽에서 1등을 해야겠다, 뭐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은 없었다고 한다. '올림픽 금메달은 그냥 열심히 하다 보니 주어진 것 같은 기분'이라고 한다. 내가 하는 양궁이 좋아서 열심히 했고 그렇게 꾸준히 하다 보니 좋은 기회가 왔고, 죽기 살기로 하는 것도 물론 좋겠지만 즐기면서 운동하는 것도 참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3. 은퇴 이후[편집]


아육대 양궁 해설로 매번 명절마다 시청자들을 찾았다. 2020 설날 아육대장혜진에게 넘기고 잠시 1시즌을 쉬었으며, 2022 추석 아육대를 통해 복귀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서 양궁 교양강좌를 강의하고 있다.

4.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금메달1996 애틀랜타단체전
아시아선수권
금메달1997 랑카위단체전
금메달1997 랑카위개인전

5. 둘러보기[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6:11:25에 나무위키 윤혜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