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반극장

덤프버전 :

1. 개요
2. 방식
3. 전적
4. 기타


1. 개요[편집]


해피투게더 1기의 2부 코너. 쟁반노래방의 파생형 코너로, 처음 58회에 특집으로 방송되었다가 시청자들의 반응이 좋자 2003년 1월 30일을 끝으로 행복한 대결 막상막하가 종영된 후 64회 방송분부터 정규 코너로 자리잡았으며, 동년 10월 30일에 신동엽이효리의 (해투에서의) 하차와 함께 종영되었다.


2. 방식[편집]


처음 특집 편은 제한된 쟁반 개수 안에 성공하는 형식이었으며, 쟁반 숫자는 30장으로 제한을 뒀다. 이때에는 쟁반에 있는 얼굴로 배역을 정했다.[1]

정규 편성 이후에는 2명이 팀을 이뤄 명작 영화, 드라마, 만화 등의 주요한 부분을 각색된 대본에 맞게[2] 먼저 정확하게 연기하면 승리하는 형식으로 바뀌었다.[3] 대본 암기시간 이후에는 대본을 볼 수 없으며, 연기 중에 웃거나 실수할 경우에는 떨어지는 쟁반을 맞는다.[4]

적당한 방해도 허용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작 방해를 받고도 성공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75회 '로미오와 줄리엣' 편에서는 효리 팀이 연기하는 도중에 신동엽이 몰래 과자에 침을 뭍혀서 갖다놓아 이효리와 이성진을 당황하게 만들었지만 결과는 효리 팀의 승리였고, 85회 '달려라 하니' 편에서는 쟁반노래방 소품(!)[5]까지 가져오는 등 상대팀의 성공을 막기 위해 여러가지를 시도해서 개판 5분 전이 되었고, 효리 팀이 방해를 극복하고 간신히 성공했다.[6]

쟁반노래방과 달리 시도 수는 무제한이며, 두 팀 중 먼저 성공하는 팀의 이름으로 장학금을 전달한다. 2003년 8월 7일 방송분에서는 효리 팀이 9번만에 성공해서 신기록을 세운 적도 있었다. 심지어 임창정이 바로 밑에 후술할 구호에서 쟁반극장을 '쟁반노래방'이라고 외치는 대형사고를 치고도 그 다음 시도에서 #2를 단 한 번에 성공했다. 어이없는 구호 실수가 없었으면 8번만에 성공했을 것이다.

보통 원작의 두 씬을 연기하며, 첫번째 씬 연기를 끝낸 뒤 '재쟁재쟁 바방바방 쟁반 극장!'이라는 구호를 외쳐야 한다. 이것 또한 심사 요소로 취급되므로 여기서도 NG가 나올 경우 얄짤없이 쟁반이 떨어진다. 의외로 저 부분에서 NG를 내는 경우가 7번이나 있었으며[노래방][7] 이유는 쟁반 극장 대신 무심코 쟁반 노래방을 외치는 바람에... 그 중 5호인 조성모가 코너를 바꿔 부르는 것을 봐주라고 하자, 쟁반극장 PD 曰, "그건 더 나쁘지!". 그 후 신동엽이 말하길 두 코너(쟁반노래방, 쟁반극장)의 PD끼리 사이가 제일 좋지 않다고 한다. 쟁반극장PD가 당황한 건 덤.

대부분 남녀끼리의 대화를 위주로 하며, 효리팀에는 남자 게스트, 동엽팀에는 여자 게스트가 출연한다. 가끔 둘 다 여자 연기를 하게 될 때도 있었는데, 이럴 경우 남자는 연장자나 악녀급의 여자를 연기하게 된다. 이럴 때는 목소리도 여자스럽게 해야 한다.[8] 둘 다 남자 연기를 하는 건 마지막 화였던 색즉시공 #2가 유일하다. 또한, 사랑과 전쟁 편에선 남자가 1인 2역을 했다. 또한 출연자들의 연기력을 키워준 코너이기도 했다.


3. 전적[편집]


동엽팀 승리효리팀 승리
괄호는 성공차수 ex) (14)= 14차 시도 때 성공.

회수방영날짜도전 작품동엽팀효리팀비고
58[9]2002년 12월 12일겨울연가싸이, 아유미[10]실패
대결 방식으로 개편
642003년 1월 23일가을동화전혜빈성시경(15)[11]
662003년 2월 6일청춘의 덫임유진(19)이혁재역대 최장기록
672003년 2월 13일넘버 3추소영이기찬(15)
682003년 2월 27일로망스조정린신정환(18)
692003년 3월 6일
702003년 3월 13일고독황보(17)김흥수
712003년 3월 20일사랑과 영혼서민정(17)강병규
722003년 3월 27일꼭지이수영서지원[12](16)
732003년 4월 3일보디가드김건모(15)
742003년 4월 10일맨발의 청춘려원(13)최정원
752003년 4월 17일로미오와 줄리엣장나라이성진(14)
762003년 4월 24일명랑소녀 성공기하리수(12)김상혁
772003년 5월 1일가문의 영광이유진(14)탁재훈
782003년 5월 8일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신지(17)오종혁
792003년 5월 15일
802003년 5월 22일동갑내기 과외하기심은진(11)신정환동엽팀 4연승
812003년 5월 29일호텔리어사강정태우(18)
822003년 6월 5일
832003년 6월 12일구미호박정아배기성(13)
842003년 6월 19일올인유채영김제동(13)
852003년 6월 26일달려라 하니김윤경조성모(18)효리팀 4연승
862003년 7월 3일위기의 남자간미연(13)김진[13]
872003년 7월 10일천년지애자두(18)SE7EN
882003년 7월 17일조폭 마누라아유미MC몽(11)아유미 2연패
902003년 7월 31일쟁반극장 하이라이트[14]
912003년 8월 7일덕대골한은정임창정(9)최단 신기록
922003년 8월 14일인어아가씨조정린이광기(13)조정린 2연패
효리팀 3연승
932003년 8월 21일더티 댄싱유니(14)강병규강병규 2연패
942003년 8월 28일위풍당당 그녀유리(15)김성수
952003년 9월 4일여름향기김현정(11)은지원동엽팀 3연승
962003년 9월 11일춘향전신신애이범수(18)
972003년 9월 18일옥탑방 고양이윤은혜(14)박명수
982003년 9월 25일앞집여자정선희(15)최정원최정원 2연패
992003년 10월 2일별들의 고향황보김경호(15)
1002003년 10월 9일100회 특집[15]
1012003년 10월 16일
1022003년 10월 23일색즉시공옥주현(9)이기찬최단 타이기록
마지막 방영분
1032003년 10월 30일
TOTAL신동엽, 이효리 16승 15패 동엽팀 우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해피투게더(KBS)/1기 문서의 r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해피투게더(KBS)/1기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기타[편집]


  • 훗날 SBS런닝맨의 헬멧 레이스 편에서 "정선 드라마" 미션으로 이 방식을 재현했다. 차이점은 장면을 하나만 연기하고 NG가 났을 때 벌칙을 받지 않고 다음 출연자에게 바로 넘어가며, 성공할 때마다 연기해야 할 장면이 바뀐다.
  • 2021년 TV조선 뽕숭아학당의 뽕반극장으로도 이 코너를 다시 재현했다. 여기서는 담임교사 역의 이 감독 설정이었다. 연기한 작품은 이광기 vs 조정린으로 다뤄진 적 있는 인어아가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7:22:04에 나무위키 쟁반극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쟁반맨들이 게스트였던 싸이만 집중 공격해 30장 중 거의 2/3를 싸이가 맞았다.[2] 장면이 시작되면 아래쪽에 연기해야 할 대본이 나온다. 성공하면 다음 대본으로 넘어가고, 대본이 틀리면 틀린 부분을 표시해서 알려준다.[3] 일부 장면은 원본 장면에 나온 사물과 다른 것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특정 행동 등도 포함되며, 대표적으로 처음 특집으로 방영된 <겨울연가> 편에서 맥주를 마시는 장면은 보리차로 대체했으며, <구미호> 편에서 수정구슬로 정기를 뺏는 장면은 찹쌀떡을 던져서 먹이는 것으로 대체했다.[4] 위에 쟁반맨들이 쟁반을 던져 맞힌다. 쟁반노래방처럼 출연자들이 항상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서 출연자들이 움직일 때마다 쟁반맨들이 출연자들을 추적하며 움직인다. NG가 난다면 출연자들의 위에서 쟁반이 떨어진다.[5] 소절 파트를 배분하는 손가락.[6] 사실, 신동엽은 마지막 방해 작전에 대해 성공할 가능성이 낮다고 부정적으로 생각했는데, 김윤경이 그대로 밀어붙였다.[노래방] 1호 2003년 3월 6일 신정환, 2호 4월 24일 김상혁, 3호 5월 1일 이유진50분 45초부터, 4호 정태우, 5호 6월 26일 조성모, 6호 아유미, 7호 임창정. 이 중 5명이 승리했다.[7] 아이러니하게도 7명 모두 쟁반노래방에 한 번 이상 출연 경력이 있던 게스트였고, 정태우는 처음이자 마지막 출연에서 죠앤의 트롤링 + 신동엽이 어이없는 실수를 하는 바람에 한번도 성공하지 못하고 실패로 돌아갔다.[8] 옥탑방 고양이 편에선 정다빈 역은 성별이 달랐는데, #1에선 여성이, #2에선 남성이 맡았다.[9] 첫 방영분. 이때는 파일럿 형식으로 진행했는데, 쟁반 개수 제한(30장)을 두고 다 떨어지기 전에 연기하면 됐지만 네 사람 모두 제대로 연기하지 못하고 쟁반이 다 떨어져 성공하지 못했다.[10] 첫 방영분에서는 팀을 나누지 않았다.[11] 65회는 '행복한 대결 막상막하'가 방영됨.[12] 1980년 2월 23일생. 4인조 그룹 파이브(F-iv)의 리더이자 맏형으로, 박지윤을 연상시키는 외모와 모 예능에서 선보인 '성인식' 춤으로 주목을 받았다. 멤버들 중 예능 출연이 가장 활발했으며, 팀의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데 공헌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13] 마지막 끝부분에는 대사가 비슷하고 헷갈리는 부분이라 쟁반노래방 같이 물음표가 된 동그라미로 표시가 되어있었다. 효리팀은 성공이 눈 앞에 왔는데, 이효리가 감사합니다로 말을 해서 기회를 놓쳤다. 정답은 고맙습니다이다.[14] 89회는 쟁반노래방 하이라이트.[15] 100회는 특집 하이라이트(쟁반노래방 통편집, 쟁반극장 NG모음), 101회는 특집 2탄으로 쟁반노래방만 방영함.